심리 사회발달이론 고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심리·사회이론의 정의


Ⅱ. 심리·사회이론을 주장하는 학자들에 따른 이론
1. 에릭슨
1) 에릭슨의 생애
2) 에릭슨 - 심리·사회이론


2. Sullivan
1) Sullivan - 상호작용 욕구이론


3. Marcia
1) Marcia - 청소년 자아정체감 이론


Ⅲ. 조원들의 청소년기와 이론적 결합
1) 사례 1
2) 사례 2


Ⅳ. 우리조 전체 의견
1) 새롭게 알게 된 점
2) 한계점

Ⅴ. 참고 문헌

본문내용

, 도덕적, 윤리적, 성격적, 사회적 자아개념이 낮고, 자기 평가적 환류(feed back)에 취약하고, 도덕적 발달수준과 개념형성 검사에서 낮은 득점을 보인다.
2). 정체감 형성의 발달 요인
첫째, 유예기간의 제공이다.
청소년이 여러 가지 역할실험을 하고 다른 대안을 찾을 수 있도록 잠정적 결정과 자기 임무에 대한 책임이 면제되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환경 아래서만 청소년은 자유롭게 자신을 탐색한다.
둘째, 건전한 가정환경 또한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부모가 자녀와 정서적 유대를 유지하면서 자녀의 개별화를 격려할 때 정체감 발달이 촉진된다.
셋째, 서로의 경험, 계획, 희망, 공포를 나눌 수 있는 우정이 필요하다.
Ⅲ. 조원들의 청소년기와 이론적 결합
1) 사례 1
난 고등학교를 들어가면서 중학교 때까지의 나의 소극적이고 내성적인 성격이 싫었기에 이번에 고등학생이 된 김에 아직 애들이 나에 대한 선입관이 없으니까 이미지를 바꿔봐야겠다고 생각했고 적극적으로 친구를 물색했다. 하지만 처음 의욕은 많은 친구들을 사귀는 것 이였는데 결과적으로는 소수의 친구들과 깊게 사귀는 것이 되었다. 그 계기가 된 것으로는 내가 운동과 애니메이션에 관심이 많았기에 공통 관심사를 이용한 것이었는데 이것은 좋은 방법이었다. 하지만 이것을 통해 이루어진 일종의 가장 가까운 친구 녀석들은 결국 그중 리더적인 녀석이 생겨나는데 반해 친구 중에서 일종의 소외되는 사람도 생겨나게 되는데 그게 바로 나였다. 일명 은따(은근히 왕따)라는 것을 당한 것 이였는데 당시의 나로서는 이 친구들이 아니면 어울릴 친구가 없었기에 은따를 당하면서도 그 그룹에 속해있을 수밖에 없었다. 그러면서 내적으로 쌓인 갈등과 고민으로 나만의 세계를 만들어 주로 그 안에서 지내게 되었는데 나에게는 글을 쓰는 것과(판타지소설) 애니메이션 이였고 갈등과 고민이 만든 다른 문제가운데에는 대인기피증이 있었다. 단적으로 버스정류장에 사람들이 있을게 싫어서 한 몇 미터 이상씩 떨어져있었고 얼굴은 바라도 못 봤으며 항상 땅만 바라보고 다녔었다.
그런 내가 뒤늦게나마 대학에 들어온 뒤에 무대에서서 공연을 한 뒤 내 자신의 문제라고 생각한 대인기피증을 극복할 수 있었으며 당시의 친구들(은따를 한)과도 지금은 거리낌 없이 지낸다.
▶ 마키아의 4가지 정체성 유형에서 정체감 획득을 위해서 고등학교에 진학하여 많은 노력을 하였으나 그에 대한 반대적 급부가 형성되면서 방황하고 더욱 정체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정체감 획득을 위한 노력과 정체감 유예의 사이에서 고민하고 방황하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설리반이 말하는 전청소년기(11~13세)의 시기에 동성 친구와의 긴밀한 관계를 원하는 상황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위의 학자들이 설명하는 시기의 극복이 늦어지면 다른 단계에서도 방황한다고 하였으나, 에릭슨의 성년전기와 청소년기 사이에서 자아정체감을 확립함으로 이후의 단계를 무사히 극복하게 되는 모습이다.
2) 사례 2
고등학교를 집에서 벗어나 처음으로 혼자 생활하면서 내 수준보다 평균이 높은 학교에 진학하다 보니 중학교에 비해서 자신감이 흔들리면서 방황하는 생활을 많이 하였다. 술과 당구, 그리고 소설책에 빠져서 내가 소설책의 주인공이 된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소설책도 그저 보는 게 아니라 하루에 세권에서 다섯 권에 가깝게 잠자고 밥 먹는 시간은 빼고 책만 보는 상황이었고, 이런 모습이 싫어서도 급우들과 많이 다투고 싸워서 항상 불려 다니는 생활이었다. 중학교까지 조금 산만하더라도 밝은 성격이었는데, 고등학교에 진학하면서 몇몇의 같은 중학교 출신의 친한 친구들을 제회하고는 관계를 맺기 싫어했고, 혼자만의 생각에 빠져서 생활해오다가 자포자기한 심정으로 여행을 다니기도 하면서 지내는 극히 내성적인 성격으로 변했다. 학년이 올라가면서 많이 좋아졌다고 하지만 사람들 앞에 나서는 것을 싫어했는데, 이런 모습이 싫었는지 고3 수능을 마치고 같은 중학교 출신의 절친한 친구들의 노력으로 많은 일들을 하면서 성격 개조에 들어가면서 나만의 생각에서 벗어나는 계기가 된 것 같다.
▶ 에릭슨의 제 5단계인 정체성 대 정체감 혼미의 단계이며 새로운 상황을 맞아 사회적인 압력과 요구에 부딪히고, 중학교 시절에 느끼는 자기존재와 다른 모습에 어떻게 대처하지 못하고 당황하는 모습을 보인다. 청소년기의 마지막인 시기에 어떠한 계기로 인하여 자아 정체감을 확립하게 되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Ⅳ. 우리조 전체 의견
1) 새롭게 알게 된 점
심리·사회이론을 공부하기 전 자신들의 청소년기를 돌아보면서 단순하게 행동의 현상적인 것만을 보고 그것을 이해하려 했었는데, 심리·사회이론을 공부 한 후 이 이론을 조원들의 청소년기와 접목시켜보면서 심리·사회이론은 우리 생애 전반에 걸쳐 발달하고 그 발달단계에 대한 과업이 있으며 조원들이 청소년기에 했던 행동들도 이 이론과 맞물려 발달했던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이런 발달은 현재에도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한계점
- 심리·사회 이론에 대한 전반적인 정의에 대해 설명할 자료를 찾기 힘들었다.
- 조원들의 시간표가 맞지 않아 모임을 할 때 어려움이 있었다.
- 심리·사회 이론을 주장하는 학자들을 조사하면서 거의 대부분의 자료가 에릭슨 위주의
자료가 많았으며 이 외에 학자들인 설리반과 마르시아에 대한 자료는 거의 없어 자료
구하는데 힘들었다.
참고문헌
「청소년복지론」. 양서원 홍봉선·남미애 공저 p.30~32.
「발달의 이해」 중앙적성출판사 William C. Crain p.246~280.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김규수 외6명, p252 ~ 253.
「청년 발달의 이해」. 양서원. 정옥분. p42 ~ 44.
http://user.chollian.net/~hansol87/study/fiden/conclu.htm
http://my.netian.com/~mskang0/24
daum sullivan http://campus.daum.net/Campus/search?w=tot&q=sullivan
인격발달이론(Erikson, Sullivan, Mahler, Piaget, 성격의 구조)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4.09.20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80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