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중추신경흥분제
2. 중추신경억제제 (CNS depressants)
3. 환각제 (Psychedelics)
4. 기 타
2. 중추신경억제제 (CNS depressants)
3. 환각제 (Psychedelics)
4. 기 타
본문내용
.
그러나, 도취감, 다행감 혹은 환각작용을 맛보기 위해 사용량의 수십배에 해당하는 50-100정을 흔히 냠용한다. 과량 복용시에는 횡설수설하며, 정신장애, 호흡억제 및 혼수예 이르며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 감기약 남용시 술과 함께 남용하는 경우가 많다. 소주 등에 다량의 러미라나 지놀타를 타서 마시는데 이것을 청소년 사이에서 "정글쥬스"라고 한다. 이것을 마시면 상승효과가 있어 매우 강한 도취감을 즐길 수 있다. 그러나 매우 위험하여 혼수, 호흡마비에서 생명을 잃을 수 있다.
(2) Carisoprodol (S정)
Carisoprodol(S정)은 중추신경으로부터 작용하여 골격 근육을 이완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과다사용될 경우 치명적이다. 과다사용시는 인사불성, 혼수쇼크, 호흡저하, 매우 드물게는 사망에까지 이르게 된다. Carisoprodol을 다른 알코올이나 중추신경억제제 및 신경안정제 계열과 함께 사용했을 경우에는 부가적인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상당한 주의를 요하는 약물이다. 이 약물에 중독된 경우 약물을 끊었을 때 생기는 금단증상으로는 온몸이 뻣뻣해지고 뒤틀리며, 혀꼬부라진 소리 등을 하게 된다.
(3) Phenylpropanolamine(PPA : 프링가올 등)
이 약물은 amphetamine 이나 ephedrine 과 아주 유사하다. 비강수축제로 쓰이는 약물이며, 한국에서는 루시안 정, 마로타 정, 액시링 정, 스렌 정, 아드리안 정, 타이나 정, 로즈카시 정, 샌디 정, 솔렌디 정, 프링가올 캅셀, 휘가 캅셀등의 이름으로 판매되고 있다. 이 약물은 사용중단시 남용, 내성증가. 금단증상과 같은 의존의 증거가 뚜렷하지는 않지만, 약물남용 관련 후유증이 나타난다.
PPA 고용량에서는 불안. 안절부절 못함, 정신병적 행동 등과 같은 독성효과가 나타난다. 어떤 경우에는 혼돈, 방향감각 상실, 급성기억상실, 실어증과 같은 급성 뇌증후군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약물과다사용하는 경우는 환각, 헛소리 등의 정신분열증상이 나타나고, 중단하면 손이 떨리고, 몸이 붓고, 과다수면하지만 자도 잔 것 같지 않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4) 이뇨제 Furosemide (Lasix)
이뇨제란 소변을 만들어내는 비율을 높혀주는 약을 의미한다. 이뇨제는 부기를 뺀다든가 체액 균형을 맞추기 위해 사용된다. Lasix 는 콩팥의 管(관)에 작용하는 고속 이뇨제로 이는 콩팥의 혈류를 증가시켜 윗부분의 수액과 전해질의 재흡수를 방해한다.
독성효과는 체액과 전해질 불균형이다. 고뇨산증이 흔히 나타나며, 위장장애와 위출혈, 단순 위장장애, 적혈구 및 백혈구 전구세포의 부족현상, 피부발진, 감각이상, 간기능장애등의 부작용이 나타난다.
Furosemide 는 알레르기성 간질성 신장염, 가역성 신부전증 등을 일으킬 수 있다. 탄수화물에 대한 내성이 떨어지고, 과량 사용할 때 이유를 알 수 없는 저혈당증이 오기도 한다. 이뇨제로 인해 귀에 있는 미로 림프의 전해질 구성 성분이 빠져 나가기 때문에 드물기는 하지만 일시적이거나 영구적인 귀머거리가 될 수 있다. 이뇨제는 특히나 혈장내 알부민과 결합을 아주 잘하기 때문에 다른 약을 사용했을 때 결합될 알부민이 모자라 체내에 들어왔었던 다른 약들이 빠져 나가지 못하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중추신경계 부작용으로 두통, 피로, 허약, 어지럼증, 지각이상, 소화기계 부작용으로는 오심, 설사, 구토, 식욕부진, 경련, 비뇨기계 부작용으로는 다뇨, 신부전, 당뇨등이 나타나며, 전해질 불균형이 초래되며, 기타로는 청력상실, 귀통증, 귀울림, 흐린시야, 과혈당증, 체위성 저혈압, 흉통, 심전도 변화, 순환기계 허탈 등의 부작용이 나타난다.
그러나, 도취감, 다행감 혹은 환각작용을 맛보기 위해 사용량의 수십배에 해당하는 50-100정을 흔히 냠용한다. 과량 복용시에는 횡설수설하며, 정신장애, 호흡억제 및 혼수예 이르며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 감기약 남용시 술과 함께 남용하는 경우가 많다. 소주 등에 다량의 러미라나 지놀타를 타서 마시는데 이것을 청소년 사이에서 "정글쥬스"라고 한다. 이것을 마시면 상승효과가 있어 매우 강한 도취감을 즐길 수 있다. 그러나 매우 위험하여 혼수, 호흡마비에서 생명을 잃을 수 있다.
(2) Carisoprodol (S정)
Carisoprodol(S정)은 중추신경으로부터 작용하여 골격 근육을 이완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과다사용될 경우 치명적이다. 과다사용시는 인사불성, 혼수쇼크, 호흡저하, 매우 드물게는 사망에까지 이르게 된다. Carisoprodol을 다른 알코올이나 중추신경억제제 및 신경안정제 계열과 함께 사용했을 경우에는 부가적인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상당한 주의를 요하는 약물이다. 이 약물에 중독된 경우 약물을 끊었을 때 생기는 금단증상으로는 온몸이 뻣뻣해지고 뒤틀리며, 혀꼬부라진 소리 등을 하게 된다.
(3) Phenylpropanolamine(PPA : 프링가올 등)
이 약물은 amphetamine 이나 ephedrine 과 아주 유사하다. 비강수축제로 쓰이는 약물이며, 한국에서는 루시안 정, 마로타 정, 액시링 정, 스렌 정, 아드리안 정, 타이나 정, 로즈카시 정, 샌디 정, 솔렌디 정, 프링가올 캅셀, 휘가 캅셀등의 이름으로 판매되고 있다. 이 약물은 사용중단시 남용, 내성증가. 금단증상과 같은 의존의 증거가 뚜렷하지는 않지만, 약물남용 관련 후유증이 나타난다.
PPA 고용량에서는 불안. 안절부절 못함, 정신병적 행동 등과 같은 독성효과가 나타난다. 어떤 경우에는 혼돈, 방향감각 상실, 급성기억상실, 실어증과 같은 급성 뇌증후군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약물과다사용하는 경우는 환각, 헛소리 등의 정신분열증상이 나타나고, 중단하면 손이 떨리고, 몸이 붓고, 과다수면하지만 자도 잔 것 같지 않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4) 이뇨제 Furosemide (Lasix)
이뇨제란 소변을 만들어내는 비율을 높혀주는 약을 의미한다. 이뇨제는 부기를 뺀다든가 체액 균형을 맞추기 위해 사용된다. Lasix 는 콩팥의 管(관)에 작용하는 고속 이뇨제로 이는 콩팥의 혈류를 증가시켜 윗부분의 수액과 전해질의 재흡수를 방해한다.
독성효과는 체액과 전해질 불균형이다. 고뇨산증이 흔히 나타나며, 위장장애와 위출혈, 단순 위장장애, 적혈구 및 백혈구 전구세포의 부족현상, 피부발진, 감각이상, 간기능장애등의 부작용이 나타난다.
Furosemide 는 알레르기성 간질성 신장염, 가역성 신부전증 등을 일으킬 수 있다. 탄수화물에 대한 내성이 떨어지고, 과량 사용할 때 이유를 알 수 없는 저혈당증이 오기도 한다. 이뇨제로 인해 귀에 있는 미로 림프의 전해질 구성 성분이 빠져 나가기 때문에 드물기는 하지만 일시적이거나 영구적인 귀머거리가 될 수 있다. 이뇨제는 특히나 혈장내 알부민과 결합을 아주 잘하기 때문에 다른 약을 사용했을 때 결합될 알부민이 모자라 체내에 들어왔었던 다른 약들이 빠져 나가지 못하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중추신경계 부작용으로 두통, 피로, 허약, 어지럼증, 지각이상, 소화기계 부작용으로는 오심, 설사, 구토, 식욕부진, 경련, 비뇨기계 부작용으로는 다뇨, 신부전, 당뇨등이 나타나며, 전해질 불균형이 초래되며, 기타로는 청력상실, 귀통증, 귀울림, 흐린시야, 과혈당증, 체위성 저혈압, 흉통, 심전도 변화, 순환기계 허탈 등의 부작용이 나타난다.
키워드
추천자료
청소년 약물 오.남요(술.담배)에 대하여
청소년 약물남용 실태와 대책
약물남용 청소년에 대한 보호관찰(수강명령) 프로그램
약물남용 청소년의 진단에 대하여
[교육학]청소년의 자살과 약물중독 (A+리포트)
청소년의 약물남용
청소년 비행, 개념, 특징, 원인, 유형, 왕따, 약물, 가출, 폭력, 성문제, 대안, 결론
청소년 약물 남용 사례조사
비행청소년(약물남용)
[청소년 문제행동] 우울증(憂鬱症)의 예후와 치료 - 우울증의 예후, 심리치료(상실감의 해소,...
청소년의 비행, 청소년의 가출, 청소년의 학교폭력, 청소년의 성문제, 인터넷 중독, 약물중독...
현대사회의 청소년 문제는 매우 다양하다. 청소년의 비행, 청소년의 가출, 청소년의 학교폭력...
청소년 중독 중 약물중독과 인터넷 중독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각각의 예방방법에 대...
[청소년 중독 중 약물중독과 인터넷 중독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각각의 예방방법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