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C (관세협력이사회)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CC (관세협력이사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설립배경과 목적

2. 기능과 조직구조

3.세계관세기구로의 전환과 한국의 가입

4.관세협력이사회의 활동
1)브뤼셀관세품목분류표
2)아타카르네(ATAcarnet)
3)개정교토협약

5.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본문내용

로 1976년부터는 그 명칭을 바꾸어 CCCN(Customs Cooperation Council Nomenclature)이라고 명하였다.
그리고 CCC에서는 이후에 세계무역량이 급증함에 따라 국제무역의 원활화를 도모하고자 당시까지 국가 및 산업부문별로 다양하게 되어 있던 상품분류체계 즉, SITC, CCCN, TSUSA(Tariff Schedule of the United States Annotated : 미국 관세율표) 등을 국제적으로 통일, 적용하기 위하여 CCCN을 골격으로 하여 관세율뿐만 아니라 통계·무역·운송과 관련된 모든 상품의 분류를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다목적 품목분류표인 통일상품명 및 부호체계에 관한 국제협약(HS : the 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을 체결하였다.
2) 아타카르네 (ATA carnet)
아타카르네 협약. 협약가입국의 중앙상공회의소는 관세당국으로부터 아타카르네 보증단체로
인정받은후 IBCC 보증조직에 가입함으로써 그업무를 취급하는 것을 말한다.
3) 개정 교토협약
·세관절차의 간소화 및 조화에 관한 국제협약.
·1996년 6월 작성 40개국 중 15개국만이 서명.
·통관절차 간소화를 통해 선진통관제도를 확립하기 위한 제도.
5.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선진통관제도의 실제 운영에 있어서 각 체약국이 당면한 자국의 현실에 따라 탄력적 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 놓았으며, 국내상황에 따라 이들 제도를 제한적으로 시행하고 점차 대상범위를 확대해 나가는 선진통관제도의 단계적 으로 도입해 나가는 자세가 필요하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9.23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83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