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Ⅰ장 조경미학
제Ⅱ장 조형의장론
제Ⅲ장 조경제도와 설계기초
제Ⅱ장 조형의장론
제Ⅲ장 조경제도와 설계기초
본문내용
쓰고 마커로 선의 두께로 변화시켜서 사용한다
◆ 수직선은 일정하게 하고 필요에 따라 보조선을 그려 주어라
2. 연필심 : 경도에 있어 다양하다
◆ HB : 넓은선이나 질감표현에 사용한다
◆ H : 제도용 연필로 만능적인 것이다. 모조피지 위에 레터링할때 적당하다
◆ 2H : 설계도면과 정밀한 도면에 적당하다. 잘 지워지지 않으나 쉽게 번지지 않는다
◆ 4H : 보조선과 흐린 계획선에 적당하다. 끝을 날카롭게 하여 사용한다. 복사는 잘되지 않는다
◆ B에서 7B까지 배열되어 있는 보다 부드러운 연필심이 있고 제도보다는 스케치하는데 적당하다. 보다 딱딱한 연필심은 9H까지 있는데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3. 심벌에 대하여 (동선을 나타내는 심벌등)
개념도에는 그 내용을 전달하고 형상화할 수 있는 심벌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러한 심벌은 단순해야 한다
◆ 개념 다이어그램은 6B연필, 싸인펜 또는 마터와 같은것으로 자유롭게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 음영을 나타내기 위해서 우선 매우 가는 사인펜으로 명확하게 그려주고 마커를 이용하여 그 내부를 채워라. 확실하게 내부에 칠하기를 원하다면 테두리를 깨끗이 할 필요가 있다
◆ 방향을 나타내는 기호는 넓게하여 마커로 한번에 짧게 그려라, 굵고 가는 사인펜으로 레터링에서 하는것처 럼 외곽선을 그려주어라
◆ 연속적인 운동을 나타내는 것은 수직과 수평적인 선을 연속하여 사용한다. 이때 마커를 잡는 법을 변화시키 지 말아라. 부드러운 곡선형 심벌을 표현하기 위해 몸의 위치를 변화시킬수도 있다.
4. 제도시 주의사항
◆ 농도의 짙음 : 모든선은 복사할때 명확하게 복사할 수 있도록 농도가 짙고 검어야 한다
◆ 일정한 선의 굵기 : 각 선의 굵기는 변화하지 않고 희미하게 되지 않게 선의 굵기가 일정해야 한다
◆ 명확성 : 선은 교차되어야 하고 정확하게 연결되어야 하며 끝이 명확해야 한다
◆ 선의 체계 : 다양하게 묘사된 선은 형태나 굵기를 분리하기 쉬워야 한다
◆ 명암의 특성 : 음영의 표현과 질감의 표현은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분명하게 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불필 요한 명암을 표현하여 도면을 지저분하게 하지 말아야 한다
5. 타이틀 박스 : 보통 도면의 아래쪽이나 오른쪽에 넣는다. 그 내부에는 아래와 같은 필수적인 요소를 넣는다
◆ 도면명 ◆ 설계회사(상호와 주소) ◆ 스케일 ◆ 수정과 날짜 ◆ check를 위한 공간
◆ 방위표 ◆ 프로잭트명 ◆ 도면번호 ◆ 프로잭트 주소와 개발자 이름
6. 그래픽이미지
① 정투영도 : 정투영도는 측정의 단축이나 변형이 있는 환경의 2차원적 이미지이다. 이미지는 디자인 아이디어 의 기본적인 전달에 매우 유용하다.
◆ 평면도 : 다만 수평적 관계만을 식별할 수 있도록 내려다 본 그림이다
◆ 단면도 : 구조 요소들의 그림을 보여주는데 중간을 관통하여 얇게 자른 것처럼 환경을 묘사한 매우 실용적 인 이미지이다. 그것은 전달에 중요한 단면도의 정보가 무엇이냐에 따라 평면도나 입면도로 사용될 수 있다.
◆ 입면도 : 수직이나 수평 관계를 묘사하는 어떤 각도로부터 환경에 대해 수직으로 바라본 그림
② 평행도 : 평행도 이미지는 3차원의 형태를 정의하고 그리는데 이미 사용되었다. 각도가 90도에 가까워질수록 명백히 유리한 지점이 더 높아지며 또한 180도에 더 가까워질수록 유리한 지점이 인간의 스케일과 연결되는 것처럼 보인다.
③ 투시도 : 토시도는 관찰자가 직접보는 것과 같이 환경을 묘사하기 때문에 모든 그래픽 이미지중에서 가장 실용적인 것이다.
◆ 수평선(HL) : 전형적으로 땅과 하늘이 맞닿음으로써 만들어지는 선이라고 설명된다. 그것은 지면과 평행으 로 설정하는 관찰자의 시선 높이이다
◆ 관찰점(SP) : 시선의 각도를 결정하는 환경에 대한 관찰자의 상대적인 위치이다. 시각의 60도 삼각뿔형은 평면도에서 관찰자의 위치 결정에 도움이 되는 참조 기준이다.
◆ 화면 : 관찰자가 환경을 보는 2차원의 선명한 면이다. 전망에서 지각되는 점은 그것이 시선과 연결되는 정 확한 위치에서 화면에 기록된다. 투시 이미지를 구성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화면은 실제의 스케일 측 정에 사용된다.
◆ 소실점(VP) : 보통 평행선이 만나는 지점의 투시 이미지의 점이다. 환경의 모든 선들은 소실점을 갖는다. 그것의 위치는 선 자체의 방향과 관찰자의 시선에 관련된다.
◆ 투시의 축소 비례 : 관찰자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요소들의 실제 크기가 점점 작아지는 것을 말한다. 이는 환경 지각의 근본 원리이며 투시 이미지에 매우 중요하다.
◆ 수직선은 일정하게 하고 필요에 따라 보조선을 그려 주어라
2. 연필심 : 경도에 있어 다양하다
◆ HB : 넓은선이나 질감표현에 사용한다
◆ H : 제도용 연필로 만능적인 것이다. 모조피지 위에 레터링할때 적당하다
◆ 2H : 설계도면과 정밀한 도면에 적당하다. 잘 지워지지 않으나 쉽게 번지지 않는다
◆ 4H : 보조선과 흐린 계획선에 적당하다. 끝을 날카롭게 하여 사용한다. 복사는 잘되지 않는다
◆ B에서 7B까지 배열되어 있는 보다 부드러운 연필심이 있고 제도보다는 스케치하는데 적당하다. 보다 딱딱한 연필심은 9H까지 있는데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3. 심벌에 대하여 (동선을 나타내는 심벌등)
개념도에는 그 내용을 전달하고 형상화할 수 있는 심벌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러한 심벌은 단순해야 한다
◆ 개념 다이어그램은 6B연필, 싸인펜 또는 마터와 같은것으로 자유롭게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 음영을 나타내기 위해서 우선 매우 가는 사인펜으로 명확하게 그려주고 마커를 이용하여 그 내부를 채워라. 확실하게 내부에 칠하기를 원하다면 테두리를 깨끗이 할 필요가 있다
◆ 방향을 나타내는 기호는 넓게하여 마커로 한번에 짧게 그려라, 굵고 가는 사인펜으로 레터링에서 하는것처 럼 외곽선을 그려주어라
◆ 연속적인 운동을 나타내는 것은 수직과 수평적인 선을 연속하여 사용한다. 이때 마커를 잡는 법을 변화시키 지 말아라. 부드러운 곡선형 심벌을 표현하기 위해 몸의 위치를 변화시킬수도 있다.
4. 제도시 주의사항
◆ 농도의 짙음 : 모든선은 복사할때 명확하게 복사할 수 있도록 농도가 짙고 검어야 한다
◆ 일정한 선의 굵기 : 각 선의 굵기는 변화하지 않고 희미하게 되지 않게 선의 굵기가 일정해야 한다
◆ 명확성 : 선은 교차되어야 하고 정확하게 연결되어야 하며 끝이 명확해야 한다
◆ 선의 체계 : 다양하게 묘사된 선은 형태나 굵기를 분리하기 쉬워야 한다
◆ 명암의 특성 : 음영의 표현과 질감의 표현은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분명하게 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불필 요한 명암을 표현하여 도면을 지저분하게 하지 말아야 한다
5. 타이틀 박스 : 보통 도면의 아래쪽이나 오른쪽에 넣는다. 그 내부에는 아래와 같은 필수적인 요소를 넣는다
◆ 도면명 ◆ 설계회사(상호와 주소) ◆ 스케일 ◆ 수정과 날짜 ◆ check를 위한 공간
◆ 방위표 ◆ 프로잭트명 ◆ 도면번호 ◆ 프로잭트 주소와 개발자 이름
6. 그래픽이미지
① 정투영도 : 정투영도는 측정의 단축이나 변형이 있는 환경의 2차원적 이미지이다. 이미지는 디자인 아이디어 의 기본적인 전달에 매우 유용하다.
◆ 평면도 : 다만 수평적 관계만을 식별할 수 있도록 내려다 본 그림이다
◆ 단면도 : 구조 요소들의 그림을 보여주는데 중간을 관통하여 얇게 자른 것처럼 환경을 묘사한 매우 실용적 인 이미지이다. 그것은 전달에 중요한 단면도의 정보가 무엇이냐에 따라 평면도나 입면도로 사용될 수 있다.
◆ 입면도 : 수직이나 수평 관계를 묘사하는 어떤 각도로부터 환경에 대해 수직으로 바라본 그림
② 평행도 : 평행도 이미지는 3차원의 형태를 정의하고 그리는데 이미 사용되었다. 각도가 90도에 가까워질수록 명백히 유리한 지점이 더 높아지며 또한 180도에 더 가까워질수록 유리한 지점이 인간의 스케일과 연결되는 것처럼 보인다.
③ 투시도 : 토시도는 관찰자가 직접보는 것과 같이 환경을 묘사하기 때문에 모든 그래픽 이미지중에서 가장 실용적인 것이다.
◆ 수평선(HL) : 전형적으로 땅과 하늘이 맞닿음으로써 만들어지는 선이라고 설명된다. 그것은 지면과 평행으 로 설정하는 관찰자의 시선 높이이다
◆ 관찰점(SP) : 시선의 각도를 결정하는 환경에 대한 관찰자의 상대적인 위치이다. 시각의 60도 삼각뿔형은 평면도에서 관찰자의 위치 결정에 도움이 되는 참조 기준이다.
◆ 화면 : 관찰자가 환경을 보는 2차원의 선명한 면이다. 전망에서 지각되는 점은 그것이 시선과 연결되는 정 확한 위치에서 화면에 기록된다. 투시 이미지를 구성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화면은 실제의 스케일 측 정에 사용된다.
◆ 소실점(VP) : 보통 평행선이 만나는 지점의 투시 이미지의 점이다. 환경의 모든 선들은 소실점을 갖는다. 그것의 위치는 선 자체의 방향과 관찰자의 시선에 관련된다.
◆ 투시의 축소 비례 : 관찰자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요소들의 실제 크기가 점점 작아지는 것을 말한다. 이는 환경 지각의 근본 원리이며 투시 이미지에 매우 중요하다.
추천자료
조경원문해석
[서양조경사]-「서구 문화사-메소포타미아-」를 보고...
일본의 자연미학
승양탕 화울탕 승양제습탕 승양조습탕 승양조경탕 승양거경탕 익위승양탕 승양화중탕 보원탕
조경관련답사-선유도공원
골프 18홀 조감도와 코스의 그림 및 자세한 설명
[경관][경관의 유사언어][경관의 관리기준][인공물로서 경관의 가치][미학으로서 경관의 가치...
[경관][경관관리제도][일본 경관관리제도 사례][경관관리제도 개선방안]경관의 의미, 경관의 ...
조경 수목학
[인문과학] 건축 미학
인근 공원 조사 및 시설물 조사하기(조경,도시공학)
공공예술
리드리히실러][실러][미학편지][미적교육][총체적인간][도덕국가] 실러의 총체적인 인간과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