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 론 ***
* ---------------------------------------------- 동기 및 동기 유발의 의미
*** 개 요 ***
1. ---------------------------------------------------------- 동기의 정의
2. ------------------------------------------------------- 동기유발 이란?
3. ---------------------------------------------------------- 동기의 기능
*** 본 론 ***
1. ------------------------------------------------ 동기에 관한 접근(이론)
1) --------------------------------------------------- 정신분석학적 접근
2) ----------------------------------------------------- 행동주의적 접근
(1) ----------------------------- 충동감소이론(drive reduction theory)
(2) -------------------------------------------------------- 강화 이론
3) ------------------------------------------------------- 인지론적 접근
(1) ------------------------------------------ 귀인이론(attributional theory)
(2) --------------------------------------------------------- 자아효능감이론
4) ----------------------------------------------------- 인본주의적 접근
5) ----------------------------------------------- 사회 학습 이론적 접근
2. -------------------------------------------------------- 학습동기 이론
1) ------------------------------------------------------------ 본능이론
2) -------------------------------------------------------- 추동감소이론
3) ------------------------------------------------------------ 욕구이론
4) ---------------------------------------------------------- 유인가이론
5) ------------------------------------------------------------ 인지이론
3. ------------------------------------------------------- 학습동기의 분류
1) --------------------------------------------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2) -------------------------------------------------- 성취동기와 과제동기
3) --------------------------------------- 생리적 동기와 심리 사회적 동기
*** 결 론 ***
1. ------------------------------------------------------ 학습목표의 확인
2. ------------------------------------------------------ 학습흥미의 환기
3. ------------------------------------------------------ 학습결과의 확인
4. -------------------------------------------------------------- 상과 벌
5. -------------------------------------------------------경쟁심과 협동심
♠ 참 고 자 료 ♠
수업에서 학생들의 동기유
* ---------------------------------------------- 동기 및 동기 유발의 의미
*** 개 요 ***
1. ---------------------------------------------------------- 동기의 정의
2. ------------------------------------------------------- 동기유발 이란?
3. ---------------------------------------------------------- 동기의 기능
*** 본 론 ***
1. ------------------------------------------------ 동기에 관한 접근(이론)
1) --------------------------------------------------- 정신분석학적 접근
2) ----------------------------------------------------- 행동주의적 접근
(1) ----------------------------- 충동감소이론(drive reduction theory)
(2) -------------------------------------------------------- 강화 이론
3) ------------------------------------------------------- 인지론적 접근
(1) ------------------------------------------ 귀인이론(attributional theory)
(2) --------------------------------------------------------- 자아효능감이론
4) ----------------------------------------------------- 인본주의적 접근
5) ----------------------------------------------- 사회 학습 이론적 접근
2. -------------------------------------------------------- 학습동기 이론
1) ------------------------------------------------------------ 본능이론
2) -------------------------------------------------------- 추동감소이론
3) ------------------------------------------------------------ 욕구이론
4) ---------------------------------------------------------- 유인가이론
5) ------------------------------------------------------------ 인지이론
3. ------------------------------------------------------- 학습동기의 분류
1) --------------------------------------------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2) -------------------------------------------------- 성취동기와 과제동기
3) --------------------------------------- 생리적 동기와 심리 사회적 동기
*** 결 론 ***
1. ------------------------------------------------------ 학습목표의 확인
2. ------------------------------------------------------ 학습흥미의 환기
3. ------------------------------------------------------ 학습결과의 확인
4. -------------------------------------------------------------- 상과 벌
5. -------------------------------------------------------경쟁심과 협동심
♠ 참 고 자 료 ♠
수업에서 학생들의 동기유
본문내용
내적 인지과정인 지각, 사고, 추론, 상상, 기대, 가치인식 등의 복잡한 기제의 작용에 의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본다. 이 이론의 기본적인 가정은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인식하고 해결하려는 의지와 욕구가 있으며, 끊임없이 자신을 개선하고 자기에의 기대를 충족시키려는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존재로 학습자를 규정한다는 것이다. 이 이론에는 페스틴저의 인지불협화 이론, 브램의 정신적 민감성 이론, 헌트의 최적 부조화 이론, 하이더와 켈리의 귀인이론, 반듀라의 자기 효능감 이론, 피아제의 인지갈등이론, 와이너의 귀인이론 등이 포함된다.
이 이론도 다른 이론과 마찬가지로 학습도기를 충분히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학습자는 인지적 작용에 의해서만 학습하는 것은 아니며, 외부의 자극이나 유인가에 의해서 학습행동이 결정되는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3. 학습동기의 분류
1)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내재적 동기는 흥미나 호기심과 같은 요인들에서 유래된 동기로 이것은 개인적 흥미를 추구하고 능력을 발휘하고, 그 과정에서 도전할 만한 것을 찾고 그것을 정복하는 자연스러운 경향성을 말한다. 사람들이 내재적으로 동기화 되었을 때는 활동 그 자체가 보상으로 작용을 하기 때문에 그 활동을 하도록 하기 위해 어떤 유인물도 처벌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외재적 동기는 성적이나 보상을 받기 위해, 처벌을 피하기 위해, 선생님을 만족시키기 위해, 혹은 과제 그 자체와 별 관계가 없는 다른 이유 때문에 무언가를 할 때 외재적 동기를 경험하게 된다. 외재적으로 동기화된 사람은 활동 그 자체에 대해서는 흥미가 없고, 그것이 가져다 줄 것에만 관심이 있다. 학습에 있어서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와 의미상으로 구분되는 것 같지만 엄격히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외재적 동기가 선행하여 내재적 동기가 발현된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학교에서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둘다 중요하다.
2)성취동기와 과제동기
성취동기란 사회적 동기의 일종으로서 매클랜드에 의하여 가장 조직적이고 광범위하게 연구되었다. 성취동기란 탁월한 업적을 이루려는 동기이다. 학습자가 탁월한 학습성과를 내려는 심적 상태로서, 그 결과에 따르는 만족감과 즐거움 때문에 열심히 학습하게 된다. 과제동기는 성취동기의 일종으로, 어떤 과제를 완전학습하거나 통달하려는 동기이다. 이러한 학습동기는 내재적 동기의 성질을 지닌다.
3)생리적 동기와 심리 사회적 동기
매슬로우의 욕구 위계론에 따라서 인간의 기본적인 요구인 배고픔, 갈증, 성, 단순한 호기심, 모성애등 생리적, 태생적인 욕구들이 초래한 충동들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발현되는 동기이다. 이에 비하여 심리 사회적 동기는 사회적 관계, 인정이나 성취, 개인적인 자아실현을 위하여 발현되는 도기를 일컫는다. 심리 사회적 동기는 자아 통합적 동기, 인지적 동기라고 할 수 있다. 학습동기로서 보다 관심 갖는 동기는 심리 사회적 동기이다.
*** 결 론 ***
교사는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해 내기 위해 새로운 것들을 탐구하고 연구해 나가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에 놓여 있다. 교사는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해 내기 위해 학생들의 흥밋거리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학생들의 요즘 가장 떠오르는 관심거리는 무엇인가를 제대로 파악하고 그것에 대한 자세한 전문 지식을 갖추어야한다. 여기서의 전문지식 이라 함은 그러한 관심거리에 대한 지식으로서 학생들이 알고 있는 수준과 같은 선을 유지해야 한다.
학습과 동기유발의 방법 5가지로 요약하여 정리할 수 있겠다.
1. 학습목표의 확인
학습동기는 학습목표와 결부된 동기라고 할 수 있으므로 학습목표를 학생들에게 실감있게 인식하도록 해야 한다.그 학습목표가 학생들이 당면한 문제해결과 결부되거나 생활에 필요한 지식을 얻으려는 욕구 등과 결부되면 가장 생생하고 효과적인 학습동기가 된다.
2. 학습흥미의 환기
흥미란 어떤 대상에 적극적으로 접근하여 선택하고 추구하는 情態이다. 학습자가 학습활동에 흥미를 갖고 있는 경우 학습이 능률적이고 효과적이다.
3. 학습결과의 확인
학습자 개개인은 그 학습결과가 좋은 경우 성취감을 가지고 그 학습을 더욱 강화해간다.반면 그 학습결과가 좋지 않은 경우 열등감을 갖게 되고 자신감을 잃는 경우도 있다.그러므로 실패가 주는 타격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4. 상과 벌 (敎育神話,pp.180-190. 이성호, 정음사(1989)참조)
상벌효과는 그 상벌에 사용하는 자극과 주체적 환경적 요인에 의해서 다르게 나타난다.같은 상벌일지라도 연령과 요구에 따라, 성격(내향성,외향성)과 사회적 요인(사회적 장면,집단의 분위기,인간관계)에 의해 효과가 다르다.
상벌이 남용되고 만성화되어 버리면 동기유발에 아무런 효과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성격형성에도 적지 않은 피해를 주게 된다.
5. 경쟁심과 협동심
단독으로 학습하는 것보다는 집단에 소속되어서 학습하게 될 때 집단분위기의 영향을 받아서 학습의욕이 강화된다.
위에서 제시한 5가지 중에서 개인적으로 4번째에 해당하는 “상벌”이 가장 일반적이고도 학습의 흥미 유발에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교육을 개선하는 길은 공장 모형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 신뢰와 자율을 보장하고 학생과 교사의 활동을 속박하기보다 확대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아마도 교육을 보다 확실히 망가뜨리는 길은 학생과 교사에게 당근과 채찍의 사용을 확대하는 것이다.
꼭 벌을 내린다고 보기 보다는 미워하는 녀석 떡 하나 더 줄 수 있는 따뜻한 관심 이야 말로 학습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면서...
교수님 한 학기 동안 열성적으로 강의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참 고 자 료 ♠
임규혁(1996). 교육 심리학. 학지사
박아성(2000). 교육심리학의 이해. 교육과학사
신명희(1999). 교육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김남성(1984). 교육심리학. 교육과학사
정범모, 박용헌(1970). 성취동기 그 육성과정의 이론과 실제. 배영사.
김서호의 교육학 사이트 : http://kimseoho.hihome.com/
황학영의 교육심리학 사이트 : http://user.chollian.net/~hansol87/
이 이론도 다른 이론과 마찬가지로 학습도기를 충분히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학습자는 인지적 작용에 의해서만 학습하는 것은 아니며, 외부의 자극이나 유인가에 의해서 학습행동이 결정되는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3. 학습동기의 분류
1)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내재적 동기는 흥미나 호기심과 같은 요인들에서 유래된 동기로 이것은 개인적 흥미를 추구하고 능력을 발휘하고, 그 과정에서 도전할 만한 것을 찾고 그것을 정복하는 자연스러운 경향성을 말한다. 사람들이 내재적으로 동기화 되었을 때는 활동 그 자체가 보상으로 작용을 하기 때문에 그 활동을 하도록 하기 위해 어떤 유인물도 처벌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외재적 동기는 성적이나 보상을 받기 위해, 처벌을 피하기 위해, 선생님을 만족시키기 위해, 혹은 과제 그 자체와 별 관계가 없는 다른 이유 때문에 무언가를 할 때 외재적 동기를 경험하게 된다. 외재적으로 동기화된 사람은 활동 그 자체에 대해서는 흥미가 없고, 그것이 가져다 줄 것에만 관심이 있다. 학습에 있어서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와 의미상으로 구분되는 것 같지만 엄격히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외재적 동기가 선행하여 내재적 동기가 발현된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학교에서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둘다 중요하다.
2)성취동기와 과제동기
성취동기란 사회적 동기의 일종으로서 매클랜드에 의하여 가장 조직적이고 광범위하게 연구되었다. 성취동기란 탁월한 업적을 이루려는 동기이다. 학습자가 탁월한 학습성과를 내려는 심적 상태로서, 그 결과에 따르는 만족감과 즐거움 때문에 열심히 학습하게 된다. 과제동기는 성취동기의 일종으로, 어떤 과제를 완전학습하거나 통달하려는 동기이다. 이러한 학습동기는 내재적 동기의 성질을 지닌다.
3)생리적 동기와 심리 사회적 동기
매슬로우의 욕구 위계론에 따라서 인간의 기본적인 요구인 배고픔, 갈증, 성, 단순한 호기심, 모성애등 생리적, 태생적인 욕구들이 초래한 충동들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발현되는 동기이다. 이에 비하여 심리 사회적 동기는 사회적 관계, 인정이나 성취, 개인적인 자아실현을 위하여 발현되는 도기를 일컫는다. 심리 사회적 동기는 자아 통합적 동기, 인지적 동기라고 할 수 있다. 학습동기로서 보다 관심 갖는 동기는 심리 사회적 동기이다.
*** 결 론 ***
교사는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해 내기 위해 새로운 것들을 탐구하고 연구해 나가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에 놓여 있다. 교사는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해 내기 위해 학생들의 흥밋거리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학생들의 요즘 가장 떠오르는 관심거리는 무엇인가를 제대로 파악하고 그것에 대한 자세한 전문 지식을 갖추어야한다. 여기서의 전문지식 이라 함은 그러한 관심거리에 대한 지식으로서 학생들이 알고 있는 수준과 같은 선을 유지해야 한다.
학습과 동기유발의 방법 5가지로 요약하여 정리할 수 있겠다.
1. 학습목표의 확인
학습동기는 학습목표와 결부된 동기라고 할 수 있으므로 학습목표를 학생들에게 실감있게 인식하도록 해야 한다.그 학습목표가 학생들이 당면한 문제해결과 결부되거나 생활에 필요한 지식을 얻으려는 욕구 등과 결부되면 가장 생생하고 효과적인 학습동기가 된다.
2. 학습흥미의 환기
흥미란 어떤 대상에 적극적으로 접근하여 선택하고 추구하는 情態이다. 학습자가 학습활동에 흥미를 갖고 있는 경우 학습이 능률적이고 효과적이다.
3. 학습결과의 확인
학습자 개개인은 그 학습결과가 좋은 경우 성취감을 가지고 그 학습을 더욱 강화해간다.반면 그 학습결과가 좋지 않은 경우 열등감을 갖게 되고 자신감을 잃는 경우도 있다.그러므로 실패가 주는 타격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4. 상과 벌 (敎育神話,pp.180-190. 이성호, 정음사(1989)참조)
상벌효과는 그 상벌에 사용하는 자극과 주체적 환경적 요인에 의해서 다르게 나타난다.같은 상벌일지라도 연령과 요구에 따라, 성격(내향성,외향성)과 사회적 요인(사회적 장면,집단의 분위기,인간관계)에 의해 효과가 다르다.
상벌이 남용되고 만성화되어 버리면 동기유발에 아무런 효과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성격형성에도 적지 않은 피해를 주게 된다.
5. 경쟁심과 협동심
단독으로 학습하는 것보다는 집단에 소속되어서 학습하게 될 때 집단분위기의 영향을 받아서 학습의욕이 강화된다.
위에서 제시한 5가지 중에서 개인적으로 4번째에 해당하는 “상벌”이 가장 일반적이고도 학습의 흥미 유발에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교육을 개선하는 길은 공장 모형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 신뢰와 자율을 보장하고 학생과 교사의 활동을 속박하기보다 확대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아마도 교육을 보다 확실히 망가뜨리는 길은 학생과 교사에게 당근과 채찍의 사용을 확대하는 것이다.
꼭 벌을 내린다고 보기 보다는 미워하는 녀석 떡 하나 더 줄 수 있는 따뜻한 관심 이야 말로 학습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면서...
교수님 한 학기 동안 열성적으로 강의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참 고 자 료 ♠
임규혁(1996). 교육 심리학. 학지사
박아성(2000). 교육심리학의 이해. 교육과학사
신명희(1999). 교육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김남성(1984). 교육심리학. 교육과학사
정범모, 박용헌(1970). 성취동기 그 육성과정의 이론과 실제. 배영사.
김서호의 교육학 사이트 : http://kimseoho.hihome.com/
황학영의 교육심리학 사이트 : http://user.chollian.net/~hansol87/
추천자료
행동주의 인지주의 학습이론 교육적 시사점 - 신교육의 이해, 교육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교육심리학의 개념과 발달의 의미 및 발달이론-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프로이드의 성격발달...
[교육심리학]1. 가드너의 중다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2. 콜버그...
교육심리학-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2015 교육심리학] 1.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가드너다중지능이...
[교육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s theory을 설명하고,...
[교육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을 설명, 교...
[2015 교육심리학] 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설명+ 가드너 다중지능이론 교육적시사점 2. 에...
(방송대교육심리) 교육심리학 가드너 다중지능이론, 에릭슨 성격 8단계설
[교육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을 설명하고...
[2015 교육심리학] 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설명, 가드너다중지능이론 교육적시사점 2. 에...
[2016 교육심리학] 콜버그 도덕성발달이론 설명, 콜버그 도덕성발달이론 교육적시사점, 계속...
교육심리학의 연구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자신이 관심있는 교육현상에 대하여 생각해본 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