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외계 생명체의 가능성
2. 외계 생명체의 생존 조건
1. 외계 생명체의 가능성
2. 외계 생명체의 생존 조건
본문내용
데 중요할 것입니다).
셋째로 산소는 왜 필요한가? 산소는 유기물과 반응하여 에너지를 생산해낼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물질입니다. 다시 말해 산소원자 두개가 붙어 있는 산소기체는 적당히 불안정하여 다른 물질과 쉽게 반응합니다(여기에서 에너지가 발생하며 또한 발생되는 에너지는 매우 큽니다).
질소하고 오존을 예로 든다면, 질소기체는 아주 안정되어 다른 물질과 거의 반응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질소를 들어 마셔도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또한 오존(산소원자 3개로 구성)은 너무나 불안정한 물질이어서 대단히 반응성이 강합니다.
그래서 만약 오존을 들어 마신다면 허파에 큰 손상이 생겨 생명체에는 치명적이 될 수 있습니다(오존이 살균제로 쓰이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따라서 외계생명체를 찾을 때는 우선 물과 산소를 찾는 것입니다(탄소는 대기나 암석 속에 여러 형태로 흔히 존재합니다).
참고로 같은 4족 원소이면서 탄소의 다음 주기에 존재하는 규소(Si)가 탄소 대신에 쓰일 수 있지 않느냐고 생각 할 수도 있습니다(지구의 지각에는 산소 다음으로 규소가 많습니다). 하지만 탄소 만큼 다양한 결합을 못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면에선 탄소와 비교가 되지 않습니다.
셋째로 산소는 왜 필요한가? 산소는 유기물과 반응하여 에너지를 생산해낼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물질입니다. 다시 말해 산소원자 두개가 붙어 있는 산소기체는 적당히 불안정하여 다른 물질과 쉽게 반응합니다(여기에서 에너지가 발생하며 또한 발생되는 에너지는 매우 큽니다).
질소하고 오존을 예로 든다면, 질소기체는 아주 안정되어 다른 물질과 거의 반응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질소를 들어 마셔도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또한 오존(산소원자 3개로 구성)은 너무나 불안정한 물질이어서 대단히 반응성이 강합니다.
그래서 만약 오존을 들어 마신다면 허파에 큰 손상이 생겨 생명체에는 치명적이 될 수 있습니다(오존이 살균제로 쓰이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따라서 외계생명체를 찾을 때는 우선 물과 산소를 찾는 것입니다(탄소는 대기나 암석 속에 여러 형태로 흔히 존재합니다).
참고로 같은 4족 원소이면서 탄소의 다음 주기에 존재하는 규소(Si)가 탄소 대신에 쓰일 수 있지 않느냐고 생각 할 수도 있습니다(지구의 지각에는 산소 다음으로 규소가 많습니다). 하지만 탄소 만큼 다양한 결합을 못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면에선 탄소와 비교가 되지 않습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