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반현황
2. 개발방법
3. 개발주제
4. 계획의 특징
5. 하우스 텐 보스의 주제 변천과정
6. 지구별 차별화 개발
7. 테마가 있는 호텔
8. 기타
◆ 기타 사진 자료
※ 평 가 ※
2. 개발방법
3. 개발주제
4. 계획의 특징
5. 하우스 텐 보스의 주제 변천과정
6. 지구별 차별화 개발
7. 테마가 있는 호텔
8. 기타
◆ 기타 사진 자료
※ 평 가 ※
본문내용
는 풍부한 자연환경이 이곳에는 있다. 하우스 텐 보스는 지난 1992년 무려 2천250억 엔을 투자해 문을 연 뒤 도쿄의 디즈니랜드와 함께 큰 인기를 모았으나, 96년을 고비로 입장객이 감소하면서 경영난을 겪어왔다. 여기에다 거품경제 붕괴로 인해 테마파크내에 조성한 1억엔 이상의 분양별장이 팔리지 않는 바람에 적자폭이 심화되어 왔다. 결국, 2003년 2월 26일자 연합뉴스 기사를 보면 ‘하우스 텐 보스가 계속되는 경영난 끝에 도산’했다고 일본 언론들이 보도했다.
하우스 텐 보스는 재정규모가 큰 관광지 계획인 만큼 나가사끼현 사세보시 지역의 지자체, 일본개발은행 등의 공공적 성격을 지닌 금융기관과 30개 일본기업이 제3섹터 방식으로 공동 출자하여 건설에 들어간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라 여겨진다. 그리고 이국(異國)의 풍경을 옮겨놓은 테마파크라는 점이 참신하고, 운하를 이용한 마리나 시설과 호텔 건설은 참으로 매력이 넘친다. 또한 지구별로 차별화를 두어 각각의 지구가 테마를 가지게 한 것 역시 칭찬할 만 하다.
비록 마스터플랜을 찾진 못했지만 인터넷으로 검색한 많은 사진 자료를 통해 알아본 하우스 텐 보스는 몇 가지 장점을 찾아볼 수 있다. 거리의 가로등 하나 조차도 네델란드 풍으로 연출할 만큼 작은 것 하나 놓치지 않을 정도로 신경을 썼다는 점과 수변 공간을 잘 활용했다는 점이다.
아직 도시계획에 관한 지식이 부족하고, 직접 하우스 텐 보스를 가보지 않은 나로서는 이 관광지 계획상에 나타난 문제점을 찾기란 좀처럼 쉽지가 않았지만, 나름대로 인터넷 검색을 하며 느낀 소견을 이야기 해 보자면, 먼저 하우스 텐 보스는 내국인(일본관광객)이 소화해 내기에는 너무 이국적이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각 국의 풍경을 모아놓은 테마파크도 아닌, 굳이 네덜란드라는 특정국가의 풍경을 테마로 한 것이 10년의 경영 끝에 도산의 결과를 내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또한 도산의 절대적인 원인은 무리한 확장과 부실경영으로 인한 재정악화라 생각이 들고 가장 큰 잘못은 경영 부실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겠다. 반면 타당성에 맞지 않는 무리한 개발을 미연에 제한하고, 일본 내국인 관광 유치와 더불어 아시아권 국가의 관광객 유치에 좀 더 많은 신경을 썼으면 도산이라는 결과는 피할 수 있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계획상의 문제점을 찾기에는 나의 노력이 부족했다는 또 하나의 결론을 내리고, 이를 반성하며 이 글을 마친다.
하우스 텐 보스는 재정규모가 큰 관광지 계획인 만큼 나가사끼현 사세보시 지역의 지자체, 일본개발은행 등의 공공적 성격을 지닌 금융기관과 30개 일본기업이 제3섹터 방식으로 공동 출자하여 건설에 들어간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라 여겨진다. 그리고 이국(異國)의 풍경을 옮겨놓은 테마파크라는 점이 참신하고, 운하를 이용한 마리나 시설과 호텔 건설은 참으로 매력이 넘친다. 또한 지구별로 차별화를 두어 각각의 지구가 테마를 가지게 한 것 역시 칭찬할 만 하다.
비록 마스터플랜을 찾진 못했지만 인터넷으로 검색한 많은 사진 자료를 통해 알아본 하우스 텐 보스는 몇 가지 장점을 찾아볼 수 있다. 거리의 가로등 하나 조차도 네델란드 풍으로 연출할 만큼 작은 것 하나 놓치지 않을 정도로 신경을 썼다는 점과 수변 공간을 잘 활용했다는 점이다.
아직 도시계획에 관한 지식이 부족하고, 직접 하우스 텐 보스를 가보지 않은 나로서는 이 관광지 계획상에 나타난 문제점을 찾기란 좀처럼 쉽지가 않았지만, 나름대로 인터넷 검색을 하며 느낀 소견을 이야기 해 보자면, 먼저 하우스 텐 보스는 내국인(일본관광객)이 소화해 내기에는 너무 이국적이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각 국의 풍경을 모아놓은 테마파크도 아닌, 굳이 네덜란드라는 특정국가의 풍경을 테마로 한 것이 10년의 경영 끝에 도산의 결과를 내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또한 도산의 절대적인 원인은 무리한 확장과 부실경영으로 인한 재정악화라 생각이 들고 가장 큰 잘못은 경영 부실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겠다. 반면 타당성에 맞지 않는 무리한 개발을 미연에 제한하고, 일본 내국인 관광 유치와 더불어 아시아권 국가의 관광객 유치에 좀 더 많은 신경을 썼으면 도산이라는 결과는 피할 수 있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계획상의 문제점을 찾기에는 나의 노력이 부족했다는 또 하나의 결론을 내리고, 이를 반성하며 이 글을 마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