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와 대중문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광고와 대중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광고
1)정의
2)광고의 종류
2-1.매체에 따른 분류
2-2.메세지에 따른 분류
2-3.광고주에 따른 분류
2-4.메세지 수용자에 따른 분류
2-5.지역에 따른 분류
3)광고의 기능
3-1.정기능(순기능)
3-2.역기능
4)광고의 변천사
4-1.광고발전단계의 특징
4-2.한국의 광고변천사
4-3.미래의 광고환경 예상

2.대중문화
1)대중문화의 기원
2)대중문화의 정의
3)대중문화의 기반
4)대중문화의 변천

3.광고가 대중문화에 미치는 영향

4.광고가 대중문화에 영향을 끼침으로서 나타나는 문제점

5.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본문내용

과거에 대란 향수 아니면 시대착오적인 복고주의의 표현으로 말하기도 한다. 사실 그런 오해는 의외로 많은 사람들에 의해 공유되고 있다. 공동체 문화를 원시 사회의 야만 정도로 이해하는 사람들은 의외로 많다. 도시적 삶에서 공동체 문화의 형성은 원래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어처구니없는 착각이 횡행하고 있다. 공동체 문화란 무엇인가? 그건 한 문화권 내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공동체 문제를 인식하고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쪽으로 사회적 삶의 방향과 내용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문화이다. 따라서 공동체 문화는 언어 또는 커뮤니케이션의 문제이기도 하다. 의미와 가치의 창조에 공동으로 참여하는 과정이 배재된다면 그건 결코 공동체 문화가 아니다. 특별한 날 큰 운동장에 수천, 수만 명이 모여 전통 문화 잔치를 벌인다고 해서 그것이 공동체 문화가 되는 게 아니다. 여의도에 수십만 인파가 운집해서 몸을 부딪쳐 가며 정치 연설이나 종교적 설교를 듣는다고 해서 그게 공동체 문화가 되는 게 아니다. 모든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행위가 공동의 문제를 공동의 차원으로 다루려 하기보다는 각 개인의 차원에서 개인의 고독과 소외를 치료하고 편의와 쾌락을 보장하는 쪽으로 치닫고, 그 당연한 귀결로 소비 행위가 개인의 욕구 충족이라는 차원에서 삶의 일부가 아닌 전부가 되어 버릴 때 공동체 문화는 각 개인이 누리는 소비 행위의 총합이 갖는 의미 그 이상의 것이 될 수 없다. 놀랍게도 우리 사회에서 새롭게 변형된 공동체 문화의 의미는 상징적인 안정과 번영을 근거로 삼고 있는 듯이 보인다. 적자생존의 원칙이 지배하는 국제 사회에서 국가적 생존을 위해 국민 총화가 필요하다는 의미에서 공동체 문화라는 말이 거론되고 있는 것이다. 사회 계층간의 모든 갈등도 공동체 문화의 안정과 번영을 위해 유예되고 은폐되어야 한다는 의미로서 공동체 문화가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맹목적인 편의를 숭배하는 소비문화에 이미 길들여진 우리 모두가 공동체 문화에 반하는 삶을 살고 있다는 인식의 대전환이 없고서는 진정한 의미의 공동체 문화의 형성은 불가능하다.
그렇다고 개인과 공동체 사이의 갈등에 대해 무조건 공동체를 앞세우는 것만이 공동체 문화인 것은 결코 아니다. 그런 갈등을 공동 참여를 전제로 한 열려진 커뮤니케이션의 공간에서 해소할 수 있을 때에 비로소 공동체 문화가 형성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공동체 문화는 반드시 회복되어야 한다.
대중문화가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길도 바로 여기에 있다. 대중문화가 공동체 문화를 대신한 이상 대중문화는 공동체 문화의 성격을 가져야만 한다. 대중문화의 부정적인 측면을 지적하고 비판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것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대중문화의 긍정적인 측면을 발견해 내고 그것을 부각시키는 것이다.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이제 광고는 대중문화와는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는 존재이다. 광고가 대중문화의 것을 더 많은 사람에게 전달하고 때로는 사회적 이슈로 만드는 경우도 있고, 광고가 새로운 대중문화를 창조해 나가기도 한다. 이렇게 광고가 우리 대중문화에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는 지금 광고를 만드는 사람은 자기가 만든 광고가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한번 더 생각해보고 나 하나의 이익과 영달에만 치우지지 말고 어떻게 좀더 사회에 도움이 되는가를 생각하고, 광고를 받아들이는 수용자는 짧은 광고 시간이지만 그것을 보고 무조건적인 수용을 하는 것이 아니라 비판적사고로 바라 볼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자세가 필요할 것이다.
- 참 고 문 헌 -
대중문화의 이해, 김원태 지음.
대중문화론, 강현두.
광고와 대중소비문화, 스튜어트 유엔 최현철 역.
대중문화의 겉과속, 강준만.
4조 광고와 대중문화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10.11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00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