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음(知音)과 옥수후정화(玉樹後庭花), 유연(翛然)원문의 해석 및 비평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음(知音)과 옥수후정화(玉樹後庭花), 유연(翛然)원문의 해석 및 비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緖 論

II. 本 論
1. 知音의 해석·감상
2. 玉樹後庭花의 해석·감상
3. 然의 원문 및 해석·감상

III. 結 論

본문내용

생을 영위함에 있어 남에게 부끄럽지 않은 떳떳함과 가치추구활동에 대한 만족감, 즉 후회 없는 삶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III. 結 論
知音(지음), 玉樹後庭花(옥수후정화), 然(유연)은 중국 사상가들과 진나라 고사에서 유래한 용어들이다. 후대에 用事로서 秋夜雨中(崔致遠), 登潤洲慈和寺 (崔致遠), 訪曹處士山居(朴渟) 등의 한시에 사용되었다. 위의 세 용어들은 문장 가들이 用事로 사용하며 후대에도 교훈을 주는 가치 있는 용어들이다.
學生의 입장에서는 溫故知新의 자세로 옛 것이라 하여 배척하지 않아야 하고, 역으로 무조건적인 수용보다는 재창조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參考文獻
1. 이병한,「중국고전시학의 이해」,文學과 知性社, 1992
2. 김석환 역주, 壯子, 학영사, 1999
3. 정창영,「열자」, 시공사, 2001
4. 김학주,「열자」, 을유문화사, 2000
5. 최효선 역해, 동양의 지혜 壯子, 고려원, 1994
6. 진순신,「(대하역사평설)중국의 역사」, 도서출판 한길사, 1995
7.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03년도 제 1학기 지상강좌
8. 오긍, 정관정요, 홍익, 1998
9. 윤용식/손종흠,「한문고전강독」,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2001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4.10.12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01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