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아쓰기와 풀어쓰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모아쓰기와 풀어쓰기란 무엇인가

2. 풀어쓰기를 주장하게 된 배경

3. 모아쓰기와 풀어쓰기의 장단점

4. 결론

본문내용

성원들간의 약속이다. 600년 가까이 모아쓰기를 사용해 온 관습을 쉽게 바꿀 수 있을까? 꼭 관습 때문이 아니더라도 모아쓰기의 단점보다는 풀어쓰기의 단점이 더욱 더 불편하게 여겨지므로 아직까지는 풀어쓰기를 주장하는 쪽의 손을 들어줄 수가 없는 것이다.
모아쓰기와 풀어쓰기를 주장하는 것은 단지 관점의 차이라는 점도 간과할 수 없는 문제이다. 모아쓰기는 보는 사람의 입장에서, 풀어쓰기는 쓰는 사람의 입장에서 주장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언어 생활의 네가지, 즉 말하기, 쓰기/듣기, 읽기중에서 우리 생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듣기와 읽기이다. 말을 하거나 글을 쓰는 것보다는 타인의 말을 듣거나, 타인이 쓴 글을 보는 활동이 대부분이다. 그렇다면 쓰는 사람의 관점보다는 보는 사람의 관점에서 생각하는 것이 옳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모아쓰기와 풀어쓰기에 대하여 어느 한쪽이 우세하다고 할 수 없으므로 나는 이러한 결론을 내려본다. 우리의 언어생활에서는 모아쓰기를 하되, 약자나 풀어쓰기를 하여도 크게 의미의 상실이나 혼동이 생기지 않을 경우, 또 사회적으로 묵인된 약속의 경우(앞에서도 언급이 되었지만 통신어체에서 사용되는 ㅎㅎㅎ, ㅋㅋㅋ, ㄱㅅ, ㅈㅅ등)에도 풀어쓰기가 사용될 수 있고, 현재 사용되어 지고 있는 국제음성기호의 여러음성기호들을 한글로 바꾸어 표기할 때 풀어쓰기의 방식을 도입하는 것이 어떨까 하는 결론을 내려본다.
모아쓰기와 풀어쓰기가 어느 한쪽이 우세하다고 결론을 내리기 전에 과연 어떤 방식이 세계 최고 문자인 한글을 아름답고 영원토록 발전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서 생각을 해야 할 것이다.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10.17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07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