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전원회로 구성
1.1 참고사항
1.2 사용부품 및 기구
2. 트랜스 및 브릿지 다이오드만 부착된 경우
3. C1, R1 연결 시 A점의 출력
4. D2, D5 연결 시 B점의 출력
1.1 참고사항
1.2 사용부품 및 기구
2. 트랜스 및 브릿지 다이오드만 부착된 경우
3. C1, R1 연결 시 A점의 출력
4. D2, D5 연결 시 B점의 출력
본문내용
(전자회로 실험 1) 총 페이지 수: 8 pages
전자회로 1차 실험
2004년 10월 15일
14조
학 번, 이 름
00000000, 박현섭
목 차
1. 전원회로 구성 1
1.1 참고사항 2
1.2 사용부품 및 기구 2
2. 트랜스 및 브릿지 다이오드만 부착된 경우 3
3. C1, R1 연결 시 A점의 출력 5
4. D2, D5 연결 시 B점의 출력 6
호남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전자회로 1차 실험
1. 다음과 같은 전원회로를 구성 하시오.
1.1 참고사항
* 실험실에서 제공하는 트랜스포머의 2차측 전압은 6V 양파이다. 따라서 한쪽만 사용 하여 6V를 공급받는다.
* 브리지다이오드는 각각의 다이오드들 사용하지 않고, 1 모듈로 된 것을 사용 하시요.
* 트리스포머의 1차측 전원은 상용 220V를 사용한다. 감전되면 대단히 위험할 수 있으므로 주의요 망.
<그림 1.1>
1.2 사용부품 및 기구
①변압기 (1차측 : 220v, 2차측 : 6v)
②정류용 다이오드 (4개) -> 이 실험에서는 하나의 모듈셋 사용
③콘덴서 (50uF 1개)
④저항 (2.2K, 470옴 각각 1개)
⑤제너다이오드 (5.1v 1개)
⑥측정 장비 ( 테스터기, 오실로스코프 )
<그림 1.2>
2. 트랜스와 브릿지 다이오드만 부착된 경우( C1,R1,R2,D5가 없는 경우) 정류된 출력을 스코프로 측정하고, 계산치, spice 결과와 각각 비교 하시요. 또한 트랜스포머의 출력, 브릿지를 통과한 뒤 출력을 비교하시오.
* 예상 출력파형 계산
변압기 2차측의 파형 : 최대전압 6V를 가지는 사인곡선의 파형
브리지 정류를 통과한 파형 : 최대 전압 를 가지는 전파정류 파형
<그림 2.1> 스코프 측정 화면
<그림 2.2> 회로도
<그림 2. 3> spice 결과
* 변압기 출력의 측정값은 6V가 아닌 다이오드의 전압 강하로 인해 5.3V임을 확인 할 수 있다.
브릿지 정류회로를 거친 전파정류 역시 Vp - 1.4 = 4.6V 이다.
3. C1, R1을 연결하고 A점의 출력을 스코프로 측정하고, 계산치, spice 결과와 각각 비교 하시오.
* 예상 리플 계산치
따라서 리플계수는 0.097로 9.7%의 리플이 발생한다.
<그림 3. 1> 스코프 측정 화면
<그림 3. 2> 회로도
<그림 3. 3> spice 결과
계산에서는 대략 0.45V 정도의 리플전압이 발생하는 걸로 나왔습니다. Pspice확인 시 계산한 값과 마찬가지로 0.45V 정도의 리플전압이 발생 하는걸 알 수 있습니다.
4. 연속해서 R2, D5를 연결하고 B점의 출력을 스코프로 측정하고, 계산치, spice 결과와 각각 비교 하시오.
* 예상 출력 계산 값
B지점의 전압 출력 값이 4.57V임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알 수 있었습니다.
2.2 전압은 대략 4.5V임을 알 수 있으며 전류는 약 2.0mA 입니다.
470 전압은 대략 4.4mV임을 알 수 있으며 전류는 9.5uA 입니다.
<그림 4. 1> 스코프 측정 화면
<그림 4. 2> 회로도
<그림 4. 3> spice 결과
전자회로 1차 실험
2004년 10월 15일
14조
학 번, 이 름
00000000, 박현섭
목 차
1. 전원회로 구성 1
1.1 참고사항 2
1.2 사용부품 및 기구 2
2. 트랜스 및 브릿지 다이오드만 부착된 경우 3
3. C1, R1 연결 시 A점의 출력 5
4. D2, D5 연결 시 B점의 출력 6
호남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전자회로 1차 실험
1. 다음과 같은 전원회로를 구성 하시오.
1.1 참고사항
* 실험실에서 제공하는 트랜스포머의 2차측 전압은 6V 양파이다. 따라서 한쪽만 사용 하여 6V를 공급받는다.
* 브리지다이오드는 각각의 다이오드들 사용하지 않고, 1 모듈로 된 것을 사용 하시요.
* 트리스포머의 1차측 전원은 상용 220V를 사용한다. 감전되면 대단히 위험할 수 있으므로 주의요 망.
<그림 1.1>
1.2 사용부품 및 기구
①변압기 (1차측 : 220v, 2차측 : 6v)
②정류용 다이오드 (4개) -> 이 실험에서는 하나의 모듈셋 사용
③콘덴서 (50uF 1개)
④저항 (2.2K, 470옴 각각 1개)
⑤제너다이오드 (5.1v 1개)
⑥측정 장비 ( 테스터기, 오실로스코프 )
<그림 1.2>
2. 트랜스와 브릿지 다이오드만 부착된 경우( C1,R1,R2,D5가 없는 경우) 정류된 출력을 스코프로 측정하고, 계산치, spice 결과와 각각 비교 하시요. 또한 트랜스포머의 출력, 브릿지를 통과한 뒤 출력을 비교하시오.
* 예상 출력파형 계산
변압기 2차측의 파형 : 최대전압 6V를 가지는 사인곡선의 파형
브리지 정류를 통과한 파형 : 최대 전압 를 가지는 전파정류 파형
<그림 2.1> 스코프 측정 화면
<그림 2.2> 회로도
<그림 2. 3> spice 결과
* 변압기 출력의 측정값은 6V가 아닌 다이오드의 전압 강하로 인해 5.3V임을 확인 할 수 있다.
브릿지 정류회로를 거친 전파정류 역시 Vp - 1.4 = 4.6V 이다.
3. C1, R1을 연결하고 A점의 출력을 스코프로 측정하고, 계산치, spice 결과와 각각 비교 하시오.
* 예상 리플 계산치
따라서 리플계수는 0.097로 9.7%의 리플이 발생한다.
<그림 3. 1> 스코프 측정 화면
<그림 3. 2> 회로도
<그림 3. 3> spice 결과
계산에서는 대략 0.45V 정도의 리플전압이 발생하는 걸로 나왔습니다. Pspice확인 시 계산한 값과 마찬가지로 0.45V 정도의 리플전압이 발생 하는걸 알 수 있습니다.
4. 연속해서 R2, D5를 연결하고 B점의 출력을 스코프로 측정하고, 계산치, spice 결과와 각각 비교 하시오.
* 예상 출력 계산 값
B지점의 전압 출력 값이 4.57V임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알 수 있었습니다.
2.2 전압은 대략 4.5V임을 알 수 있으며 전류는 약 2.0mA 입니다.
470 전압은 대략 4.4mV임을 알 수 있으며 전류는 9.5uA 입니다.
<그림 4. 1> 스코프 측정 화면
<그림 4. 2> 회로도
<그림 4. 3> spice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