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제의 제기
2. 청소년문제의 개념
1) 청소년문제의 정의
2) 청소년비행의 개념
3) 협의의 청소년문제의 개념
4) 광의의 청소년문제의 개념
5) 최광의의 청소년문제의 개념
3. 청소년문제에 관한 이론
1) 생물학적 이론
2) 심리학적 이론
3) 사회학적 이론
4. 청소년기의 이해
1) 청소년의 신체, 생리적 특성
2) 청소년의 심리, 사회적 특성
5. 청소년문제의 종류와 유형
1) 청소년 성문제
2) 청소년의 가출문제
3) 청소년 학교폭력 문제
4) 집단 따돌림 문제
5) 청소년 중퇴문제
6. 청소년문제에 대한 사회복지적 대응방안
1) 청소년의 성적 주체성의 확립
2) 청소년문제 해결을 위한 전문적 방안
3) 청소년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적 방안
참고도서
2. 청소년문제의 개념
1) 청소년문제의 정의
2) 청소년비행의 개념
3) 협의의 청소년문제의 개념
4) 광의의 청소년문제의 개념
5) 최광의의 청소년문제의 개념
3. 청소년문제에 관한 이론
1) 생물학적 이론
2) 심리학적 이론
3) 사회학적 이론
4. 청소년기의 이해
1) 청소년의 신체, 생리적 특성
2) 청소년의 심리, 사회적 특성
5. 청소년문제의 종류와 유형
1) 청소년 성문제
2) 청소년의 가출문제
3) 청소년 학교폭력 문제
4) 집단 따돌림 문제
5) 청소년 중퇴문제
6. 청소년문제에 대한 사회복지적 대응방안
1) 청소년의 성적 주체성의 확립
2) 청소년문제 해결을 위한 전문적 방안
3) 청소년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적 방안
참고도서
본문내용
, 그렇다고 사회를 주도하는 기성세대도 아니다.
5. 청소년문제의 종류와 유형
1) 청소년 성문제
(1) 청소년의 성의식 및 성문제 실태
① 한국성문화연구소(1996)에 의한 조사에 의하면, 남고생의 성의식에 관한 연구에서
우리나라 남고생의 16.2%가 성교의 경험이 있었다고 했고, 학년별로는 1학년이 12.2%, 2학년이 20.4%, 3학년이 17.2%였고, 이들의 성교대상자에 대한 중복 응답결과는 여자친구나 애인의 경우 전체의 74.7%, 약 44%가 매매춘의 성격이 있는 윤락여성, 술집여자, 콜걸 등의 대상자와 성관계를 했다고 하였고, 3.4%는 동성애의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청소년의 성충동을 해소하는 방안을 중복 응답한 결과 자위행위를 하는 경우가 49.9%, 그냥 참는 경우가 46.5%, 성교를 하는 경우가 16.6%, PC통신이나 음란전화를 하는 경우가 6.9%였고, 이 중에서 성폭행을 하는 경우가 3.1%, 동성애의 경우가 1.0%로 나타났다. 성관계시 43.8%가 피임을 하지 않으며, 전체 응답자 중 1.5%의 청소년이 성병에 감염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한국성문화연구소(1997)에서 전국의 여고생 3,164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조사에 의하면, 이성교재의 경험은 44.4%, 자위행위의 경험은 15.2%, 키스와 애무의 경험은 26.8%, 성교는 7.5%가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 성교의 대상자는 남자친구가 63.8%인 150명이며, 첫 성교의 원인은 강요에 의해서가 38.7%, 성폭력이 11.9%, 사랑해서가 32.2%였다. 특히 이성 교재시 강요에 의한 성교를 경험하고 있다는 것이며, 또한 사랑해서 하는 경우도 상당수 있다는 점이다. 성경험의 빈도는 1회가 29.8%이고, 성경험을 가진 절반 이상의 여자 청소년은 반복적으로 성관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13.8%가 동성을 남자친구처럼 사랑해 본 적이 있고, 여고생의 50%이상이 동성애를 부정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③ 청소년개발원(1995)에서 서울지역 학생청소년 1,170명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청소년이 성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으며, 성적 욕구를 느끼는 청소년도 10명 중 8명이었다. 성 관련 고민 중 성적 충동이 15.8%, 성관계가 12.0%, 성병이 7.3%, 성폭행이 6.1%, 임신 5.5%, 출산이 3.9% 등 성에 대한 고민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청소년 성문제의 특징
우리나라 청소년의 성경험이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성에 대해 비교적 허용적인 태도를 갖는다는 점이다. 성에 대한 태도가 크게 이분화됨을 알 수 있다. 상당수의 청소년들이 성에 대해 긍정적이고 자연스런 발달과정으로 생각하는데 반해 부정적이거나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는 측도 적지 않다. 특히 여성의 경우는 남성에 비해 더욱 그러하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성행동은 성을 상품화하고 쾌락화하는 현 사회환경에 절대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점이다.(음란비디오, TV, 소설잡지, PC통신, 인터넷 등의 선정적인 매체를 통한 성지식의 습득) 우리나라 청소년의 성행동은 사랑의 표현이나 합의에 의한 성관계가 아닌 강요와 압력에 의한 성폭행의 특징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성에 대한 청소년의 개방적인 태도나 빈번한 성행위와 성행위에 따른 실제적인 문제, 즉 10대 임신, 낙태, 출산 등의 문제에 무방비상태라는 점이다. 체계적인 성교육이 행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흥미 위주나 왜곡되기 쉽고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성 지식의 습득이 어렵다)
2) 청소년의 가출문제
(1) 청소년 가출의 개념
◆ 미국 사회사업사전(NASW,1996)의 정의
가출청소년과 집 없는 청소년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가출청소년은 ”연령이 10~17세 이하로 부모나 보호자의 동의없이 적어도 하룻밤 이상을 집밖에서 지낸 청소년”으로 정의하고 있다. 집 없는 청소년은 “일정한 거주지 없이 부모나 보호자 또는 제도적 보호에서 제외된 청소년”으로 정의하고 있다.
◆ 전국(미국) 가출청소년서비스네트워크(NNoRaYS)의 정의
가출청소년(runaway)이란 18세 이하의 어린이나 청소년으로서 집을 나와 최소한 하룻밤을 지낸 청소년을 말한다. 집 없는 청소년(homeless youth)이란 부모나 대리 양육자 혹은 제도적인 보호에서 제외되어 집 없이 거리에서 지내는 청소년들로 대부분 빈곤가정이나 밀입국자 가정의 청소년들이다. 버려진 청소년(throwaway)이란 부모나 양육책임자에게서 어떠한 이유로든 내어
5. 청소년문제의 종류와 유형
1) 청소년 성문제
(1) 청소년의 성의식 및 성문제 실태
① 한국성문화연구소(1996)에 의한 조사에 의하면, 남고생의 성의식에 관한 연구에서
우리나라 남고생의 16.2%가 성교의 경험이 있었다고 했고, 학년별로는 1학년이 12.2%, 2학년이 20.4%, 3학년이 17.2%였고, 이들의 성교대상자에 대한 중복 응답결과는 여자친구나 애인의 경우 전체의 74.7%, 약 44%가 매매춘의 성격이 있는 윤락여성, 술집여자, 콜걸 등의 대상자와 성관계를 했다고 하였고, 3.4%는 동성애의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청소년의 성충동을 해소하는 방안을 중복 응답한 결과 자위행위를 하는 경우가 49.9%, 그냥 참는 경우가 46.5%, 성교를 하는 경우가 16.6%, PC통신이나 음란전화를 하는 경우가 6.9%였고, 이 중에서 성폭행을 하는 경우가 3.1%, 동성애의 경우가 1.0%로 나타났다. 성관계시 43.8%가 피임을 하지 않으며, 전체 응답자 중 1.5%의 청소년이 성병에 감염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한국성문화연구소(1997)에서 전국의 여고생 3,164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조사에 의하면, 이성교재의 경험은 44.4%, 자위행위의 경험은 15.2%, 키스와 애무의 경험은 26.8%, 성교는 7.5%가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 성교의 대상자는 남자친구가 63.8%인 150명이며, 첫 성교의 원인은 강요에 의해서가 38.7%, 성폭력이 11.9%, 사랑해서가 32.2%였다. 특히 이성 교재시 강요에 의한 성교를 경험하고 있다는 것이며, 또한 사랑해서 하는 경우도 상당수 있다는 점이다. 성경험의 빈도는 1회가 29.8%이고, 성경험을 가진 절반 이상의 여자 청소년은 반복적으로 성관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13.8%가 동성을 남자친구처럼 사랑해 본 적이 있고, 여고생의 50%이상이 동성애를 부정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③ 청소년개발원(1995)에서 서울지역 학생청소년 1,170명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청소년이 성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으며, 성적 욕구를 느끼는 청소년도 10명 중 8명이었다. 성 관련 고민 중 성적 충동이 15.8%, 성관계가 12.0%, 성병이 7.3%, 성폭행이 6.1%, 임신 5.5%, 출산이 3.9% 등 성에 대한 고민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청소년 성문제의 특징
우리나라 청소년의 성경험이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성에 대해 비교적 허용적인 태도를 갖는다는 점이다. 성에 대한 태도가 크게 이분화됨을 알 수 있다. 상당수의 청소년들이 성에 대해 긍정적이고 자연스런 발달과정으로 생각하는데 반해 부정적이거나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는 측도 적지 않다. 특히 여성의 경우는 남성에 비해 더욱 그러하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성행동은 성을 상품화하고 쾌락화하는 현 사회환경에 절대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점이다.(음란비디오, TV, 소설잡지, PC통신, 인터넷 등의 선정적인 매체를 통한 성지식의 습득) 우리나라 청소년의 성행동은 사랑의 표현이나 합의에 의한 성관계가 아닌 강요와 압력에 의한 성폭행의 특징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성에 대한 청소년의 개방적인 태도나 빈번한 성행위와 성행위에 따른 실제적인 문제, 즉 10대 임신, 낙태, 출산 등의 문제에 무방비상태라는 점이다. 체계적인 성교육이 행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흥미 위주나 왜곡되기 쉽고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성 지식의 습득이 어렵다)
2) 청소년의 가출문제
(1) 청소년 가출의 개념
◆ 미국 사회사업사전(NASW,1996)의 정의
가출청소년과 집 없는 청소년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가출청소년은 ”연령이 10~17세 이하로 부모나 보호자의 동의없이 적어도 하룻밤 이상을 집밖에서 지낸 청소년”으로 정의하고 있다. 집 없는 청소년은 “일정한 거주지 없이 부모나 보호자 또는 제도적 보호에서 제외된 청소년”으로 정의하고 있다.
◆ 전국(미국) 가출청소년서비스네트워크(NNoRaYS)의 정의
가출청소년(runaway)이란 18세 이하의 어린이나 청소년으로서 집을 나와 최소한 하룻밤을 지낸 청소년을 말한다. 집 없는 청소년(homeless youth)이란 부모나 대리 양육자 혹은 제도적인 보호에서 제외되어 집 없이 거리에서 지내는 청소년들로 대부분 빈곤가정이나 밀입국자 가정의 청소년들이다. 버려진 청소년(throwaway)이란 부모나 양육책임자에게서 어떠한 이유로든 내어
키워드
추천자료
[청소년, 청소년복지, 청소년복지정책, 청소년복지지원법, 청소년문제] 청소년의 특징, 실태,...
[청소년문제][청소년복지][청소년복지정책][청소년복지서비스][청소년문제][청소년]청소년문...
[청소년복지][청소년복지정책][청소년복지서비스][청소년문제][청소년복지체계][청소년]청소...
[청소년복지][청소년복지정책][청소년복지서비스][청소년복지체계][청소년][청소년문제][청소...
[현대사회문제][현대사회][사회문제]현대사회 인간소외문제, 현대사회 청소년문제, 현대사회 ...
청소년복지의 필요성과 정의 및 청소년문제 분석
[청소년복지][청소년문제][청소년문화]청소년문화, 청소년문제에 따른 청소년복지정책 고찰과...
[사회문제론] 비행청소년의 정의와 청소년 비행의 원인 및 청소년문제의 유형별 현황 그리고 ...
[청소년복지] 청소년문제를 아노미이론으로 접근할 때 발생되는 청소년 문제들과 이 문제들을...
[청소년복지] 언론매체에 보도되는 청소년문제 중 사이버 문화와 관련된 인터넷 중독에 대해...
[청소년복지론] 청소년 비행이론을 2가지 이상 정리하고 이러한 이론에 해당되는 사례를 우리...
현대사회와 청소년문제(가정문제 학교문제 사회문화문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