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학습의 수업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수학습의 수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수업의 정의
1. 수업의 개념
2. 수업과 교육과정
3. 학습과 수업

Ⅱ. 수업의 변인
1. 수업변인의 의미
2. 학습과제 변인
3. 교사 변인
4. 학습자 변인
5. 수업과정 변인

Ⅲ. 수업목표의 정의
1. 수업목표의 의미
2. 수업목표의 기능
3. 수업의 과정적 목표와 내용적 목표

Ⅳ. 수업목표의 진술
1. 수업목표의 진술수준
2. 행동적 수업목표의 진술원칙
3. Tyler의 진술방식
4. Mager의 진술방식
5. Gronlund의 진술방식
6. Gagné와 Briggs의 진술방식
7. 행동적 수업목표 진술의 장단점

본문내용

만들 수 있다.
(행동) (대상)
7. 행동적 수업목표 진술의 장단점
(1) 장점
1) 수업에 대한 분명한 단서 제공 : 행동적 수업 목표는 구체적인 행위동사로 진술되므로 교사들은 수업 전개를 보다 구체화할 수 있고 수업 효과를 보다 타당하게 판단할 수 있다.
2) 교수 설계의 기초 정보 제공 : 행동적 수업 목표는 수업 내용의 위계적 관계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므로 교수 설계의 기초가 되는 정보가 된다.
3) 수업 효과 평가의 토대 제공 : 학습자의 도착점 행동을 구체적 동사로 진술하면 수업효과를 정확하게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전 단계에서 이루어진 수업의 계획, 목표의 선정, 내용의 조직, 수업 방법 등에 관한 효율성을 점검할 수 있다.
4) 교육참여자들 간의 정확한 의사소통 가능 : 교수 목표를 행동적 용어로 진술하면 교육과정 개발이나 교수활동에 참여한 사람들 간에 공통의 수행 목표를 정확하게 전달하며, 맡은 영역의 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해 준다.
(2) 문제점
1) 교수 설계와 교수의 단편성 : 명세적으로 세분된 행동적 수업 목표는 수업 실제에서 낱개의 목표를 중심으로 수업이 진행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지식의 총체적인 수업을 어렵게 한다.
2) 학생들의 자유로운 사고 활동 저해 : 구체적으로 제시된 행위 동사가 수업의 목표가 될 경우 수업은 그 행동에만 국한되어 학생들의 다양한 사고나 폭넓은 능력의 습득을 저해할 가능성이 높다.
3) 행위 동사를 사용하기 어려운 교과가 존재 : 인문학 영역이나 미술, 음악 등의 예술 교과는 행위동사를 사용한 목표의 진술이 어렵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10.29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16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