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안남도와 자강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평안남도와 자강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직물·모직물·마직물 등 연간 4,400m를 생산하는 덕천편직물공장, 성천직물공장이 있다. 식료품공업으로는 온천식료·순천옥쌀·평성장 공장이 있다. 전력은 풍부한 석탄자원을 기반으로 시설용량 160만kVA의 북창화력발전소를 비롯해서 20만kVA의 순천화력발전소와 10만kVA의 평성화력발전소가 있으며, 영원수력발전소와 남강수력발전소가 있다.
교통은 철도가 주요교통수단이다. 대부분의 철도는 단선으로 전철화되어 있으며 평양을 기점으로 북한 전지역에 연결되어 있다. 평의선은 총연장 224.8㎞ 가운데 도내거리 47㎞로 평양-평성-신안주를 지나 평안북도 신의주까지 연장되며, 만포선은 총연장 303.4㎞ 가운데 도내거리 60㎞로 순천과 개천을 지나 자강도 만포시로 이어진다. 평라선은 총연장 781.1㎞ 가운데 도내거리 152㎞로 순천-성천-양덕을 지나 함경북도 나진시로 이어지며, 낭림산맥을 지나는 동서횡단 간선철도로 원유·비료·원목·광물 등을 수송한다. 그밖에 도내를 지나는 철도로는 평덕선이 총연장 192.3㎞로서 평안북도 구장에서 덕천-북창-성천 등을 지나며 탄전지대의 석탄수송에 이용되고 있고, 개천선(신안주-개천)·평안선(남포-용강온천) 등을 비롯해 도내 탄광과 광산을 연결하는 인입선이 사방으로 부설되어 있다. 도로망은 평양-안주 간을 연결하는 도로를 비롯하여 양덕-맹산-영원, 숙천-순천-북창-맹산, 평양-순천-개천-구장 간을 연결하는 도로가 있다. 그밖에 도내 각 시·군과 사업장을 연결하는 지방도와 산업도로가 발달되어 있다.
해방 전 평안남도는 2부 14군(평양부, 진남포부, 대동, 용강, 강서, 평원, 안주, 개천, 덕천, 영원, 중화, 강동, 성천, 순천, 맹산, 양덕)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1952년 12월 평안남도는 중화군 의 5개리, 대동군 의 2개리, 안주군의 2개리를 제외하고 평북 영원군의 1개리, 황해도 황주군 의 1개리, 곡산군의 3개리, 함남 영흥군의 3개리를 추가한 지역으로 바뀌었다. 당시 평남은 1개시와 27개 군(남포시, 순안, 대동, 순천, 은산, 북창, 링아산, 양덕, 신양, 성천, 회창, 개천, 덕천, 령원, 대흥)으로 이뤄졌다. 1963년 5월 강남군, 중화군, 삼원군을 평양시로 편입시키고, 1966년 3월 대동군의 대푸리, 금천리, 망일리, 원로리도 평양시로 편입시켰다. 1979년 12월에는 남포시, 대안시, 룡강군을 통합한 남포시(직할시)가 평남에서 분리됐다. 1980년에 청남구를 신설했고 평북 박천군의 덕성노동자구, 룡흥리, 송도를 평남 안주군에 편입했다. 1983년 3월 강동군을 평양시로 편입시켰다. 군의 시 승격이 현저해져 평성시(1969년 12월), 순천시(1983년 10월), 덕천시(1986년 6월), 안주시(1987년 8월), 개천시(1990년 8월)가 탄생했다. 1992년 1월 순천시를 양분해 다시 은산군을 설치했다. 현재 평남은 5개시, 15개군, 1개구(청남구)로 구성되어 있다. 도 소재지는 평성시이다. 우리나라 서북지방의 가운데에 있는 도. 북부는 평안북도와 자강도, 동부는 함경남도와 강원도, 남부는 평양시와 남포시, 황해북도, 서부는 조선서해와 서로 접한다.
④유물·유적·관광
고구려의 도읍지인 평양을 둘러싸고 있어 역사적 유물·유적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덕천시 승리산의 동굴에서는 덕천인(德川人)이라고 명명된 구석기시대 인류의 화석이 발굴되었으며, 온천군에는 북한의 대표적인 신석기시대의 조개무지 유적인 궁산원시유적(북한 사적 제24호)이 있다. 온천군 성현리의 어을동토성(북한 사적 제25호)은 1세기경에 구축된 것으로 추정되며, 그곳에 있는 점제현신사비(蟬선縣神祠碑:또는 蟬선碑, 북한 국보 제16호)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비석의 하나로 금석문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순천시 용봉리의 요동성총은 4세기 후반의 고구려벽화무덤으로 벽화에는 요동성(遼東城)이라는 글씨가 써 있는 성곽이 그려져 있으며, 순천시 북창리의 천왕지신총(天王地神塚)은 5세기 중엽의 고구려벽화무덤으로 천장에 천왕과 지신이 그려져 있다. 대동군 덕화리에 있는 제1·2호 무덤은 6세기 고구려벽화무덤으로 인물·풍속 및 사신도가 그려져 있다. 절터로는 평성시 봉린산에 고구려시대에 건축된 안국사(북한 보물 제8호)가 있으며, 평원군 신성리에 있는 법흥사는 고려 때 건축된 것으로 우리나라 31본산의 하나로서 8만대장경의 목각경판 700여 개가 보존되어 있었다. 안주시에는 고려 때 건축된 백상루(百祥樓)가 있으며, 평성시의 자모산성(북한 사적 제27호), 성천군의 자복사5층탑·정진사(북한 사적 제28호) 등이 있다. 관광자원으로는 연풍호, 회창의 백령산, 개천의 용원동굴(북한 천연기념물 제43호)을 비롯한 많은 석회암동굴, 양덕의 대탕지·덕만대·용천폭포 등 이름난 명승지가 많으며, 온천은 영원군의 온양온천, 온천군의 용강온천, 양덕군의 양덕온천과 석탕온천, 성천군의 성천온천 등이 있다. 약수는 도내 전역에 걸쳐 분포하며, 그 가운데 낭림·덕천·원리·수덕·지동·회창·용포·검산 약수가 유명하다.
청천강변 안주에는 극장·병원·백화점 등 편의시설이 있으며 순천·덕천·개천·온천 등 군소재지들은 현대적 도시로 바뀌었다. 도에는 사범대학·평남석탄공업대학·농업대학·의과대학·수의축산대학·공산대학·이과대학 등과 고등전문학교들이 있으며 평성에 과학원이 있다. 주요 공장·기업소·협동농장 등에는 유치원·탁아소가 운영되고 있다. 숙천군 검흥약수, 덕천군 덕천약수, 온천군 평남온천, 영원군 온양온천, 양덕군 석탕온천과 여러 요양소가 있다. 영풍호·성천 등은 경치가 아름다우며 안주 백상루(白祥樓)와 성천 강선루(降仙樓)터 등의 유적이 있다.
⑤교육·문화
북한의 정치·경제·문화의 중심지역으로서 많은 교육기관과 문화시설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평성의학대학·평성이과대학·평성축산대학·순천사범대학·순천화학대학·북창공업대학·덕천공업대학·개천석탄공업대학·성천교원대학·성천공산대학과 각 부분의 고등전문학교가 있으며, 평성시에는 과학원이 있다. 체육시설로는 3만 명의 관람석을 갖추고 있는 평성경기장과 2만 명을 수용할 수 있는 덕천경기장 및 개천경기장이 있으며, 평성시에는 중덕산실내체육관이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4.11.07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25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