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적 측면에서 연고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문화’라는 주제 아래 연고제

2. 연고제의 역사

3. 연고제의 행사 일정

4. 외국의 연고제 유사 축제

5. 연고제에 대한 우리의 시각 - 연세 춘추

6. 연고제에 대한 외부의 시각 - 외부 신문 및 인터넷 커뮤니티

7. 연고제가 지니는 문화적 순기능

8. 연고제가 지니는 문화적 역기능

9. 건전한 축제문화로서 연고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

본문내용

어 있다. 학교 선전에 돈을 투자하여 소비자(학생)들로 하여금 더 많이 오고 싶어 하게끔 만들고, 이러한 수요를 바탕으로 아무런 무리 없이 등록금 인상을 감행해 나가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학교측의 생각은 그들의 투자가 대학의 내실을 키우는 것이 아니라, 번지르르한 겉치레(건물의 외양 등), 그리고 고교생들에게 학교를 선전하는 데에만 집중되는 것만 보아도 충분히 알 수 있다.
연고전에 대한 학교의 막대한 투자 역시 마찬가지이다. 이는 학벌서열과 결합된 문제이다. 연고전에 큰 돈을 지원하는 학교 재단은 연고전이 가지고 있는 '학벌 폐거리' 조장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토록 하여, 사회 내에서 연고대가 가지고 있는 이른바 '일류 사학'의 지위를 굳건히 하려고 한다. 학교 못지않게 연고전에 많은 돈을 내놓는 교우회 역시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행사가 계속됨으로써 '최고사학'의 입지가 유지된다면, 그들은 계속해서 자신들의 학벌서열에서 나오는 기득권을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8. 건전한 축제문화로서 연고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
- 위에서 알아본 바대로, 우리가 연세인의 입장에서 순기능이라고 생각되는 것들도 외부의 시선에서는 역기능으로 비추어 질 수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고 해서 이에 대해 감정적으로 대응할 수만은 없는 일이다. 분명히 안티연고전 모임에서 주장하는 것을 일리가 있는 말이고, 우리는 우리의 축제를 누리고 싶어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연고제를 더 나은 방향으로 개선시켜 나가야 한다.
우선 연고전을 전후 한 연고제의 문화 행사들을 강화해야 한다. 대부분의 문화 행사는 그 해에 이슈가 되는 사회 문제와 연결 지어서 행사를 벌인다. 작년의 경우에는 양심적 병역기피에 대한 토론회를 벌이기도 했고, 올해는 '반전평화'에 관한 문제로 '반전평화 락 페스티벌', '반전평화 영화제'를 가졌다. 그러나 이러한 문화 행사는 연고전에 묻혀버리기 쉬웠던 것이 사실이다. 앞으로는 더욱 다양하고 학생들이 참여하기 용이한 문화 행사를 많이 마련해서 더욱 뜻깊은 연고제로 일구어 나가야 한다.
다음으로는 연고제를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축제의 장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들 스스로도 잘 알고 있는 바대로 토요일 저녁에 벌어지는 기차놀이 행사는 시민들에게 많은 불편을 끼치고 있다. 기차놀이는 예전 학생시위로 인해 신촌상인들과 학생들간 불화가 일자 상인측에서 화합을 도모하자며 자발적으로 말거리와 떡 등을 제공했던 일에서 비롯됐다고 한다. 그러나 이후 변질돼 현재 '약탈문화'로 불릴 정도로 주변 상인들은 물론, 신촌이나 안암을 찾는 시민들에게 특권 계급이 행패를 부리고 소란스럽게 굴어도 다 용서가 되는 왜곡된 축제로 변질되어 버렸다. 하지만 진정한 의미에서의 축제가 되려면 이러한 점은 개선되어야 한다. 학교에서는 연고전 때문에 피해를 입는 사람들에게 적절한 보상을 해주어야 하고, 학생들 스스로도 시민들에게 피해를 입히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연고제는 학생들이 주체가 되는, 자발적인 축제가 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학교측에서 이러저러한 일정을 가지고 올해 연고제를 시행하겠다는 지침이 내려오면 학생들은 이 장단에 맞춰서 춤추는 식으로 축제가 이루어져 온 것은 사실이다. 또한 연대, 고대라는 이름 아래 획일적인 행동을 강요하고 이에 반발하는 주장을 하면 '분위기 깬다'는 식으로 억눌러 버리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식의 전체주의적 태도는 창조적인 대학생의 모습에 부합되지 않는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2002년부터 정기 연고제 연세대 기획단을 모집하기는 했지만 아직 활발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지는 못하다. 학생들 모두가 축제의 주인공으로서 적극적으로 연고제에 참여해야 할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11.11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30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