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국의 사기업
- 대․중․소기업의 법률적 양적 및 질적 정의
2. 중소기업의 역할과 업종
- 중소기업의 역할
3. 한국이 대기업형 경제 또는 기업 집단형 경제가 된 경제적 이유
- 대․중․소기업의 법률적 양적 및 질적 정의
2. 중소기업의 역할과 업종
- 중소기업의 역할
3. 한국이 대기업형 경제 또는 기업 집단형 경제가 된 경제적 이유
본문내용
교전통이 중요한 한국사회에서 '면대면'관계가 긴요하였다. 1992년 현재까지도 기업 하나를 설립하려면 정부 각 부서로부터 312여개의 도장을 받아야 하고 아파트 몇 동을 건설하는 데도 70여개의 도장을 받아야 하며 시간도 1년이상 소용된다. 대기업이나 기업집단이 아니고서는 수많은 정부기관과 거래선을 면대면으로 접촉하며 기업 활동을 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있다.
(10) 기업경영인의 능력: 자유기업경제에서는 경험이 많고 유능한 기업경영인과 이러한 고급경영인을 많이 확보한 대기업들이 빨리 성장할 수밖에 없다. 후진국일수록 유능한 기업경영인이 가장 희소한 자원인데 이들 자원을 많이 확보하고 양성하는 그룹이 빨리 성장할 수밖에 없다.
(11) 수출품생산면에서의 특성: 한국 수출품의 상당부분은 신발, 합판, 섬유, TV, 자동차 등 이른바 OEM식의 최종제품(end products)으로서, 선진국바이어가 주문하는 대로 그리고 선진국 기계장치를 사용하여 대량으로 생산하고 수출하는 것들이었다. 최근까지 한국의 수출산업은 최종제품대량생산의 이점을 잘 이용하는 것이 성공의 요건이었으므로 자연적으로 대기업형 생산이 되지 않을 수 없었다. 하바드 경영대의 포터(Michael Porter) 교수는 이 점이 한국의 많은 대기업을 성장케 한 요인 중의 하나라고 하였다.
(12) 계열기업과의 협동생산의 필요성: 오늘날의 많은 기계와 전자제품의 생산에는 부품업체와의 협조가 필요한데, 대기업이 아니고서는 많은 하청기업과의 협업에 의한 생산이 어렵게 된다.
(13) 범위의 경제(economies of scope): 더 많은 업종을 경영하는 가운데 더 많이 배우고 경영정보도 더 많이 또한 쉽게 획득하며, 원료조달이나 마케팅 면에서도 유리해진다. 따라서 많은 업종을 경영할 때 각종 생산물의 단위당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14) 기업규모의 경제성(economies of firm size): 기업의 규모가 크게 되면 생산비나 판매비 등이 저하되는 이점이 있는데, 그 요인은 다음과 같다. 즉, 대규모경영의 경제성, 대규모판매의 경제성, 투자재원조달이나 금융면의 경제성, 그리고 연구개발(R&D)의 경제성 등이다.
<차례>
한국 기업조직의 특질
1. 한국의 사기업
- 대·중·소기업의 법률적 양적 및 질적 정의
2. 중소기업의 역할과 업종
- 중소기업의 역할
3. 한국이 대기업형 경제 또는 기업 집단형 경제가 된 경제적 이유
(10) 기업경영인의 능력: 자유기업경제에서는 경험이 많고 유능한 기업경영인과 이러한 고급경영인을 많이 확보한 대기업들이 빨리 성장할 수밖에 없다. 후진국일수록 유능한 기업경영인이 가장 희소한 자원인데 이들 자원을 많이 확보하고 양성하는 그룹이 빨리 성장할 수밖에 없다.
(11) 수출품생산면에서의 특성: 한국 수출품의 상당부분은 신발, 합판, 섬유, TV, 자동차 등 이른바 OEM식의 최종제품(end products)으로서, 선진국바이어가 주문하는 대로 그리고 선진국 기계장치를 사용하여 대량으로 생산하고 수출하는 것들이었다. 최근까지 한국의 수출산업은 최종제품대량생산의 이점을 잘 이용하는 것이 성공의 요건이었으므로 자연적으로 대기업형 생산이 되지 않을 수 없었다. 하바드 경영대의 포터(Michael Porter) 교수는 이 점이 한국의 많은 대기업을 성장케 한 요인 중의 하나라고 하였다.
(12) 계열기업과의 협동생산의 필요성: 오늘날의 많은 기계와 전자제품의 생산에는 부품업체와의 협조가 필요한데, 대기업이 아니고서는 많은 하청기업과의 협업에 의한 생산이 어렵게 된다.
(13) 범위의 경제(economies of scope): 더 많은 업종을 경영하는 가운데 더 많이 배우고 경영정보도 더 많이 또한 쉽게 획득하며, 원료조달이나 마케팅 면에서도 유리해진다. 따라서 많은 업종을 경영할 때 각종 생산물의 단위당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14) 기업규모의 경제성(economies of firm size): 기업의 규모가 크게 되면 생산비나 판매비 등이 저하되는 이점이 있는데, 그 요인은 다음과 같다. 즉, 대규모경영의 경제성, 대규모판매의 경제성, 투자재원조달이나 금융면의 경제성, 그리고 연구개발(R&D)의 경제성 등이다.
<차례>
한국 기업조직의 특질
1. 한국의 사기업
- 대·중·소기업의 법률적 양적 및 질적 정의
2. 중소기업의 역할과 업종
- 중소기업의 역할
3. 한국이 대기업형 경제 또는 기업 집단형 경제가 된 경제적 이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