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제왕절개의 정의
▣ 원인
▣ 수술방법
▣ 제왕절개분만을 위한 준비
▣ 제왕절개분만의 단점
▣ 합병증
▣ 제왕절개 후의 질식분만
▣ 제왕절개분만 간호
▣ 퇴원교육
▣ 전치태반의 정의와 위험요인
▣ 원인
▣ 증상 및 징후
▣ 진단
▣ 치료
▣ 경과 및 예후
▣ 원인
▣ 수술방법
▣ 제왕절개분만을 위한 준비
▣ 제왕절개분만의 단점
▣ 합병증
▣ 제왕절개 후의 질식분만
▣ 제왕절개분만 간호
▣ 퇴원교육
▣ 전치태반의 정의와 위험요인
▣ 원인
▣ 증상 및 징후
▣ 진단
▣ 치료
▣ 경과 및 예후
본문내용
출혈되는 양에 따라 위험성은 달라진다. 경미한 출혈에서부터 산모의 생명을 위협하는 대량 출혈까지 다양하다.
▣ 진단
질 출혈이 있는 경우는 전치태반을 항상 의심하여야 한다. 그리고 전치태반이 의심되는 경우는 내진을 하지 않는다. 이는 자극이 되어 대량 출혈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일단 질경으로 관찰한 후 초음파로 전치태반을 확인한다.
<전치태반의 초음파 사진>
▣ 치료
일단 출혈에 대한 처치가 필요하다. 대량 출혈인 경우 저혈액량에 의한 쇼크 등이 올 수 있기 때문에 주의깊은 처치가 필요하다. 이렇게 산모와 태아의 생명에위험을 주는 지속적인 출혈의 경우라면 응급 제왕절개술이 필요할 것이다.
경미한 출혈이라면 일단 입원 관찰한 후, 산모와 태아의 안녕이 확인되고 더 이상의 출혈이 없다면 퇴원 가능하다. 가능한 임신을 37주 이후까지 지속하기를 바라며 최소한 34주까지는 지속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신생아의 성숙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임신을 성공적으로 지속하여 분만을 하게 되는 경우 방법은 제왕절개술이다. 제왕절개술의 경우 대부분 자궁의 하부 횡절개를 원칙으로 하지만 하부 수직절개를 하는 경우도 있다. 유착태반과 동반되는 경우 출혈이 심한데, 여러 가지 방법을 동원하여 지혈을 시도하지만 실패하는 경우는 자궁적출술을 시행한다.
▣ 경과 및 예후
대개 임신 30주 이전의 전치태반은 임신이 지속되면 태반이 위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임신 30주 이후에 전치태반은 분만까지 전치태반이 되기 쉽다. 한 보고에 의하면 30주 이전에 진단받은 경우 분만까지 전치태반이었던 경우가 5% 미만이었고, 30주 이후인 경우가 24%정도였다.
전치태반으로 인한 출혈은 산모 사망의 한 원인이었다. 그러나 현재는 수혈, 수술법의 발달, 집중 치료 기술의 발달 등으로 사망률이 많이 감소되었다.
태아의 경우 조산의 위험이 많았고 이러한 조산은 신생아 사망의 주요 원인이다. 그 외 기형과의 연관성이 정상 임신보다 높았다.
▣ 참고문헌
·http://healthguide.kihasa.re.kr/kor/healthinfo/2001/01/contents/disease2.html
·http://www.medirepo.com/preg/Preg-par-care/previa.htm
·http://obgy.doctor.co.kr/pregnancy/cesarean.html
·최신임상간호메뉴얼 - 현문사
·여성건강간호학 Ⅱ- 현문사
▣ 진단
질 출혈이 있는 경우는 전치태반을 항상 의심하여야 한다. 그리고 전치태반이 의심되는 경우는 내진을 하지 않는다. 이는 자극이 되어 대량 출혈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일단 질경으로 관찰한 후 초음파로 전치태반을 확인한다.
<전치태반의 초음파 사진>
▣ 치료
일단 출혈에 대한 처치가 필요하다. 대량 출혈인 경우 저혈액량에 의한 쇼크 등이 올 수 있기 때문에 주의깊은 처치가 필요하다. 이렇게 산모와 태아의 생명에위험을 주는 지속적인 출혈의 경우라면 응급 제왕절개술이 필요할 것이다.
경미한 출혈이라면 일단 입원 관찰한 후, 산모와 태아의 안녕이 확인되고 더 이상의 출혈이 없다면 퇴원 가능하다. 가능한 임신을 37주 이후까지 지속하기를 바라며 최소한 34주까지는 지속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신생아의 성숙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임신을 성공적으로 지속하여 분만을 하게 되는 경우 방법은 제왕절개술이다. 제왕절개술의 경우 대부분 자궁의 하부 횡절개를 원칙으로 하지만 하부 수직절개를 하는 경우도 있다. 유착태반과 동반되는 경우 출혈이 심한데, 여러 가지 방법을 동원하여 지혈을 시도하지만 실패하는 경우는 자궁적출술을 시행한다.
▣ 경과 및 예후
대개 임신 30주 이전의 전치태반은 임신이 지속되면 태반이 위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임신 30주 이후에 전치태반은 분만까지 전치태반이 되기 쉽다. 한 보고에 의하면 30주 이전에 진단받은 경우 분만까지 전치태반이었던 경우가 5% 미만이었고, 30주 이후인 경우가 24%정도였다.
전치태반으로 인한 출혈은 산모 사망의 한 원인이었다. 그러나 현재는 수혈, 수술법의 발달, 집중 치료 기술의 발달 등으로 사망률이 많이 감소되었다.
태아의 경우 조산의 위험이 많았고 이러한 조산은 신생아 사망의 주요 원인이다. 그 외 기형과의 연관성이 정상 임신보다 높았다.
▣ 참고문헌
·http://healthguide.kihasa.re.kr/kor/healthinfo/2001/01/contents/disease2.html
·http://www.medirepo.com/preg/Preg-par-care/previa.htm
·http://obgy.doctor.co.kr/pregnancy/cesarean.html
·최신임상간호메뉴얼 - 현문사
·여성건강간호학 Ⅱ- 현문사
추천자료
C-sec전후 산모간호
골반봉와직염과 제왕절개 분만후 감염
(모성간호학)분만실 case study -제왕절개분만
c-sec (CESAREAN SECTION)
산욕case study - Cesarean Delivery 제왕절개분만
골절, 무의식환자 간호, 고위험가족 간호, 실어증, 신장이식환자 간호, 산과중환자 간호, 뇌...
분만실 케이스 - VBAC(Vaginal Birth After Cesarean section : 제왕절개후 자연분만) 환자의...
[영아발달] 다양한 대안분만법의 특징과 장단점을 설명하시오 (수중 분만법·조산원 분만법·르...
[여성]PROM CASE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조기 양막 파열, 조기파막, 제왕절개)
산부인과 실습 - C/S 케이스 [제왕절개 case study]
출산(출산의 과정) - 출산의 준비, 출산신호, 분만과정, 대안분만방법(라마즈분만법, 수중분...
출산과정에서의 아버지 참여에 대한 본인의 의견을 설명하고, 출산의 과정인 제왕절개에 대해...
제왕 절개술
Repeat+C-sec+문헌고찰+및+사례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