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성공이란 무엇인가?
① 랠프 윌도 애머슨의 성공의 정의
② 싸이월드 페이퍼 프로젝트 TF팀장으로 근무하고 있는 박지영씨의 성공의 정의
③ 메테르링크의 성공의 정의
④ 상대성원리를 창안한 세계적인 물리학자 아인슈타인의 성공의 정의
⑤제2차 세계대전 때에 영국수상 윈스턴 처칠의 성공의 정의
2. 성공 정의에 따른 모델 소개
① 공짜는 없다
② 미쳐야 한다
③ 남보다 한 발 빨라야 한다
④ 너무 늦은 시작은 없다
⑤ 낙천적이다
3. 모델의 성공 요인
① 출생 배경 및 약력
② 유년시절
③ 고향을 떠나서
④ 아버지의 사업 실패
⑤ 장애인 인권을 위해
4. 요인 분석 결과_ 교육적용방향 세우기
ⓛ 풍부한 독서량
② 다양한 경험
③ 자기 주도적 삶
5. 요약, 논의, 결론
① 랠프 윌도 애머슨의 성공의 정의
② 싸이월드 페이퍼 프로젝트 TF팀장으로 근무하고 있는 박지영씨의 성공의 정의
③ 메테르링크의 성공의 정의
④ 상대성원리를 창안한 세계적인 물리학자 아인슈타인의 성공의 정의
⑤제2차 세계대전 때에 영국수상 윈스턴 처칠의 성공의 정의
2. 성공 정의에 따른 모델 소개
① 공짜는 없다
② 미쳐야 한다
③ 남보다 한 발 빨라야 한다
④ 너무 늦은 시작은 없다
⑤ 낙천적이다
3. 모델의 성공 요인
① 출생 배경 및 약력
② 유년시절
③ 고향을 떠나서
④ 아버지의 사업 실패
⑤ 장애인 인권을 위해
4. 요인 분석 결과_ 교육적용방향 세우기
ⓛ 풍부한 독서량
② 다양한 경험
③ 자기 주도적 삶
5. 요약, 논의, 결론
본문내용
겠다고 했으나 그녀는 회복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병원에서는 다리가 다 부서졌어도 원래 장애를 가진 다리라고 깁스만 하고 수술을 안 해주어서 3개월 만에 퇴원을 했다. 그 후 그녀는 더 이상을 인생을 낭비하지 않겠다고 결심했다. 그리고는 '황금 고리 장학회'를 시작했다. 한 사람 한사람을 황금 고리처럼 사랑과 나눔으로 연결되는 사회를 만들고자 했다. 많은 사람들이 동참을 했고 200명이 고리가 연결되어 지원사업이 활발해지자 IMF가 터졌고 모금이 끊겼다.
1998년 5월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가 주최하는 경주에서 3박4일간 열린 한 일장애인교류대회에 참석했다. 한국여성장애인연합의 출발이었다. 1999년 4월 창립식을 갖고 상임대표에 이예자씨, 공동대표로는 이낙영씨와 그녀가 맡았다. 그녀는 부산조직의 책임자로 부산여성장애인연대를 설립했고 성폭력상담소, 여성장애인쉼터, 여성직업재활팀, 자립지원센터 등 많은 일을 했다. 현재 국회의원으로서 그녀는 여성, 장애인, 소외계층에 대한 차별과 편견에 대해 정치현장에서 바로 잡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4. 요인 분석 결과_ 교육적용방향 세우기
풍부한 독서량
장향숙의원은 비록 무학이었지만 형제나 친구들이 빌려오는 책을 읽으며 시간을 보냈다. 그래서 다른 아이들이 학교에 가서 수업을 들을 동안 그녀는 다양한 분야의 많은 책을 섭렵할 수 있게 되었다.
② 다양한 경험
장향숙의원은 어렸을 때부터 소아마비로 인해 신체적 부자유를 겪었지만 그래도 밖에 나가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았다. 그녀는 아버지의 사업 실패 이후 도시에 나가 살 때, 휠체어를 타고 시장에 나가 바깥 구경을 자주 하곤 했다. 비록 그녀를 구경하는 사람들이 더 많이 있었지만 그녀는 그런 주위의 시선에 아랑곳하지 않고 다양한 곳을 다니며 호기심을 해결하곤 했다. 그리고 "영라이프" 나 "사랑의 샘" 활동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쌓을 수 있었다.
③ 자기 주도적 삶
장향숙의원은 유년 시절 시골에 살 때부터 동네 친구들의 좋은 선생님이었다. 그래서 현재 목사가 된 남동생은 누나가 천재가 아닐까 생각을 할 정도였다고 한다. 그렇듯 친구들의 고민거리를 잘 들어주는 상담가도 되고 책에서 읽은 재미있는 이야기를 얘기해 주는 좋은 이야기꾼도 되었다고 한다. 많은 비장애인들도 자신의 외모에 하나씩은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남들에게 자신의 콤플렉스를 숨기려 하고 자신 있게 행동하지 못한다. 하지만 장향숙의원은 자신의 성 조차도 불분명할 정도의 심한 장애를 가졌지만 그것을 숨기려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나중에 성장하여 재활원에서 직업을 배우면서 자신의 생각을 더 깊이 있게 하여 장애인의 인권과 더불어 여성 장애인의 인권까지도 한층 높이는데 큰 몫을 하게 되었다.
장향숙의원의 성공 요인을 보았을 때 교사가 된 나는 학생들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우선 장향숙의원은 자기 스스로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또 어떻게 나아가야 할지 생각한 것 같다. 예전에는 수업 방식이 행동주의 방법이었기 때문에 학생의 자율적인 학습 태도는 무시되어져 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차츰 학생의 자율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구성주의 방법이 대두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교사인 나는 학생들 스스로가 자신이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찾을 수 있도록 좋은 나침반적인 역할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아이들이 직접 경험해보기 힘들 분야를 시청각 자료를 통해 알려주고 그 쪽 분야에 관심이 있거나 재능이 있는 아이들에게 그 분야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좋은 지원자가 되어야겠다. 그리고 학생들은 독서를 통해 평상시 느껴보지 않거나 생각지 않았던 것에 대해 한 번 더 생각할 수 있게 된다. 아이들에게 책 읽는 습관을 심어주는 것이 교사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독서를 하면 다양한 분야를 책을 통해 경험 할 수 있고 좋은 문장을 읽으면서 사고력이나 글짓기 실력 또한 함께 배양된다. 나도 중학교 시절 "7막 7장" 이란 책을 읽으면서 유학을 꿈꿔보기도 하고 그 책 첫 페이지에 나왔던 '이 책에는 마침표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아직 인생을 끝나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라는 구절을 보며 더 큰 포부를 가지고 미래를 준비할 수 있었다.
5. 요약, 논의, 결론
성공의 사전적 의미는 첫 번째 실패의 반대말로써 "뜻을 이루다"이다. 두 번째는 "부나 사회적 지위를 얻는다"로 출세와 비슷한 의미이다. 이처럼 성공은 자신이 원하는 일을 하며 그 일로써 부나 사회적 지위 또한 함께 얻을 수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나는 이 과제를 처음 받았을 때 성공과 행복 중 하나를 택일해야 한다는 것이 너무 어려웠다. 왜냐하면 평소 나는 성공을 한다면 행복한 삶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한 행복한 삶을 산다면 그것 또한 성공한 것이 아닐까? 내가 원하는 성공이란 부나 사회적 지위만을 이야기하지는 않는다. 부나 사회적 지위가 겉으로는 그 사람을 성공한 것처럼 보이게 할지 몰라도 그 안에 가정 파탄이나 주위에 그를 도와주는 친구가 없다고 생각한다면 그건 절대로 성공한 삶이 아니다. 나는 성공한 삶을 위해서는 3박자가 맞아야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우선 자신이 종사하고 있는 분야에서 성공을 이루는 것이다. 아무리 가정이 화목하고 친구가 많다 할지라도 하는 일이 매번 실패한다면 그는 인생에서 낙오자로 밖에 남을 수 없을 것이다. 두 번째는 화목한 가정이다. 자신의 분야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한다 할지라도 가정에 불화가 끊이지 않는다면 사회생활을 할 때에도 원만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세 번째로 내가 위험에 처하고 다급한 상황을 겪고 있을 때 자신의 이익이나 손해를 생각하지 않고 선뜻 나를 도와주기 위해 손을 내밀 수 있는 친구를 꼽을 수 있다. 그런 친구가 있다면 아무리 힘든 일이 있어도 "십시일반"이란 말처럼 무거운 짐을 덜 수 있을 것이다. 내가 선택한 성공의 모델 장향숙의원은 육체의 한계뿐만 아니라 학력, 성별의 한계 또한 뛰어넘은 대단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아직 국회의원이란 단추를 끼었을 뿐이라고 생각한다. 앞으로 더 멋진 그녀의 의정 생활과 사회생활을 기대한다. 그녀를 통해 장애인과 빈곤층 및 소외 받는 사람들에게 힘이 되는 세상이 되었으면 한다.
1998년 5월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가 주최하는 경주에서 3박4일간 열린 한 일장애인교류대회에 참석했다. 한국여성장애인연합의 출발이었다. 1999년 4월 창립식을 갖고 상임대표에 이예자씨, 공동대표로는 이낙영씨와 그녀가 맡았다. 그녀는 부산조직의 책임자로 부산여성장애인연대를 설립했고 성폭력상담소, 여성장애인쉼터, 여성직업재활팀, 자립지원센터 등 많은 일을 했다. 현재 국회의원으로서 그녀는 여성, 장애인, 소외계층에 대한 차별과 편견에 대해 정치현장에서 바로 잡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4. 요인 분석 결과_ 교육적용방향 세우기
풍부한 독서량
장향숙의원은 비록 무학이었지만 형제나 친구들이 빌려오는 책을 읽으며 시간을 보냈다. 그래서 다른 아이들이 학교에 가서 수업을 들을 동안 그녀는 다양한 분야의 많은 책을 섭렵할 수 있게 되었다.
② 다양한 경험
장향숙의원은 어렸을 때부터 소아마비로 인해 신체적 부자유를 겪었지만 그래도 밖에 나가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았다. 그녀는 아버지의 사업 실패 이후 도시에 나가 살 때, 휠체어를 타고 시장에 나가 바깥 구경을 자주 하곤 했다. 비록 그녀를 구경하는 사람들이 더 많이 있었지만 그녀는 그런 주위의 시선에 아랑곳하지 않고 다양한 곳을 다니며 호기심을 해결하곤 했다. 그리고 "영라이프" 나 "사랑의 샘" 활동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쌓을 수 있었다.
③ 자기 주도적 삶
장향숙의원은 유년 시절 시골에 살 때부터 동네 친구들의 좋은 선생님이었다. 그래서 현재 목사가 된 남동생은 누나가 천재가 아닐까 생각을 할 정도였다고 한다. 그렇듯 친구들의 고민거리를 잘 들어주는 상담가도 되고 책에서 읽은 재미있는 이야기를 얘기해 주는 좋은 이야기꾼도 되었다고 한다. 많은 비장애인들도 자신의 외모에 하나씩은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남들에게 자신의 콤플렉스를 숨기려 하고 자신 있게 행동하지 못한다. 하지만 장향숙의원은 자신의 성 조차도 불분명할 정도의 심한 장애를 가졌지만 그것을 숨기려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나중에 성장하여 재활원에서 직업을 배우면서 자신의 생각을 더 깊이 있게 하여 장애인의 인권과 더불어 여성 장애인의 인권까지도 한층 높이는데 큰 몫을 하게 되었다.
장향숙의원의 성공 요인을 보았을 때 교사가 된 나는 학생들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우선 장향숙의원은 자기 스스로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또 어떻게 나아가야 할지 생각한 것 같다. 예전에는 수업 방식이 행동주의 방법이었기 때문에 학생의 자율적인 학습 태도는 무시되어져 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차츰 학생의 자율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구성주의 방법이 대두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교사인 나는 학생들 스스로가 자신이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찾을 수 있도록 좋은 나침반적인 역할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아이들이 직접 경험해보기 힘들 분야를 시청각 자료를 통해 알려주고 그 쪽 분야에 관심이 있거나 재능이 있는 아이들에게 그 분야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좋은 지원자가 되어야겠다. 그리고 학생들은 독서를 통해 평상시 느껴보지 않거나 생각지 않았던 것에 대해 한 번 더 생각할 수 있게 된다. 아이들에게 책 읽는 습관을 심어주는 것이 교사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독서를 하면 다양한 분야를 책을 통해 경험 할 수 있고 좋은 문장을 읽으면서 사고력이나 글짓기 실력 또한 함께 배양된다. 나도 중학교 시절 "7막 7장" 이란 책을 읽으면서 유학을 꿈꿔보기도 하고 그 책 첫 페이지에 나왔던 '이 책에는 마침표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아직 인생을 끝나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라는 구절을 보며 더 큰 포부를 가지고 미래를 준비할 수 있었다.
5. 요약, 논의, 결론
성공의 사전적 의미는 첫 번째 실패의 반대말로써 "뜻을 이루다"이다. 두 번째는 "부나 사회적 지위를 얻는다"로 출세와 비슷한 의미이다. 이처럼 성공은 자신이 원하는 일을 하며 그 일로써 부나 사회적 지위 또한 함께 얻을 수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나는 이 과제를 처음 받았을 때 성공과 행복 중 하나를 택일해야 한다는 것이 너무 어려웠다. 왜냐하면 평소 나는 성공을 한다면 행복한 삶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한 행복한 삶을 산다면 그것 또한 성공한 것이 아닐까? 내가 원하는 성공이란 부나 사회적 지위만을 이야기하지는 않는다. 부나 사회적 지위가 겉으로는 그 사람을 성공한 것처럼 보이게 할지 몰라도 그 안에 가정 파탄이나 주위에 그를 도와주는 친구가 없다고 생각한다면 그건 절대로 성공한 삶이 아니다. 나는 성공한 삶을 위해서는 3박자가 맞아야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우선 자신이 종사하고 있는 분야에서 성공을 이루는 것이다. 아무리 가정이 화목하고 친구가 많다 할지라도 하는 일이 매번 실패한다면 그는 인생에서 낙오자로 밖에 남을 수 없을 것이다. 두 번째는 화목한 가정이다. 자신의 분야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한다 할지라도 가정에 불화가 끊이지 않는다면 사회생활을 할 때에도 원만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세 번째로 내가 위험에 처하고 다급한 상황을 겪고 있을 때 자신의 이익이나 손해를 생각하지 않고 선뜻 나를 도와주기 위해 손을 내밀 수 있는 친구를 꼽을 수 있다. 그런 친구가 있다면 아무리 힘든 일이 있어도 "십시일반"이란 말처럼 무거운 짐을 덜 수 있을 것이다. 내가 선택한 성공의 모델 장향숙의원은 육체의 한계뿐만 아니라 학력, 성별의 한계 또한 뛰어넘은 대단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아직 국회의원이란 단추를 끼었을 뿐이라고 생각한다. 앞으로 더 멋진 그녀의 의정 생활과 사회생활을 기대한다. 그녀를 통해 장애인과 빈곤층 및 소외 받는 사람들에게 힘이 되는 세상이 되었으면 한다.
추천자료
특수교육 지원센터 설치운영을 통한 특수학교 재구조화의 효율화 방안
유아교육-특수아교육에 대하여...
특수유아교육 개별화교육프로그램 (IEP)
특수교육의 최근동향과 통합교류교육의 연계 및 활성화
특수아교육 A형,장애아동 통합교육
특수교육에서의 개별화 교육
특수교육) 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논의
유아특수교육의 통합교육
특수교육과 통합교육
특수교육기관의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 조사, 사례 조사
특수교육 - 장애인교육.ppt
특수아교육4A) 정신지체(지적장애), 학습장애,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정서 및 행동...
특수아교육]정신지체의 개념, 원인, 특성, 판별 및 평가 방법, 교육 방안 정신지체(지적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