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t Friedman과 Sally Talley의 'Folly' - 랜포드 윌슨 탤리가의 어리석음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본문내용

된 생각 속에서 빠져 나오지 못하고 계란 껍질이 깨어질까 봐 무서워서 어떠한 행동도 못하는 계란신사처럼 산다면 Matt의 희망도 떨어지는 것이다. Matt의 설명에 의하면 Matt가 Sally네 식구들에게 한 이야기는 어떠한 사상(-ism)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었다. 그는 지난 여름에 Sally와 함께 boathouse에 있었다는 이야기를 했다고 한다. 미국 내에서 사는 이방인인 Matt를 Sally네 식구들은 경멸하고 자신들의 삶의 영역 속에 들어오는 것을 반대하고 있다. 극의 처음에서 Sally네 집안 사람들은 Matt를 공산주의자인 이교도라고 하면서 총까지 들이대면서 쫓아냈다. Matt와 Sally가 만나는 이 시기는 독일이 주축이 되어 일어난 세계이차대전에 미국이 연합국으로 참전한 때이다. 유태계 독일인인 Matt는 기독교와 자유주의를 수호하고 파시즘에 대항하는 미국인들이 볼 때는 공산주의자이며, 이교도인 것이다. Sally는 보수적이고 허세가 심한 자신의 식구들의 생각을 알고 있기 때문에 Matt를 좋아하면서도 그를 반대할 것이 뻔한 집안 식구들에게 알리는 것조차 겁을 내고 있었다. Matt 또한 사상적인 배경이 다른 Sally네 식구들의 반대에 겁내고 있었지만, 순전히 어떠한 사상이나 생각 때문에 Sally를 원하는 자신의 마음이 방해되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고, Sally를 사랑하는 자신의 감정을 이야기하였다. 그러자 자신들의 명예로운 가문을 우습게 알고 업신여긴다고 생각한 Sally의 오빠는 엽총을 들고서 Matt를 쫓아냈다. 그렇지만 이전에 전화를 통해서 숙모와 연락을 해온 그는 그녀가 자신을 사랑하고 있으며, 집에서 나갈 것을 희망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던 상태이다. 따라서 Matt는 Sally의 마음을 확인하는 것이 그녀의 집안 식구들의 동의를 얻는 것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결국 이들의 문제는 외부적인 요인이라기 보다는 자신들의 내적인 문제와의 충돌이었던 것이다. 과거를 정직하게 말해 Sally의 이해를 구하려고 한 Matt의 용기 있는 시도와 Sally가 집을 떠나고 싶어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등의 그의 지적은 Sally가 자신의 과거에 대한 이야기를 털어놓는 촉발제가 되어 결국 Sally는 그녀가 다른 이들에게 말하지 않았던 과거의 이야기를 한다. Matt가 말한 대로 세상을 다른 시각으로 본다면, 어떠한 문제이든지 간단히 풀릴 수도 있는 성질의 것이다. Matt가 지니고 있는 세상에 대한 냉소적이고, 부정적인 시각-더 이상 생명을 이 전쟁통의 세상에 불러들이지 않겠다는-과 Sally가 아이를 낳을 수 없다고 해서, 사랑하는 사람과 삶을 꾸리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자신이 과거의 일로 인해 겁을 먹고 두려움을 잔뜩 지니고 있었다는 것에 대한 Matt의 깨달음은 그가 지니고 있던 편견에도 용기를 주어서 Sally의 집안 식구들을 찾아가서 자신의 마음과 과거를 이야기하게 만들었으며, 그를 사랑하는 Sally는 총소리를 듣고 놀라 boathouse로 달려왔다. 이들은 아무도 돌보지 않는 boathouse를 그들만의 마음의 장소와 같이 여기고 이 곳에서 만나 서로의 이야기를 하면서 자신들 내부에 있던 마음의 장애를 극복하게 되었다. 결국, 두려움으로 인해 자신들의 과거와 단절하고자 했던 이 두 주인공의 어리석음(folly)은 낭만적인 Sally의 삼촌이 지었던 정고(folly)에서 치유법을 발견하고 극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3. 결론
사람들은 자신들의 과거에 빠져서 살고 미래를 계획하는데 많은 시간을 보내면서 평생을 살아간다. 하지만 지금 현재의 자신을 차분히 바라보는 데에는 굉장히 인색하다.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는 것은 자신의 과거의 모습을 보는 동시에 미래를 만들어 가는 진행형의 의미인 것 같다. Matt와 Sally가 잊고자 했던 과거는 현재의 자신들의 모습을 없애버리는 역할을 했다. 그들이 피하고자 했던 과거가 없이는 현재의 자신들은 있을 수가 없다. 자신이 원하지 않는 것이었으며, 또 고통스러운 과거 였다고 해도, 그러한 과거의 삶과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현재의 모습과 생각을 만들어 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미래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지금의 자신들이 필요하다. Matt와 Sally가 인생을 낭비하면서 살아왔다는 의미는 이들이 자신들의 과거를 제대로 파악하지 않고 단지 외면하면서 없던 일처럼 덮어버리고자 한 것에 있다.
과거는 잊혀질 수는 있지만 지워질 수는 없는 것이며 덮으면 덮을수록 도려진 상처는 더욱 깊어지고 곪아갈 뿐이다. 만일 Matt와 Sally가 계속해서 자신들의 과거를 바로 보지 않고 외면한 채로 살아갔다면 그들은 계속해서 껍질이 깨질까봐 담벼락에 서서 어느 쪽으로도 뛰어내릴 수 없는 Humpty Dumpty처럼 어떠한 결단도 내리지 못하고 우물쭈물하다가 현재 진행의 삶을 자신의 의사대로 진행시키지 못하고 바로 과거형으로 만드는 결과를 냈을 것이다. 자신을 가까스로 지탱하고 있는 껍질이 깨져버릴까봐 미리 겁에 질려서 다른 이와 의사소통 하기를 꺼리는 Matt와 Sally는 자신들을 둘러싸고 있는 두려움이라는 계란 껍질을 깨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 그렇지만 그들은 과거로 상징되는 자신들 개인의 역사를 인정하고 다른 이에게 이해시키려고 노력함으로써 사랑하는 사람과 의사소통을 하게 되고, 희망이 없는, 의미 없는 인생이라고 생각했던 인생을 다시 시작하기를 희망하고, 이제 그 희망으로 둘이서 손을 마주잡고 Sally가 벗어나고자 염원한 집을 떠날 수 있게 되었다.
WORKS CITED
Wilson, Lanford. Talley's Folly. New York: Hill and Wang, 1978.
류영균. 『서울시립대학교논문집』 「랜포드 윌슨의 희곡작품에 나타난 미국의 이미지: Talley's Folly와 5th of July를 중심으로」 서울: 시립대학교, 1992.
조은영. 『현대 영미 드라마 학회』 Vol. 9 「Lanford Wilson의 과거지향성과 미국의 문화적전통」
Web Sites
야후 백과사전: Second World War
  • 가격1,2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4.11.17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37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