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악기개량의 필요성
3. 국악기 개량에 대한 반대 입장
4. 국악기 개량에 대한 찬성 입장
5. 전통과 개량
6. 결론
2. 악기개량의 필요성
3. 국악기 개량에 대한 반대 입장
4. 국악기 개량에 대한 찬성 입장
5. 전통과 개량
6. 결론
본문내용
은 주체가 국가나 공공단체 또는 민간단체 혹은 개인이든 간에 매우 다방면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그러한 노력은 모두 악기제작의 과학성, 표준성, 현대성, 자재성, 실험성, 대중성, 정체성, 실용성 등이 반드시 확보되어야 한다는 전제를 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다양한 개량악기 제작은 바람직하지만 이것보다 선행되어야 할 것은 기존악기 고찰과 음향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악기의 개량 방향이 우리악기의 고유성과 독창성을 잃지 않는 선에서 이루어져야함은 물론이고 다른 나라 악기를 모방하지 않고 우리악기 고유의 소리를 잃지 않으며 현 무대에 적합한 악기로 보완하는 것 또한 중요한 일이 될 것이다.
17현 가야금 문제점 제기한 가야금 연구가 천익창(음악동아,92,11월호)
개량국악기전시회(국악신문,96,11,27)
국적만 바꾼 [국악기 개량](경향신문,95,6,3)
북한식 개량가야금(음악교육신문,96,12,4)
북한의 21현가야금 구조(월간음악,91,1월호)
상식을 벗어난 개량국악기(음악교육신문,97,1,8)
새납 북한개량악기(음악저널,91,6월호)
옥류금 북한개량악기(음악저널,91,2월호)
한국음악발전(음악저널,91,10월호)2
한편 다양한 개량악기 제작은 바람직하지만 이것보다 선행되어야 할 것은 기존악기 고찰과 음향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악기의 개량 방향이 우리악기의 고유성과 독창성을 잃지 않는 선에서 이루어져야함은 물론이고 다른 나라 악기를 모방하지 않고 우리악기 고유의 소리를 잃지 않으며 현 무대에 적합한 악기로 보완하는 것 또한 중요한 일이 될 것이다.
17현 가야금 문제점 제기한 가야금 연구가 천익창(음악동아,92,11월호)
개량국악기전시회(국악신문,96,11,27)
국적만 바꾼 [국악기 개량](경향신문,95,6,3)
북한식 개량가야금(음악교육신문,96,12,4)
북한의 21현가야금 구조(월간음악,91,1월호)
상식을 벗어난 개량국악기(음악교육신문,97,1,8)
새납 북한개량악기(음악저널,91,6월호)
옥류금 북한개량악기(음악저널,91,2월호)
한국음악발전(음악저널,91,10월호)2
추천자료
[국악기,전통악기]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원리,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주제에 따른 분류, ...
국악(한국전통음악)의 개념과 구성요소,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음계와 국악기(한국전통악기)...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 의미와 용도,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 바른 자세, 국악기(한국...
국악기(한국전통악기) 장구(장고) 유래와 바른자세, 국악기(한국전통악기) 장구(장고) 연습과...
[국악기][한국전통악기][전통악기][북]국악기(한국전통악기) 북의 의의, 국악기(한국전통악기...
전통악기(국악기, 한국전통악기) 장구(장고), 전통악기(국악기, 한국전통악기) 편종과 자바라...
팔음순에 의한 국악기(전통악기)의 분류, 국악기(전통악기) 사부와 혁부, 국악기(전통악기) ...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 역사와 쓰임,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 연주자세, 국악기(한국...
한국전통악기(국악기) 단소와 장고(장구), 한국전통악기(국악기)의 훈과 부, 한국전통악기(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