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속 이상심리 - 영화'나쁜남자'의 주인공 캐릭터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 속 이상심리 - 영화'나쁜남자'의 주인공 캐릭터를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면서

2. 본문1-영화의 전반적인 줄거리

3. 본문2-주인공 캐릭터 분석
1) 한기
2) 선화

4. 본문3-김기덕 감독의 생각과 심리 추리

5. 맺음말

본문내용

하는 것으로 쓰인다. 김기덕 감독이 한기를 자신의 페르소나로 여겼다는 것은 자기의 입장을 한기에게 부여했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기를 가해자로 설정한 것은 외상을 입은 자가 가해자로 서야만 보상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정신과 환자들이 자기의 아버지나 어머니가 자기에게 했던 방식으로 의사에게 적개심을 표출함으로써 자신의 외상을 치유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감독의 페르소나가 왜 하필 여자만 골라서 괴롭힐까? 그것은 자신의 외상을 구원받고자하는 대상이 여자이기 때문이다. 한기의 선화에 대한 사랑과 그녀로부터 자신의 영혼을 위로 받고자 하는 욕구가 경계를 넘나든다고 할 수 있다. 한기의 이런 정서를 시각적으로 가장 잘 표현하는 장면이 선화의 손을 잡고 그녀에게 안기다 시피 잠이 드는 장면이다. 자신을 치유할 사람이 여자라고 여기는 감독은 여자를 괴롭히는 것이 아닌 여자에 대한 의존성이 높은 사람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자신의 이런 입장을 이해해주는 이상적인 여성상을 만들어서 자신의 욕구를 해소하려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처음에는 거부와 분노로 일관하던 선화가 결국 한기를 이해하고 그와 동화되는 것은 감독 자신의 절실한 바람이었던 것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4.11.21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43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