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아동의 영어선호도 분석연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등학교 아동의 영어선호도 분석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머리말

II. 이론적 배경
1. 학습자 중심의 초등영어 교육
2. 아동의 영어 학습동기

III. 연구 방법
1. 연구 과제
2. 연구 대상
3.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1.학년별 영어 선호도
2. 영어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3. 학년간 영어 선호도
4. 기타 변인들의 학년간 차이
5. 저학년과 고학년 아동간 비교

V. 요약 및 제안

본문내용

영어선호도를 향상시킬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아동의 영어선호도는 아직 높은 편이지만, 상당한 수의 어린이가 영어를 싫어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학년 아동의 17∼23%, 고학년 아동의 39∼45%가 영어를 싫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변수들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이들이 영어를 싫어하는 이유가 주로 교재가 재미없고, 영어수업이 너무 어렵거나 실용성이 떨어지고, 교사가 충분히 아동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가르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학년간 영어의 난이도를 단계적으로 조정하고, 실용성이 높은 영어를 선택하고, 교과서도 현재보다 더 아동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관심을 끌만한 소재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수준별 학습 자료 개발이 필요하다. 영어를 싫어하고 영어 수업에 더 이상 큰 기대를 걸지 않는 아동이 서서히 증가하다가 5, 6학년에 가서 갑자기 증가하고 있는 것은 매우 우려할만한 현상이다. 이것은 제7차 영어과 교육과정이 수준별 학습을 지향한다고는 하지만 일선 교실에서는 아직 적절한 수준별 지도가 정착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수준별 학습은 5, 6학년 어린이에게 특히 필요한 것처럼 보인다. 이 때에 적절한 조처를 강구하지 않으면 영어에 흥미를 잃은 아동이 중학교에 진학해서 더 심한 영어 기피 현상을 보일 가능성이 많다(박약우 외 3인, 2001).
셋째, 저학년과 고학년에 각각 적합한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는 5, 6학년 아동은 3, 4학년 아동과 상당히 다르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고학년 아동일수록 개별 성격이 어느 정도 완성되어서 표출되고, 영어 교과의 유용성과 선호에 관한 판단 능력이 생기고, 지적인 활동이 필요한 언어 게임을 좋아하는 경향이 강하다(Girard, 1970; Cameron, 2001). 이러한 학년간 아동의 특성을 고려하면, 영어 교재의 개발에 일대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제6, 7차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은 음성영어를 중점적으로 가르친다는 원칙을 토대로 어린이들에게 읽기와 쓰기를 엄격히 통제해서 지도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영어 교과서는 학년간에 이렇다할 구별을 두지 않고 비슷한 체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 저학년 아동과 고학년 아동은 언어 학습 면에서 상당히 다른 특성과 기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부분적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고학년 영어 교과서는 저학년과는 다른 체제와 내용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고, 특히 문자 지도에 대해 보다 현실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넷째, 방과 후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어린이의 영어능력은 교실 수업보다는 가정 학습정도에 따라 결정됨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영어 수업의 난이도도 어린이가 가정에서 어느 정도나 영어를 개별적으로 학습하느냐에 따라 상당히 결정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현상은 학습자 중심의 교육에서 주장하는 '학습자 주도 학습'의 개념과 일맥상통 하다고 할 수 있다. 학습의 효과는 결국 학습자가 개인적으로 얼마나 자기 것으로 만들려는 노력에 좌우되는 것이다. 학습자가 교실에서는 열심히 하는 것처럼 보여도 배운 것을 자기 것으로 소화하지 않으면, 여전히 영어 능력 향상은 이루어지지 않아서 교실 수업은 어렵고 재미없게 되기 마련이다. 이것을 고려하면 방과후에 어린이들이 교실을 떠나서 개별 학습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서 운영할 필요가 있다. 특히 영어에 자신감을 갖지 못하는 어린이들을 위해 외부 강사나 자원 봉사자를 초빙하거나 학교 자체에서 연구 개발 팀을 조성해서 이러한 프로그램을 개설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y
참고 문헌
강병서, 김계수. (1998). 사회과학 통계분석. SPSS 아케데미.
김혜련. (1998). 초등영어 교재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만족도 조사. Foreign Language Education 4 (1), 5-22.
나건석. (1971). F.S.I TEST 소개. 이완기(편) 영어과 평가론. 서울: 한국문화사.
박성현, 조신섭, 김성수. (1999). 한글 SPSS. SPSS 아케데미.
박약우, 박기화, 최진황, 이소영. (2001). 초·중등영어교육의 연계방안연구. 초등영어 교육 7(1), 5-42.
원태연, 정성원. (2001). 통계조사분석. SPSS 아케데미.
Cameron, L. 2001. Teaching Languages to Young Learner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zden, C. B. (1986). ESL Teachers as Language Advocates for Children. In P. Rigg (Ed.), Children and ESL: Integrating Perspectives. TESOL.
Dornyei, Z. (1990). Conceptualizing Motivation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Language Learning 40, 45-78.
Gardner, R. and Lambert, W. (1972). Attitudes and Motivation in Second Language Learning. Rowley, Mass.: Newbury House.
Girard, D. (1977). Motivation - the Responsibility of the Teacher. ELT Journal 31 (2).
Hall, N. (1994). Interactive Writing: Its Nature, Purpose and Scope. In N. Hall & A. Robinson (Eds.), Keeping in Touch. Hodder & Stoughton.
목차
I. 머리말
II. 이론적 배경
1. 학습자 중심의 초등영어 교육
2. 아동의 영어 학습동기
III. 연구 방법
1. 연구 과제
2. 연구 대상
3.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1.학년별 영어 선호도
2. 영어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3. 학년간 영어 선호도
4. 기타 변인들의 학년간 차이
5. 저학년과 고학년 아동간 비교
V. 요약 및 제안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4.11.22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46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