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실험제목
Ⅱ. 실험목적
Ⅲ. 이론적 배경
1. 부동태
2. Potentiostat
3. 스테인레스 강의 부동태
4. 스테인레스강의 부식 유형
Ⅳ. 실험방법
Ⅴ. 결 과
Ⅵ. 고 찰
Ⅶ. 참고문헌
Ⅱ. 실험목적
Ⅲ. 이론적 배경
1. 부동태
2. Potentiostat
3. 스테인레스 강의 부동태
4. 스테인레스강의 부식 유형
Ⅳ. 실험방법
Ⅴ. 결 과
Ⅵ. 고 찰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p between pit depth and the number of pits appearing on a correded surface
《그림 7》 Pit depth as a funcion of exposed area.
공식은 국부적으로 소량의 금속이 부식되기 때문에 종래의 무게감량 시험법은 거의 사용될 수 없고 또 수 많은 pit 중 해를 입은 것은 깊이가 가장 깊은 pit이기 때문에 평균 pit 깊이도 공식에 의한 손상을 평가하는데 적절한 방법이 못된다. 따라서 maximum pit depth가 공식을 평가하는데 가장 신뢰성이 있는데 이것도 또한 sample size의 함수가 되기 때문에 실험실에서 재료의 pitting 저항성을 비교하는데는 비교적 정확한 평가방법이 될 수 있다 하더라도 조그만 시편으로 측정한 실험실 data를 대단위 공장에서의 수명을 예측하는데 적용하는 것은 현명치 못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림 6, 7》참조
2. 분극곡선 데이터(Excel)를 그래프로 도시화하고, 그래프를 보고 Pitting이 일어나는 Point를 외삽법을 이용하여 표시하고 그 값을 표시하시오.
(1) 실험결과 외삽법으로 알아본 부식전위 (E) = -480 mV
Ⅵ. 고 찰
스테인레스강은 표면의 부동태 피막에 의해 일반적인 환경에서 우수한 내식성을 나타낸다. 하지만 환경 따라서 부동태 피막의 보호성이 떨어지게 되고 여러 가지 부식을 일으키게 된다. 이번에는 실험을 통해서가 아니 주어진 자료를 통해서 Pitting이 발생한 지점을 조직사진에서 찾아보고, 데이터 값을 통해서 부식전위값을 찾아보는 실험이었다.
조직사진에서 Pitting 지점은 간단히 찾을 수 있었으며 공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Cl농도, 온도, Pitting 유발 인자, 촉매 등이 있다. Cl 농도는 낮은 쪽이 유리하며, 온도는 낮을수록 유리하며, Pitting 유발 인자가 낮을수록 유리하며, Mo, Mn, Cr, Ni등의 내공식성 향상 원소 첨가시 유리하다.
공식이 일어날 수 있는 불리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용존 산소 혹은 산화제가 존재시, pH가 낮은 산성일수록, 표면에 좁은 틈새가 있는 경우는 용액의 잔류에 의해 불리하게 된다. 이처럼 소재 표면이 깔끔하게 처리된 표면일수록 부식 발생이 적다.
실험에서 사용한 시편 316 Stainles Steel는 오스테나이트계 제품들은 Pitting저항성이 약하고 염화물 분위기에서 SCC(응력부식균열)등이 문제된다. 특히 SCC는 인장응력과 부식 환경의 특정한 조건하에서 SSC가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 때문에 기존의 오스테나이트 계 상품들을 해수용으로 사용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른다. Pitting 부식에 대한 저항성은 Cr이나 Mo을 첨가하여 개선시킬 수 있으며, 질소도 pitting에 대한 저항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스트레인스강에 0.25%까지 질소를 증가시키면 보다 낮은 임계와 부동태 전류, 더욱 넓어지는 부동태 영역, 더 높은 Pitting 전위로 특징지워지는 내식성이 개선된다고 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해수 부식에 대해 초내식성을 가진 스테인레스 제품을 만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Ⅶ. 참고문헌
1. 표면공학 <형성출판사>, 이홍로 저, p257∼262
2. http://www.ocp.go.kr/preserve/preserve/html/preserve_doc/U9306.hwp
3. http://home.megapass.co.kr/%7Ecorros/messages/488.html
4. 스테인레스강의 부식의 이해
http://web.edunet4u.net/Users/SISUL/userupload/ A AI AC I A AIC .hwp
《그림 7》 Pit depth as a funcion of exposed area.
공식은 국부적으로 소량의 금속이 부식되기 때문에 종래의 무게감량 시험법은 거의 사용될 수 없고 또 수 많은 pit 중 해를 입은 것은 깊이가 가장 깊은 pit이기 때문에 평균 pit 깊이도 공식에 의한 손상을 평가하는데 적절한 방법이 못된다. 따라서 maximum pit depth가 공식을 평가하는데 가장 신뢰성이 있는데 이것도 또한 sample size의 함수가 되기 때문에 실험실에서 재료의 pitting 저항성을 비교하는데는 비교적 정확한 평가방법이 될 수 있다 하더라도 조그만 시편으로 측정한 실험실 data를 대단위 공장에서의 수명을 예측하는데 적용하는 것은 현명치 못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림 6, 7》참조
2. 분극곡선 데이터(Excel)를 그래프로 도시화하고, 그래프를 보고 Pitting이 일어나는 Point를 외삽법을 이용하여 표시하고 그 값을 표시하시오.
(1) 실험결과 외삽법으로 알아본 부식전위 (E) = -480 mV
Ⅵ. 고 찰
스테인레스강은 표면의 부동태 피막에 의해 일반적인 환경에서 우수한 내식성을 나타낸다. 하지만 환경 따라서 부동태 피막의 보호성이 떨어지게 되고 여러 가지 부식을 일으키게 된다. 이번에는 실험을 통해서가 아니 주어진 자료를 통해서 Pitting이 발생한 지점을 조직사진에서 찾아보고, 데이터 값을 통해서 부식전위값을 찾아보는 실험이었다.
조직사진에서 Pitting 지점은 간단히 찾을 수 있었으며 공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Cl농도, 온도, Pitting 유발 인자, 촉매 등이 있다. Cl 농도는 낮은 쪽이 유리하며, 온도는 낮을수록 유리하며, Pitting 유발 인자가 낮을수록 유리하며, Mo, Mn, Cr, Ni등의 내공식성 향상 원소 첨가시 유리하다.
공식이 일어날 수 있는 불리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용존 산소 혹은 산화제가 존재시, pH가 낮은 산성일수록, 표면에 좁은 틈새가 있는 경우는 용액의 잔류에 의해 불리하게 된다. 이처럼 소재 표면이 깔끔하게 처리된 표면일수록 부식 발생이 적다.
실험에서 사용한 시편 316 Stainles Steel는 오스테나이트계 제품들은 Pitting저항성이 약하고 염화물 분위기에서 SCC(응력부식균열)등이 문제된다. 특히 SCC는 인장응력과 부식 환경의 특정한 조건하에서 SSC가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 때문에 기존의 오스테나이트 계 상품들을 해수용으로 사용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른다. Pitting 부식에 대한 저항성은 Cr이나 Mo을 첨가하여 개선시킬 수 있으며, 질소도 pitting에 대한 저항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스트레인스강에 0.25%까지 질소를 증가시키면 보다 낮은 임계와 부동태 전류, 더욱 넓어지는 부동태 영역, 더 높은 Pitting 전위로 특징지워지는 내식성이 개선된다고 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해수 부식에 대해 초내식성을 가진 스테인레스 제품을 만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Ⅶ. 참고문헌
1. 표면공학 <형성출판사>, 이홍로 저, p257∼262
2. http://www.ocp.go.kr/preserve/preserve/html/preserve_doc/U9306.hwp
3. http://home.megapass.co.kr/%7Ecorros/messages/488.html
4. 스테인레스강의 부식의 이해
http://web.edunet4u.net/Users/SISUL/userupload/ A AI AC I A AIC .hwp
키워드
추천자료
재료레포트-골재의단위용적및중량시험
재료레포트-모르타르압축인장휨강도시험
[고체역학및실험] 경도 측정 실험(로크웰, 브리넬, 비커스경도계) 예비+결과레포트
금속의 선팽창계수 측정 결과레포트
고체역학실험 로커웰 경도실험 결과레포트
고체역학실험 비커스 경도실험 결과레포트
[실험보고서] 금속의 현미경 조직 실험
금속 인장실험 보고서
[재료역학 실험]굽힘실험 보고서 (Al5052 합금을 이용하여 재료에 발생하는 굽힘강도, 항복강...
철근 콘크리트 실험 예비레포트 {배합설계, 골재의 체가름 실험, 슬럼프 실험, 공기량 시험, ...
5. 쿨롱의 법칙(Coulomb`s Law) (예비레포트) : 금속의 두 평행 판에서 두 극판사이에 거리와...
화학전지 실험 (예비) : 금속의 산화력 또는 환원력의 크기를 비교해보고, 질산아연과 질산구...
금속 미세조직 레포트(예비보고서)
금속 조직 관찰 실험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