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에 대해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1) 언론의 전제
2) 언론의 문제제기

2.중심되는 말
1)언론과 권력
2) 언론과 자본
3) 문제해결을 위한 수용자 운동
3. 맺는 말

본문내용

는 소유주에게 후자는 편집진에게 속하는 것으로 천명된다.
그러나 실제로 언론소유주는 편집진의 인사권 특히 편집책임자와 간부들의 인 사를 통해 편집권에 간여한다. 따라서 편집진 즉 언론인들은 경영진과의 단체협 약을 통해 제도적으로 편집권에 대한 사측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를 마련하고 언론의 공공성에 대한 인식을 철저히 갖추어 권력의 간섭은 물론 경 영진의 간섭도 철저히 배격행 한다. 그러나 오늘날 언론사의 편집진은 그럴 만한 의식과 힘을 갖고 있지 못하므로 수용자가 그러한 장치의 마련에 나서야 한다. 즉 수용자는 언론사가 편집규약과 같은 편집권 독립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 하도록 하고, 언론인들의 편집권 독립을 위한 노력을 고무하고, 편집권에 대한 경 영권의 간섭 사례가 발생하면 이에 강력히 항의하여 시정토록 해야 한다.
3. 맺는 말
언론은 언론인에게만 맡겨 두기에는 너무나 중요하다 .언론인의 자율성을 존중해야 하지만 언론과 언론인이 권력이나 자본에 예속되어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못할 때 언 론의 수용자는 공공의 한 사람으로서 언론이 사회적 책임을 다 할 수 있도록 발언해 야 한다. 그리고 그 발언이 힘을 가지려면 같은 뜻을 가진 여러 사람들과 연대해서 다수로서 발언하지 않으면 안된다. 명실상부한 언론자유와 참된 민주언론을 향유하느 냐 그렇지 못하느냐의 여부는 우리 언론 수용자들의 자각된 의식과 단결된 집단적 실 천력에 달려 있다.
이효성(1992), 아침, 「아침언론강좌 한국사회와 언론」
변상욱(1996), 동이, 「언론 가면 벗기기」
이효성(1996), 이론과 실천, 「언론비판」

키워드

언론,   권력,   매체,   광고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11.26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53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