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의 시각에서 남성을 위해 만들어진 '누들누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시작하기

11개의 에피소드 바라보기

끝내며

본문내용

래 활동하는 그녀들, 그녀들의 욕구는 사회 속에서 감추어지길 강요당하고 '내숭'이라는 이름을 달게 된다. 이 역시 남성들이 원하는 여성의 모습이 아닐까?
남자들의 도움이 아니면 여자들은 다리를 건널 수 없고, 식량을 제공받을 수 없고, 악당을 물리칠 수 없다. 남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자신의 신체를 제공하는 수단으로서의 여성이거나 또는 남성에 의한 성적 쾌락을 즐기고 그의 가죽까지 벗겨가 버리는 악녀일 따름이다. 또한 그녀들은 남성에게 사랑 받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하는 존재이다. 그녀들의 노력은 생존과 결부되어 있다. 이것은 '선배의 충고'이야기에 잘 나타나 있다. 성적 매력을 잃은 여성은 끝내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또한 젊은 여자만이 건널 수 있는 다리, 그리고 남성을 자극하는 옷차림을 했다는 이유만으로 지하철로 떠밀리게 되는 여성들, 모두 남성들의 기준으로 바라보는 여성의 모습이다.
끝내며
'누들누드'는 성을 소재로 한 이야기이다. 작가는 "보통 남자들이 일상적으로 하는 성적 공상을 그대로 옮겨 놓은 게 내 만화이고, 그래서 인기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여기에 등장하는 남성들은 대부분 대머리이거나 키가 작고 머리와 코가 큰 그야말로 힘세고 무식한 남성의 전형적인 모습을 하고 있다. 또한 여성들은 모두 과장된 몸매와 노출이 심한 옷을 입고있고, 수녀들조차 빨간색 립스틱을 바르고 있다. 남성들을 자극할 수 있는 몸매, 옷, 색깔이 그녀들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이야기의 처음부터 끝까지 성과 전혀 관계없어 보이던 사물들(따끈한 커피, 삐삐, 계단 기둥 등)까지도 성과 긴밀한 연관성을 지닌 사물들로 그려지고 있다. 이런 작가의 상상력이 잘못되었다고 말하고 싶지는 않다. 그러나 우수한 극작가란 희곡을 쓸 때 자신의 각각의 인물들(아무리 마음에 내키지 않는 인물이라 하더라도) 모두의 감정을 내부로부터 경험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누들누드'의 작가는 좀 더 여성의 관점도 고려해야 했다. 결과적으로 그의 작품은 '멋대로 하는 상상'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그것도 여성이 아닌 남성의 입장에서 본 상상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즉, 지극히 남성 편향적인 성적 상상력에 바탕을 두고 있다. 포르노 비디오를 본 대부분의 여성은 굴욕감을 느낀다고 한다. 왜냐햐면, 포르노의 주 소비층이 남성이고, 그 이유로 남성 중심적인 시각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누들누드' 역시 마찬가지이다. 남성들은 '누들누드'를 보며 작가의 기발한 아이디어에 환호성을 지를지 모르나 여성들은 씁쓸한 웃음을 짓게 된다. '누들누드'는 금기시되고 억압되던 '성'문화와 기존세대의 낡은 성의식을 통쾌하게 비웃는 작품으로 평가받을 수도 있겠지만,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분명 성을 '왜곡된 (남성의) 상상'속에 가두고 있는 것이다. 남성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내포하고 있으며, 여성에 대한 왜곡된 신화를 만들어내고 있다. 이 텍스트를 만든 주체가 남성이기 때문에 남성의 시각으로 그려졌겠지만, 앞으로는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 공유될 수 있는 성에 대한 담론이 필요하다.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11.26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54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