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를 보고 - 여성들의 정신적 홀로서기와 연대를 통한 자아추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1. 세 여성을 통해 바라본 우리사회 속에서의 여성의 삶
2. 세 여성을 통해 바라본 여성의 정체성 회복과정
3. 여성의 정체성 추구를 위한 여성간의 연대와 영화 제목에서의 '혼자가기'의 의미

3.결론

본문내용

속에서 그들만의 세계를 찾아가는 모습을 조명해 보았다. 그리고 그것을 위해 요구되는 여성간의 연대와 여성 자신이 갖는 모순적인 인식의 변화에 대해서도 간단히 짚어보았다.
영화를 감상할 때에는 느끼지 못했지만 내 생각을 정리해 글을 써 내려오면서 이 영화의 내용과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라는 제목을 통해 여성들에게 그들 자신의 자아추구를 위해 필요한 요건과 절차들을 담은 전략을 제시해 준다는 생각이 들었다.
영화 속 세 주인공의 삶을 통해 지금 우리네 여성들의 모습이 이러하다고 보여주며 여성들에게 그것에서 문제점을 느끼고 자신의 삶과 자신에 대하여 한번 돌아볼 것을 권고해 준다. 그리고 여성들이 자신의 자아완성과 타인의 자아완성을 동일시하는 그들의 모순된 인식을 바꾸고 서로 비슷한 삶을 살고 있는 여성들간의 연대를 통해 그들만의 독립된 자아를 추구해 나갈 것을 촉구한다.
영화의 내용뿐만 아니라 제목에서도 위에서 말한 메시지를 또 한번 읽을 수 있다. 무소(물소)는 날카롭게 앞으로 뻗어있는 뿔을 가지고 있고, 무리를 지어 이동하는 특성이 있는 동물이다. 여기서 무소의 뿔은 타인(남편과 아이들 등등)으로부터 독립적인 그리고 진취적인 여성의 모습을 상징하고, 무소가 무리로 움직이는 습성은 독립적인 여성들이 서로간의 연대를 통해 공감하고 힘을 모을 것을 상징한다. 그리고 여성들은 이러한 모습으로 그들의 자아를 추구해 나가야 하는 것이다.
영화의 맨 마지막, 혜완은 "누군가와 행복해지고 싶다면 스스로 행복해질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지 않을까?" 라고 말한다. 우리 사회의 여성들은 아직까지도 남편을 잘 만나는 것을 자신의 삶의 성공이라 믿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그러한 삶 속에서 느끼는 행복은 진정한 행복이 아니라 자아가 결핍된 행복이다. 왜냐하면 진정한 여성 자신이 없고, 묻혀버린 행복이기 때문이다. 여성 스스로가 그 같은 자아결핍을 문제점으로 느끼지 않으며 남편과 아이들, 그리고 주변의 가족 모두의 행복이 자신의 행복이라고 느낀다면 그 여성의 삶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도 볼 수 있지 않으냐고 반문할 사람들이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것은 남편과 아이들을 통한 여성의 자아추구가 곧 여성의 행복이라는 사회의 고정관념과 통념 속에 너무나 깊이 빠져있어 의식이 무뎌진 때문일 것이다. 삶 속에서 자신의 모습을 잃어버리고 문제가 있어도 이를 묵인해 버리거나 무시하고 애써 행복하려고 노력하는 삶이 과연 행복한 것일까? 모두가 환하게 웃고 있는데 유독 주부이자 엄마인 여성의 모습만 칼로 도려낸 듯 비어있는 가족사진이 있다면 그 사진을 보면서 이 가족이 진정으로 행복한 가족이라고 느낄 수가 있을까? 아무리 '행복'해도 그 행복을 느낄 주체인 내가 없다면 그것은 진정한 행복이 아닐 것이다. "누군가와 행복해지고 싶다면 스스로 행복해질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지 않을까?"라는 혜완의 말에서 '스스로 행복해질 준비'의 첫 단계는 '혼자 가기' 또는 '혼자 서기'를 위한 정신적인 걸음마 연습이어야 하리라고 나는 생각한다. 남편이나 아이들이 없이는 걸음마는커녕 엎드려 기어가거나 혼자서는 몸을 뒤짚지도 못할만큼 정신적으로 매우 미숙한 상태에 머물러 있는 여성이 과연 행복할 수가 있을까? 여성이 진정으로 가정 속에서, 남편과 그리고 아이들과 함께 행복을 누리고 싶다면 사회적 통념 속에 묻혀 자신을 잃어버리지 말고, 진정으로 행복해질 준비, 다시 말해, 여성 자신의 모습을 찾는 일(자아인식과 정신적 독립, 그리고 여성간의 연대를 통한 정체성 추구)이 무엇보다도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
「메두사의 웃음-한국 페미니즘 영화와 섹슈얼리티」, 이수연, 커뮤니케이션북스, 1998

추천자료

  • 가격1,4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11.26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54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