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집 증후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새집 증후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서론

3.본론
-원인
-증상
-다른 나라의 현황
-해결방안

4.결론

본문내용

전자파 차
단, 심신 안정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식물의 유해물질 분해 능력은 잎의 크기에
비례하므로 가급적 잎이 넓고 큰 식물을 사용해야 한다.
6. 친환경 자재 사용.
궁극적으로 이루어 가야할 목표이다. 아직까진 너무 고가라 쉽게 적용하긴 힘들다. 자재를 바꾸긴 무리지만 최소한 접착제등만이라도 친환경 제품으로 변경할수 있다면 큰 비용 안들이고 약간은 유해물질을 저감 시킬 수 있다.
7. 광촉매 시공.
현재까지 나와 있는 새집 증후군 해결 방안중 비용이나 효율면 에서 가장 우수한 방법이다. 실험실의 갖춰진 조건하에서는 공기정화 기능및 항균기능면에서 99.9%의 성능을 발휘한다. 그러나 아쉽게도 우리가 살고있는 주택은 완벽한 조건이 갖추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성실하게 제대로 시공이 됐을시 평균 약60~70% 정도의 저감 효과를 발휘한다.(원액의 품질에 따라 50~90%정도로 차등이 있습니다.)
8. 바이오 세라믹 시공.
바이오 세라믹 시공의 장점은 시멘트 위에 직접 시공을 해서 시멘트 독성 차단력이 우수하고 원적외선 방사가 된다는 건데 원적외선 방사의 경우 겨울철 난방시에만 효과를 볼수 있고 그나마 투과 거리가 20Cm정도에 불과해 바닥에 요를 깔고 자는 경우엔 어느 정도 효능이 있으나 바이오 세라믹 코팅 위에 시공하게 되는 벽지나 각종 인테리어 목재등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 정화에는 제대로 대처를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새집 증후군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어느 것 하나 완벽한건 없다. 그렇다고 그냥 묻어 두기엔 가족 건강에 너무 해를 주기에 경제적 능력이 되는 한은 최대한 여러 가지 수단 등을 병행 하는 게 최선의 방법이다.
■ 결론
우리가 발제준비를 하면서 느낀 바는 새집증후군에 의한 피해가 생각보다 너무 크다는 것이다. 남 일인 줄만 알았는데 우리가까이에서 일이 벌어지고 또 우리 모두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다시 말하면 새집증후군의 무서운 점은 우리도 모르게 생활 가운데 깊숙이 침투하여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대안이 나오긴 했지만 아직 확실한 해결방안이 나오지 못하였다. 하지만 우리조가 생각한 가장 손쉬우면서도 적절한 해결방법은 환기를 하는 것이다. '창문을 여는' 단순한 행위가 어떻게 대안이냐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을 수 있지만, 집을 만들기 전부터 신경을 쓰지 못해 이미 좋지 않은 화학물질을 내뿜고 있는 집에 사는 사람들에게는 '환기보다 더 간단하고 돈 안 드는 대안은 세상에 없다'라고 생각한다.
이것은 또한 세계적인 실내공기 전문가들이 제시하는 대안이다. 언제나 우리는 늘 거창한 대안을 기대하지만 오히려 해결책은 간단한 곳에 있을 때가 많다.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대안들도 마찬가지라 생각한다. 뿐만 아니라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물론이고 우리의 의식의 변화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의식을 갖고 일상적 소비행위에서부터 친환경 건축자재를 생산 공급하게 하는 일 등은 새집증후군을 해결하기 위한 첫걸음이 될 것이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11.29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58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