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 도덕교육의 구성주의적 접근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유아기의 도덕성
A. 도덕성 개념 및 도덕발달
B. 조망수용능력
C. 의사소통능력

Ⅲ. 대화와 교실문화

Ⅳ. 구성주의의 교육이론적 기초
A. 구성주의의 유래
B. 구성주의 인식론의 기본전제
C. 구성주의 관점의 교수-학습 방법

Ⅴ. 결론

본문내용

인과 더블어 대화와 상호작용적 활동을 하면서 그들의 도덕적 삶의 질을 높여 나간다. 학습은 아동들이 이미 가지고 있는 선개념을 길잡이로 함께 대화와 상호작용적 활동을 하면서 새로운 삶의 체계를 구성하는 과정이다. 사회적 구성주의에서는 대화의 범위와 방향을 잡는데 학생들이 주도적 역할을 하도록 한다. 교사는 아동들의 대화를 도와주기 위해 자료를 제공하며 발문을 하며 소외된 아동과 개별적인 면담을 한다.
Gergen은 지식을 개인의 마음안의 것으로 보지 않는다. 교사가 자기 마음 안에 있는 지식을 텅빈 학생의 마음에 채우기 위하여 학생들을 조작하는 관점을 버려야 한다고 본다. 교사는 지식의 소유자가 아니라 지식 구성의 참여자이다. 교사의 중요한 역할은 아동들로 하여금 대화와 활동에 참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사회적 구성주의자들의 입장에서 보면 학습은 본질적으로 언어를 매개로 한 타인과의 상호작용 관계에서 삶의 변화를 얻도록 하는 데에 있다. 교사의 이상적인 역할은 학습내용을 많이 아는 것이 아니라 학습내용이 부여하는 문제에 대하여 아동의 대화를 창출하는 방법을 아는 것이다. 교사는 자기가 원하는 정답을 아동들에게 암시시키는 것이 아니라 아동의 마음을 알기 위해 교사는 함께 대화하고 활동해야 한다. 전통주의 방식의 고전된 교육일정은 학생들에게 삶의 주체적 역할을 억압한다(김종문, 강희명, 1999).
Ⅴ. 결론
도덕이란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서로 얽힌 이해 관계의 갈등을 해결하는 기본방식으로서 타인과의 사회적 상호작용 속에서 도덕성의 존재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인간이란 갈등 해결의 과정을 통해 성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덕성의 형성과 발달은 인간의 성장이라고 할 수 있다. 유아기의 도덕성은 사회적 환경에 적응하는 차원에서 의미를 가져야 하며,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공동체의 일원이 되는 것이고 공동체의 삶이란 타인과 대화하는 존재이어야 한다. 대화안에서 인간은 타인과 자연과 세계와의 만남의 장을 연다. 아동들은 여러 가지 상황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타인들과 대화하면서 모델적 언행을 보고 깨우쳐 도덕적으로 보다 질높은 삶을 구성해 나가고자 한다. 따라서 유치원에서 도덕교육은 교사와 유아, 유아와 유아가 언어적 상호작용 활동 속에서 이루어 질 수 있음을 상정할 수 있다. 비고츠기는 근접발달지대 개념을 통해 아동에게 생명력을 부여하고 발달에서 전반적인 내적 과정들을 일깨워 활기를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어떤 지식이 타당한 것으로 결정되기 위해서는 역사적, 사회적 맥락에서 고려되어야 함을 인식하여 전통예절이나 전통적 도덕관을 학습의 내용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Gergen은 지식구성이 공동체의 지속적인 언어 즉, 대화에 의해 구성된다고 했다. 아동들을 조작의 대상으로 취급하는 것이 아니라 대화와 상호작용을 통해서 그들의 세계를 구성해 나가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또한 협동학습을 활성화하여 도덕적 공감영역을 확대하고 더 나아가 사회문화 창조의 원동력이 되도록 해야할 것이다. 구성주의 방식으로 교육하고자 하는 교사는 아동의 머릿속으로 뛰어들어가 아동들이 가지고 있는 선개념을 알고 그들의 수준에 맞게 개념을 구성 또는 재구성 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교사는 아동들의 대화를 도와주기 자료를 제공하며 발문을 하고 소외되는 아동이 없도록 배려해야 한다. 또한 사실적 지식으로 텅빈 아동의 마음 안에 채워준다는 생각을 버리고 각자 아동이 자기 수준에서 그 지식에 대한 나름의 의미를 구성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교사는 유아를 억압하지 않고 유아들이 가지고 있는 자연적 성장 본능대로 성장케하는 장을 마련할 수 있다.
참고문헌
강인애(1997). 왜 구성주의 인가?, 서울:문음사.
김종문(1998). 도덕과의 구성주의적 대화학습 이론과 실제, 대구대학교 초등교육연 구논총 제12집, pp. 181-193.
김종문(2000). 교육마당21, pp. 95-99.
김종문ㆍ강희명(1999). 도덕과의 열린교육을 위한 대화학습과 수업실제, 대구대학교 논문집, pp. 1-32.
나영이ㆍ홍용희(2000), 도덕성 함양을 위한 집단토의에서의 유아 역할에 대한 문화 기술적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제4권 1호, pp. 241-260.
박은미(1995). 유치원교육 연한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조망수용능력, 이화여 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찬옥(1994). 유치원 도덕교율의 방향모색, 유아교육연구 제14집 1편, pp. 51-73.
변창진ㆍ송명자(1995).(편저). 『교육심리』: 인지발달론적 접근, 서울:교육과학사.
이경우ㆍ이은화ㆍ정확실ㆍ문미옥(1989). 프로그램개발.『도덕연구』Ⅰ. 서울: 이화여 자대학교 사범대학 동서교육연구소.
이돈희(1987). 도덕교육, 신교육강좌 4, 서울:교육과학사.
이돈희 외(1991). 인간발달:유아기의 민주시민교육,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인간발 달연구소.
이영자(1994). 『유아언어교육』, 서울:양서원.
이종일(1999). 사회적구성주의,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논총 제13집, pp. 1=18.
이준덕 외(1997). 『도사를 이용한 어린이 도덕교육』, 서울:양서원.
조용기(1998). 구성주의교육론의 과제와 전망, 대구대학교 초등교육 연구논총 제 12 집, pp. 1-9.
추병완(1999). 구성주의적 인격교육론, 초등도덕교육, vol 5, pp. 89-102.
최상진ㆍ최순영 역(Perry, D. G. & Bussey, K. 저)(1989). 인간의 사회적 발달, 서 울:성원사.
한국교육개발원(1989). 한국도덕교육의 위상, 연구보고, RR 89-1.
한순미(1993). 귀남적 추론과제에서의 아동의 근접발달지대 측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허형(2000). 구성주의적 교육과 평가의 문제, 한국교육문제연구소 논문집 제15호, pp. 17-31.
홍용희(1998). 유아의 도덕성 함양을 위한 토의활동(1), 공립유치원 교사를 위한 연 찬자료.
황해익ㆍ최혜진(2000). Vygotsky의 사회문화적 이론이 유아교육에 주는 시사:비계 설정과 역동적 평가, 열린유아교육연구, vol 5. No 2, pp. 205-229.
  • 가격1,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4.11.28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58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