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y Luck Club - 모녀간의 갈등은 상업영화 속에서 해결될 수 없었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들어가며...

갈등관계에서 유대관계로...

모녀의 갈등, 유대는 이루었지만 해결은 아니다

영화의 한계 -멜로 드라마적인 결말, 오리엔탈리즘의 상업화..

본문내용

랬다면 먼저 중국어와 중국의 생활습관을 어려서부터 자연스럽게 몸에 익히도록 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하지 않았을까.. 오로지 완벽한 영어만을 말하게 하기 위해 미국의 언어만을 가르쳐왔기 때문에 미국의 사고에 완전히 동화된 딸들에게 이중적인 태도로 억압하는 것은 자녀가 부모에 대해서 갖는 가장 커다란 불만 사항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아니면 중국어와 중국생활습관이 이미 딸들에게 필요치 않는 것이라고 판단했다면 최소한 그들의 사고방식과 생활습관을 존중해 주어야 했다. 이들의 갈등관계는 자녀는 부모의 뜻에 순종하고 가족의 명예와 성공을 중시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과, 미국에서 태어나고 성장한 자녀들은 이러한 부모의 행동이 개인의 인권과 사생활을 침해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자신들을 신뢰하지 못한다고 생각하고, 불필요한 것을 자신에게 강요하는 부모에 대한 반발인 것이다. 결국 이들이 유대를 형성하고 서로를 이해했던 것은 서로의 언어를 이해했기 때문에 가능할 수 있었다. 즉, 합리적인 의사소통을 통해서 서로의 문화적, 가치관의 차이를 이해하고 정서적 유대를 공고하게 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이들이 이루는 유대는 단지 순간적인 공감에 의한 것이다. 30년 이상을 다른 언어체계로 상대방을 이해하고 갈등했던 모녀가 순간적인 공감의 눈물 몇 방울로 이들이 가진 오해의 근본적인 틀을 해결했다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만약 모녀가 지속적인 유대관계를 유지시키려면 서로에게 다가가려는 구체적인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영화의 한계 -멜로 드라마적인 결말, 오리엔탈리즘의 상업화..
삶의 가장 진솔한 부분을 담아 웃고, 부딪히고, 엉켜사는 인간사의 희로애락이 있는 멜로드라마는 일상의 리얼리티와 아름다운 사랑이 있는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얘기를 담고 있다. 이 영화는 이민가족의 갈등--언어와 가치관의 이질성--을 페미니즘적인 시각에서 문제로 제기하고 있다. 그리고 영화의 마지막 부분에 모녀간의 갈등을 화해와 유대감 형성으로 인한 감동의 눈물을 흘리게 함으로써 멜로드라마에 흔한 해피엔딩으로 결말을 지었다. 영화란 공감하고 감동 받을 수 있는 관객을 필요로 하는 상업성을 목적으로 제작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해피엔딩 구조로 자연스럽게 결말을 내렸다고 볼 수 있겠다. 그러나 이들이 서로의 언어를 이해하고 유대를 형성하여 갈등을 해결했다고 하더라도 모녀의 성장배경과 이질적인 문화차이가 결말에 나타난 눈물의 멜로드라마로 쉽사리 해결될 수 있는 문제인지는 다시 한번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즉, 모녀간 갈등이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제시 없이 애매한 해피엔딩으로 끝났다는 것은 이 영화가 갖는 한계점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영화 자체가 갖는 또 하나의 한계점은 오리엔탈리즘의 상업화이다. 오리엔탈리즘은 동양을 신비한 존재로 포장함으로서 서양과 동양의, 보다 정확히 말하면 서양 어느 나라와 동양 어느 나라의 정치, 경제적인 억압 관계를 숨기려는 이데올로기적 음모라고 할 수 있다. 오리엔탈리즘 논리를 따르면, '타자'인 동양은 결코 자기를 표상 할 수도 인식할 수도 없는 무력한 존재이다. 오리엔탈리즘의 논리는 동양의 자화상이 서양에 의해 주어진 것임과 동시에 서양의 자화상이 동양 없이는 그려질 수 없다는 복잡한 이중성을 토대로 펼쳐진다. 또한 서구에서 말하는 동양 또는 동양적인 것이란 실제의 동양(적인 것)이라기보다는 서구인들의 편견과 왜곡이 빚어낸 허상에 지나지 않는다.
동양(중국)의 가부장제 사회에서 억압당하고 고통받은 여성이 자신의 주체적 삶을 살기 위해 선택하는 곳은 바로 서양(미국)이다. 서양(미국)이라는 새로운 사회는 그들이 바라는 최고의 이상을 실현할 수 있는 곳으로 그려진다. 동양의 가부장제 사회 속에서 여성이 당하는 고통을 벗어날 수 있는 곳은 서양이다. 동양 여성으로서의 주체성을 찾기보다는 서양 여성으로 동화되려는 삶이 주체적인 삶의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는 것은 바로 서양이 동양보다 우월하다는 서구 중심적인 사고를 대변하고 있는 것이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 미국인 딸이 중국에 가서 언니들에게 어머니의 희망을 대신 전해주러 왔다는 말 한마디는 중국에서 분명 억압적이고 종속된 삶을 살고 있을 여성에게 미국에서 새로운(자유롭고 주체적인) 삶을 자각시켜 줄 희망의 메신저가 왔다는 것을 뜻하는 것은 아닐까... 서양인의 프리즘에 굴절된, 동양인은 자기를 표상 할 수도 인식할 수도 없는 무력한 존재로서 바라보는 오리엔탈리즘이 은연중에 깔려있는 것이다.
  • 가격1,2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4.11.29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59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