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교육의이해 죽은시인의 사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과교육의이해 죽은시인의 사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리에 있다는 안위 의식으로 인하여 참 교육을 가르쳐야할 교사는 교육의 뜻을 망각하고 있는 듯 하다. 교육의 기본은 지식의 앎이라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참다운 삶을 살게 하는 앎을 깨우치게 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교사는 자신의 사소한 행동에서부터 하루의 모든 일과의 생활 하나 하나를 생각하며 행동해야한다. 자신의 행동과 언행이 교사의 하나의 인격이며 학생들의 배움이 되기 때문이다. 물론 죽은 시인의 사회에서 키팅선생님이 시험시간에 성인 잡지를 보여준 것은 잘못된 점이다. 하지만 이것은 하나의 표면적인 것이고 내적인 뜻이 있다는 점에서 다행스럽다. 자신이 교사이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생각할 여유를 준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
오늘날 많은 교사들은 학생, 학부모, 사회가 원하기 때문에 입시위주의 교육을 실 시 할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것은 기계화된 교사의 모습일 뿐 참 교사의 상이 아니다. 자신이 충분히 기계화되고 고정화된 것만을 가르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자신 스스로 그것이 최선의 교육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잘못된 점이다. 그러한 점에서 키팅선생님의 교육관을 본받을 만 하다.
맺음말
결론적으로 나로 하여금 `죽은 시인의 사회`에서 느끼고 생각하게 하는 참스승은 학생들에게 깨달음을 주는 교사이다. 교사 자신도 지식 이상의 지혜를 가지고서 학생들에게 단순한 지식보다는 삶의 참다운 의미와 중요성을 일깨울 수 있도록 보조자의 역할을 잘 해내야 한다. 영화를 보는 내내 '키팅선생님'께 배운 것은 '스승은 삶의 아름다움을 보게 해주는 자'라는 것이다. 삶이 아름답다는 깨달음은 가르친다고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사랑으로 제자를 대하여 삶의 참다운 의미와 중요성을 학생 스스로가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키팅선생님이 학생들에게 해준 일은 그들이 스스로의 삶을 성찰함으로써 나름대로 고유하게 사유하고 행동하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지원한 것이었다. 직접적인 지식 전달은 아니더라도, 학생들이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줌으로써 더 큰 것을 얻게 되었다. 스승은 학생의 자아발견을 도와 학생이 진정으로 세상이 살만한 곳이라고 느낄 수 있도록 보조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및 참고자료>
이종관 역.『살며 사랑하며 배우며』. 서울: 지문사, 1995.
조석훈.『학교와 교육법』. 서울: 교육과학사, 2002.
허병기.『교육의 가치와 실천』. 서울: 교육과학사, 1998.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1.29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59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