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구명정의 종류
I. 추진장치별 구명정의 종류
II 밀폐식 구명정(Lifeboat with rigid shelter)
III 자유 낙하식(Free fall type)구명정
(2) 구명정의 진수방법
I 구명정 진수
(3) 구명정의 내용물 및 사용방법
(4) 구명정의 훈련
(5) 그 외 구명정과 관련된 일체의 내용
* 라이프래프트
* 싱글 암 대비트(Single arm davit)에 의한 진수
* 이탈 장치에 의한 수동 진수
* 이탈 장치에 의한 자동 팽창
♦ 라이프래프트의 운용
* 뒤집힌 라이프래프트를 바로 세우는 방법
* 라이프래프트에서의 기본 조치
* 라이프래프트에서의 관련 조치
* 육지 발견법과 착안
* 착안
* 주요 비품의 사용법
* 구조정
I. 추진장치별 구명정의 종류
II 밀폐식 구명정(Lifeboat with rigid shelter)
III 자유 낙하식(Free fall type)구명정
(2) 구명정의 진수방법
I 구명정 진수
(3) 구명정의 내용물 및 사용방법
(4) 구명정의 훈련
(5) 그 외 구명정과 관련된 일체의 내용
* 라이프래프트
* 싱글 암 대비트(Single arm davit)에 의한 진수
* 이탈 장치에 의한 수동 진수
* 이탈 장치에 의한 자동 팽창
♦ 라이프래프트의 운용
* 뒤집힌 라이프래프트를 바로 세우는 방법
* 라이프래프트에서의 기본 조치
* 라이프래프트에서의 관련 조치
* 육지 발견법과 착안
* 착안
* 주요 비품의 사용법
* 구조정
본문내용
곤란하므로, 가능한 한 야간 착안 은 피한다.
⑥ 만약 해안에 인기척이 있으면, 호각이나 기타 방법을 사용, 신호를 보내어, 구조를 청 하는 것이 좋다.
⑦ 열대 지방이라면 해안에 산호초가 있는지 주의하고, 산호초에는 파도가 일지 않는 끊 어진 곳이 있으므로, 이를 통로로 이용한다. 만약 태양 광선으로 눈이 부셔서 통로가 될 끊긴 자리를 보기 힘들면, 태양이 머리 위 또는 뒤편으로 올 때까지 기다린다.
* 주요 비품의 사용법
① 구조환
30미터 이상의 부양하는 줄이 달려 있으며, 수중의 사람을 구조 할 경우, 라이프래프 트를 집결시키거나 착안의 경우 등에 사용한다.
② 충기펌프 또는 풀무(Topping-up pump or bellows)
기실에 공기를 채워 넣기 위해 사용한다.
③ 해수전지(Sea-actinated cell)
외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천막의 상부에 있는 파일럿 램프(pilot lamp)와 내부의 조명 을 위한 룸 램프에 각기 연결된다.
실 밴드를 제거한 연후에, 이를 수중에 담그면, 자가 발전하여 약 20초 후에 점등되 며, 통상 15~20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다.
④ 물푸개(Bailer), 스폰지(Sponge)
라이프래프트 내부의 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며, 물푸개로써 물을 퍼낸 다음, 스 폰지를 이용하여 남은 소량의 물을 닦아낸다. 물 푸개는 변기로도 사용된다.
* 구조정
1) 비치
① 총톤수 500톤 미만으 여객선은 각현에 적어도 한 척의 구조정을 비치하영야 하며, 총톤수 500톤 미만의 여객선과 모든 화물선에 최소 1척의 구조정을 비치하여야 한다
② 5분이냐 진수 가능하도록, 진수와 인양이 적합한 장소에 탑재되어야 한다.
③ 5노트의 선속에서 진수 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
2) 일반 요건
① 구명정의 일반 요건을 만족하영야 한다.
② 고형 재질 또는 팽창식으로 하거나, 두 가지를 조합한 재질로써,
I 길이는 3.8m 이상 8.5m 미만
II 착석한 최소 5명과 누운사람 1명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③ 구조정이 충분한 현호를 갖고 있지 않는 경우, 구조정 길이의 최소 15%에 해당하는 전부 카버를 설치해야한다.
④ 구조정은 6노트까지의 속력으로 항해할 수 있어야 하고, 최소 4시간동안 그속도를 유 지하여야 한다.
⑤ 구조정은 충분한 기동성과 조작성을 가지고, 수중의 사람음 구조하거나 라이프래프트 를 만재 상태로 최소 2노트로 예인할 수 있어야 한다.
⑥ 구조정은 내부에 엔진을 부착하거나, 선외에 모터를 달아야 한다. 선외 모터인 경우, 타와 틸러는 엔진의 부분품이 될 수 있다. 휘발유를 사용하는 선외 모터는 연료탱크가 발화 또는 포발로부터 보호되는 경우에 사용가능하다.
⑦ 예인 설비가 영구 부착되고,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
⑧ 작은 비품들을 넣기 위한 풍우밀된 보관소를 설치한다.
3) 구조정의 비품
① 후크(Boat-hook)를 제외한 모든 비품은 구명정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시킬것
② 구조정의 일반 비품
I 노(Oar)또는 패들(Paddle)(충분한 숫자로 부양성일것) 및 클러치(Clutch)또는 쏘올 핀(Thole pin)
II qndidd성 베일러(Buoyant bailer)1개
III 컴파스 및 비나클 한 개(적당한 조명 장치 포함)
IV 최소 10m 이상의 줄에 연결된 해묘 한 개
V 선수단에 충분한 길이와 강도를 가진 페인터(Painter)한 개(이탈 장치에 부착)
VI 라이프래프트를 예인하기 위한 50m 이상의 부양성 예인색(Buouint line)
VII 모르스 신호를 보낼 수 있는 전등(Waterproof electric torch)한 개 및 예비전지 (Spare battery)와 전구(Spare bulb)한 세트
IIX 호각(Whistle)한개
IX 구급 약품 상자 한 개
X 30m 이상의 부양성 줄이 달린 구조 고리(Rescue quloit)한 개
XI 180m의 거리에서 18m 폭으로 확대되는 서치라이트(Searchlight) 한 개(총 여섯 시 간, 연속세시간, 사용가능할 것)
XII 레이다 리프렉터(Radar reflctor)
XIII 보온복(Thermal protecive aids)(정원의 10%와 두 개중 큰 숫자만큼의 수량)
4) 고형 구조정에 비치할 것
① 보트 후크 한 개
② 바께스(Bucket)
③ 칼(Knife)또는 도끼(Hatchet)한개
5) 팽창식 구조정에 비치할것
① 부양성의 안전칼 한 개
② 스폰지 두 개
③ 수동 조작식 베로우즈(Bellows,풀무)또는 펌프(pump)한개
④ 구멍나 곳을 수리할 수 있는 적당한 용기에 든 수리 기구(Repair kit) 한 세트
⑤ 안전 보우트 후크한개
6) 팽창식 구조정의 추가 요건
① 팽창식은 보우트 카버의 내화성, 하중 기준을 적용하지 않는다.
② 구조정은
I 만재 상태로 내리거나 올릴때, 충분한 강도와 경도를 유지할 것.
II 20 3 의 외부 온도하에서 만재 상태무게의 4배의 하중을 견딜 수 있을 것(배기 밸브를 잠근 상태)
III -30 에서 전체 무게의 1.1배에 견딜 수 있을 것(배기밸부를연 상태)
③ 구조정은 다음의 노출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I 해상에서 폭록 갑판에 비치했을 때
II 모든 해상 조건에서 30일간 부양 상태로 있을 때
④ 팽창식은 추가로 Serial No. , 제조자명, 상표, 제조 일자를 표시한다.
⑤ 팽창 방법은 최소 다섯 개의 분리기실로 유도되는 한 개의 주관에 의하거나, 각각의 60%를 넘지 않는 2개의 주관에 의해 팽창시킨다. 부력 튜브는 최소 1개의 기실이 손상을 입을 경우에, 수용인원과 장비를 안전하게 부양시킬 수 있도록 배치한다.
⑥ 구조정은 1인당 0.17㎥이상의 용적을 제공해야 한다.
⑦ 각 기실에 억지밸브(Non-return valve)를 설치한다.
⑧ 선저와 보트 외부의 약한 부분에는 마찰핀(Rubbing strip)을 부착하여야 한다.
⑨ 트랜섬(Transom)을 설치할 때는, 구조정 길이의 20%이상 안쪽으로 들어와서는 안 된다.
⑩ 전후부에 페인터를 고정할 패치(Patch)를 만들고, 라이프 라인을 내외부에 설치한다.
⑪ 팽창식 구조정은 항상 완전하게 팽창된 상태로 유지한다
⑥ 만약 해안에 인기척이 있으면, 호각이나 기타 방법을 사용, 신호를 보내어, 구조를 청 하는 것이 좋다.
⑦ 열대 지방이라면 해안에 산호초가 있는지 주의하고, 산호초에는 파도가 일지 않는 끊 어진 곳이 있으므로, 이를 통로로 이용한다. 만약 태양 광선으로 눈이 부셔서 통로가 될 끊긴 자리를 보기 힘들면, 태양이 머리 위 또는 뒤편으로 올 때까지 기다린다.
* 주요 비품의 사용법
① 구조환
30미터 이상의 부양하는 줄이 달려 있으며, 수중의 사람을 구조 할 경우, 라이프래프 트를 집결시키거나 착안의 경우 등에 사용한다.
② 충기펌프 또는 풀무(Topping-up pump or bellows)
기실에 공기를 채워 넣기 위해 사용한다.
③ 해수전지(Sea-actinated cell)
외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천막의 상부에 있는 파일럿 램프(pilot lamp)와 내부의 조명 을 위한 룸 램프에 각기 연결된다.
실 밴드를 제거한 연후에, 이를 수중에 담그면, 자가 발전하여 약 20초 후에 점등되 며, 통상 15~20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다.
④ 물푸개(Bailer), 스폰지(Sponge)
라이프래프트 내부의 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며, 물푸개로써 물을 퍼낸 다음, 스 폰지를 이용하여 남은 소량의 물을 닦아낸다. 물 푸개는 변기로도 사용된다.
* 구조정
1) 비치
① 총톤수 500톤 미만으 여객선은 각현에 적어도 한 척의 구조정을 비치하영야 하며, 총톤수 500톤 미만의 여객선과 모든 화물선에 최소 1척의 구조정을 비치하여야 한다
② 5분이냐 진수 가능하도록, 진수와 인양이 적합한 장소에 탑재되어야 한다.
③ 5노트의 선속에서 진수 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
2) 일반 요건
① 구명정의 일반 요건을 만족하영야 한다.
② 고형 재질 또는 팽창식으로 하거나, 두 가지를 조합한 재질로써,
I 길이는 3.8m 이상 8.5m 미만
II 착석한 최소 5명과 누운사람 1명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③ 구조정이 충분한 현호를 갖고 있지 않는 경우, 구조정 길이의 최소 15%에 해당하는 전부 카버를 설치해야한다.
④ 구조정은 6노트까지의 속력으로 항해할 수 있어야 하고, 최소 4시간동안 그속도를 유 지하여야 한다.
⑤ 구조정은 충분한 기동성과 조작성을 가지고, 수중의 사람음 구조하거나 라이프래프트 를 만재 상태로 최소 2노트로 예인할 수 있어야 한다.
⑥ 구조정은 내부에 엔진을 부착하거나, 선외에 모터를 달아야 한다. 선외 모터인 경우, 타와 틸러는 엔진의 부분품이 될 수 있다. 휘발유를 사용하는 선외 모터는 연료탱크가 발화 또는 포발로부터 보호되는 경우에 사용가능하다.
⑦ 예인 설비가 영구 부착되고,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
⑧ 작은 비품들을 넣기 위한 풍우밀된 보관소를 설치한다.
3) 구조정의 비품
① 후크(Boat-hook)를 제외한 모든 비품은 구명정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시킬것
② 구조정의 일반 비품
I 노(Oar)또는 패들(Paddle)(충분한 숫자로 부양성일것) 및 클러치(Clutch)또는 쏘올 핀(Thole pin)
II qndidd성 베일러(Buoyant bailer)1개
III 컴파스 및 비나클 한 개(적당한 조명 장치 포함)
IV 최소 10m 이상의 줄에 연결된 해묘 한 개
V 선수단에 충분한 길이와 강도를 가진 페인터(Painter)한 개(이탈 장치에 부착)
VI 라이프래프트를 예인하기 위한 50m 이상의 부양성 예인색(Buouint line)
VII 모르스 신호를 보낼 수 있는 전등(Waterproof electric torch)한 개 및 예비전지 (Spare battery)와 전구(Spare bulb)한 세트
IIX 호각(Whistle)한개
IX 구급 약품 상자 한 개
X 30m 이상의 부양성 줄이 달린 구조 고리(Rescue quloit)한 개
XI 180m의 거리에서 18m 폭으로 확대되는 서치라이트(Searchlight) 한 개(총 여섯 시 간, 연속세시간, 사용가능할 것)
XII 레이다 리프렉터(Radar reflctor)
XIII 보온복(Thermal protecive aids)(정원의 10%와 두 개중 큰 숫자만큼의 수량)
4) 고형 구조정에 비치할 것
① 보트 후크 한 개
② 바께스(Bucket)
③ 칼(Knife)또는 도끼(Hatchet)한개
5) 팽창식 구조정에 비치할것
① 부양성의 안전칼 한 개
② 스폰지 두 개
③ 수동 조작식 베로우즈(Bellows,풀무)또는 펌프(pump)한개
④ 구멍나 곳을 수리할 수 있는 적당한 용기에 든 수리 기구(Repair kit) 한 세트
⑤ 안전 보우트 후크한개
6) 팽창식 구조정의 추가 요건
① 팽창식은 보우트 카버의 내화성, 하중 기준을 적용하지 않는다.
② 구조정은
I 만재 상태로 내리거나 올릴때, 충분한 강도와 경도를 유지할 것.
II 20 3 의 외부 온도하에서 만재 상태무게의 4배의 하중을 견딜 수 있을 것(배기 밸브를 잠근 상태)
III -30 에서 전체 무게의 1.1배에 견딜 수 있을 것(배기밸부를연 상태)
③ 구조정은 다음의 노출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I 해상에서 폭록 갑판에 비치했을 때
II 모든 해상 조건에서 30일간 부양 상태로 있을 때
④ 팽창식은 추가로 Serial No. , 제조자명, 상표, 제조 일자를 표시한다.
⑤ 팽창 방법은 최소 다섯 개의 분리기실로 유도되는 한 개의 주관에 의하거나, 각각의 60%를 넘지 않는 2개의 주관에 의해 팽창시킨다. 부력 튜브는 최소 1개의 기실이 손상을 입을 경우에, 수용인원과 장비를 안전하게 부양시킬 수 있도록 배치한다.
⑥ 구조정은 1인당 0.17㎥이상의 용적을 제공해야 한다.
⑦ 각 기실에 억지밸브(Non-return valve)를 설치한다.
⑧ 선저와 보트 외부의 약한 부분에는 마찰핀(Rubbing strip)을 부착하여야 한다.
⑨ 트랜섬(Transom)을 설치할 때는, 구조정 길이의 20%이상 안쪽으로 들어와서는 안 된다.
⑩ 전후부에 페인터를 고정할 패치(Patch)를 만들고, 라이프 라인을 내외부에 설치한다.
⑪ 팽창식 구조정은 항상 완전하게 팽창된 상태로 유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