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거노인의 실태와 해결방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독거노인의 실태와 해결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1) 사회문제의 정의
(2) 주제 선택의 동기
(3) 문제도출

2. 본 론
(1) 우리나라 노인인구의 증가
(2) 우리나라 독거 노인의 비율 및 현황
(3) 노인부부가구와 노인 1인 가구의 소득 비교
(4) 독거 노인이 겪고 있는 문제점
(5) 우리 나라의 노인복지 정책
(6) 정책적 접근
(7) 문제점과 대책
(8) 내가 생각하는 해결책..
(9) 나의 바램..
(10) 관련기사..

3. 결 론

본문내용

뒤따라야 할 것이고, 직접 방문을 통한 홍보 등 여러 가지 활동들을 해야 할 것이다. 배움을 통해서 노인들, 또 그들 중 혼자 사는 노인들은 살아가는 재미를 느낄 수 있게 될 것이고, 또 생활의 편의와 재취업을 위해서도 좋은 기회의 발판으로 삼을 수 있다는 점에서 더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또 여러 가지 법의 제정과 집행을 하는 흔히 말하는 높은 분들도, 적어도 사회복지 관련분야나 사회복지 법 집행 결정에 일하시는 분들이라도 ‘사회복지’를 공부한 분들로 배치를 해서 효율성을 더 했으면 좋지 않을까 하고 생각해 본다.
(9) 나의 바램..
이러한 모든 것들이 다 잘 이루어졌으면 좋겠지만, 문화적 격차도 좀 해소 되었으면 좋겠다.
사실 지난 월드컵이나 올림픽이 우리나라를 뜨겁게 달구었을 때에도 우리 외할머니를 포함한 많은 외진 시골에 혼자 사는 노인들은 지금 세상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잘 모르는 일이 많다. 말 그대로 지금 우리는 2004년, 아니 2020~30년을 바라보면서 사는데 아직까지 그 곳의 노인들의 시계는 1970~80년대에 머물고 있는 것이다. 한 나라 안에서도 이렇게 문화적인 차이가 많이 나는데, 우리는 늘 일본과 몇 년 차이가 나고, 미국과 몇 년 차이가 나고..하는 따위의 소리를 해 댄다. 노인들에게 제정적 지원을 늘리는 동시에 여러 가지 문화적 혜택까지 누릴 수 있는 방법들을 더 많이 만든다면 최소한 이런 문제는 줄일 수 있지 않을까 하고 생각해 보고 꼭 그렇게 되었으면 좋겠다.
(10) 관련기사..
<2004년 9월 23일 세계일보>
“올 추석에는 과수원을 하는 이웃들이 ‘보기 딱하다’며 밭에 떨어진 사과 2포대를 가져다 준 것이 전부입니다.”
경북 의성군 의성읍 오로리 미신고 장애인 복지시설인 ‘믿음의 집’에서 장애인과 독거노인 등 28명을 돌보고 있는 원장 이영락(46)씨와 부인 이경자(44)씨는 23일 “추석이 며칠 남지 않았는데도 장기적인 경기침체 탓인지 위문을 오겠다는 문의전화조차 한통 오지 않는다”며 “올 추석은 고깃국이나 끓여 간소하게 보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기침체가 계속되면서 고아나 장애인, 독거노인 등을 수용하고 있는 복지시설 대부분은 이처럼 온정의 손길이 끊겨 ‘우울한 추석’을 맞이하고 있다.
복지시설은 2001년 1513곳(수용인원 9만271명)에서 올해는 2133곳(〃 11만1977명)으로 3년 새 41%나 늘었으나 IMF(국제통화기금) 체제 이후 후원자들이 줄고 올해는 경기침체 영향으로 그 어느때보다 크게 감소, 수용인들이 느끼는 ‘사랑 체감지수’는 매우 낮은 편이다.
개원한 지 5년이 된 광주시 서구 광천동 세실리아 양로원과 요양원도 예전에는 추석을 앞두고 많은 사람들이 방문했으나 올해는 아직 한 사람도 찾아오지 않고 있다.
(중략..)
90여명의 노인이 사는 서울 금천구 혜명양로원 역시 관할 구청과 구의회 방문이 예약된 것 이외는 개인이나 법인의 방문 문의가 아직 한건도 없는 상태다.
(이하 생략...)
대구·전주=전주식·박찬준기자, 전국종합/jschun@segye.com
===> 이와 같이 세상의 인심마저 많이 줄어들었고, 시설에 사는 노인이 이 정도인데, 각 가정에서 혼자 외롭게 살고 있는 노인들은 도대체 어느 정도 일까..? 그들은 아마도 딱히 도움을 청할 곳도 없이 외로움과 배고픔을 동시에 느끼며 살아 갈 수도 있다.
70대 독거노인 숨진채 발견..
<2004년 5월 7일 중앙일보>
7일 오후 1시35분쯤 광주 광산구 우산동 모 아파트에서 독거노인 이모(72)씨가 숨져 있는 것을 며느리 신모(35)씨가 발견, 경찰에 신고했다.
신씨는 “며칠째 전화를 받지 않아 안부도 살피고 반찬도 갖다 드리려고 찾아갔더니 시아버지가 숨져 있었다”고 말했다.
경찰 조사 결과 3남3녀를 둔 이씨는 2년여 전 불화로 아내 양모(74)씨가 서울에 있는 큰아들 집으로 가면서 광주에 살고 있는 막내며느리 신씨가 매주 한번씩 반찬을 갖다 주며 보살펴 왔다.
경찰은 이씨가 고령에 혼자 살면서 끼니를 제때 챙겨 먹지 않아 건강이 악화돼 숨진 것으로 보고 정확한 사인을 조사 중이다.
===> 조금만 더 주위의 보살핌만 있었더라도 막을 수 있었던 사건이다. 6남매가 있으면서도 혼자 방치되어 살다가 결국은 쓸쓸히 생을 마감한 경우인데 이 같은 경우에도 더 이상 이러한 사고가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한 여러 가지 대안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정책적 대안; 가족이 있는 경우 자주 방문하도록 하는 법조항 만들기, 노인에게 소일거리를 제공, 양로원등에 방문하게 해서 친구 사귀게 하기등..
3. 결 론
지금까지 노인문제 중 주로 ‘독거노인’의 문제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위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해를 거듭할수록 노인의 인구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지금 주위를 둘러보아도 노인들의 모습을 쉽게 찾아 볼 수 있고, 특히 공원이나 시장 같은 곳에서는 거의 대부분이 노인들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가까운 예로, 우리 부모님도 머지않아 노인 이라는 이름으로 살아가야한다고 생각하니 정말 하루라도 빨리 여러 제도들이 개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특히 독거 노인에 대해서는 국의 제정적 지원과 더불어서 모두를 내 가족처럼 생각하는 이웃의 따뜻한 시선이 더해진다면 더 빠른 시일 내에 많은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우리들도 언젠가는 나이를 먹고, 노인이 되어 혼자 살아 갈 수가 있다. 이기적인 생각 이기는 하지만 나 자신의 미래를 위해서라도 그 기반을 잘 닦아 먼 훗날 행복한 노후를 맞이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며 레포트를 마쳤다.
4. 참고 문헌
<성인지적 가족복지론>, 김영화이진숙이옥희, 2002, 양서원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최일섭외, 2000, 나남출판
학위논문 <독거노인의 고득감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부산대 대학원 사회복지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학위논문 <우리나라 독거노인의 생활안전대책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5. 참고 사이트
www. naver.com 신문기사 및 백과사전 및 전문지식 참조
www.nso.go.kr 통계청
www.kihasa.re.kr 한국보건사회연구원
www.parksimon.com 노인문제실태
  • 가격1,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4.11.30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62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