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곤충공원이란 무엇인가?
2.공원의 발생 배경
3.곤충공원의 기능
4.곤충원의 의의 및 설계목적
5.곤충원의 이용형태
6.우리나라의 곤충원의 사례와 그 특징
①길동 자연 생태공원
②샛강 생태공원
③우포늪 생태공원
④대구곤충공원
7.곤충공원의 곤충종류
8.곤충공원의 관리방안.
9.도시곤충공원의 조성방안.
2.공원의 발생 배경
3.곤충공원의 기능
4.곤충원의 의의 및 설계목적
5.곤충원의 이용형태
6.우리나라의 곤충원의 사례와 그 특징
①길동 자연 생태공원
②샛강 생태공원
③우포늪 생태공원
④대구곤충공원
7.곤충공원의 곤충종류
8.곤충공원의 관리방안.
9.도시곤충공원의 조성방안.
본문내용
잠자리)잠자리목 잠자리과의 곤충.
분류 : 잠자리목 잠자리과
분포지역 : 한국, 일본, 중국 등지
서식장소 : 평지의 물가
크기 : 배 길이 약 4.6~5 cm, 날개길이 4~4.3 cm
배 길이는 약 4.6~5 cm, 날개길이 4~4.3 cm이다. 몸빛깔은 검은데 수컷은 광채가 있는 녹색이다. 날개와 날개맥은 검으며 뒷날개의 뒷면은 황색을 띤다.
앉을 때는 날개를 곧게 세운다. 5월~10월경에 볼 수 있다. 암컷은 물풀의 조직 속에 산란한다. 유충은 홀쭉하며 담갈색이다. 평지의 물가에서 볼 수 있다.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사마귀)메뚜기목[直翅目] 사마귀과의 곤충.
분류 : 메뚜기목[直翅目] 사마귀과
분포지역 : 한국 일본 타이완 등지
크기 : 몸길이 48~65 mm
몸길이 48~65 mm이다. 몸빛깔은 회갈색 또는 암갈색인데 보통 흑갈색의 불규칙한 점무늬가 산재한다. 머리는 크고 앞가슴은 가늘고 길다. 옆가두리의 치열은 명백하나 수컷의 것은 후반부가 분명하지 않다.
옆모부[側角部]의 작은 이는 뚜렷하므로 얼른 보아 모나게 보인다. 배와 가슴은 길이가 거의 같고 꼬리 끝에 미모가 있다. 더듬이는 몸길이보다 짧고 암컷의 것은 가는털 모양이고 매우 짧다.
앞날개는 가늘고 길며 말단은 둥글고 칙칙한 황색 또는 황갈색이며 흑갈색 무늬가 있다.
뒷날개는 어두운 갈색인데 황색의 세로맥이 있고 앞가두리쪽과 말단은 연한 색이며 무늬가 거의 없다. 다리는 가늘고 길며 앞다리 허벅마디 안쪽의 밑부와 종아리마디 안쪽 중앙에 각각 1개의 큰 칠흑색 무늬가 있다. 한국 일본 타이완 등지에 분포한다.
(콩중이)몸길이는 40~57 mm이다. 몸은 짙은 녹색 또는 흑갈색이다. 정수리돌기는 나비가 넓으며 둥그렇고 뒤쪽으로 연장되며 1개의 세로융기선이 있다. 밑부 구멍은 삼각형이고 얼굴융기는 뚜렷하게 앞쪽으로 구부러졌는데, 앞가두리는 평행하고 세로홈은 없다.
앞가슴은 길고 어깨는 높으며, 앞가두리의 중앙은 앞쪽으로 돌출하고 뒷가두리는 뒤쪽으로 예리한
모로 연장되었다. 중앙의 세로융기선은 뚜렷하게 등쪽으로 융기하였고 구부러졌으며, 중앙에서 가로홈이 교차되나 절단되지 않은 때가 많다.
1쌍의 흑갈색 세로띠가 있고 이것의 바깥쪽은 나비가 넓게 흑갈색이며, 앞쪽 안 옆에 같은 색의 사선이 있다. 이 선은 겹눈에 달하고 머리에는 흑색 선두리가 생겼다. 중앙의 융기선은 때로는 적갈색 또는 흑갈색이다.
앞날개의 볼기부는 짙은 녹색이고 그 밖의 것은 흑갈색인데, 2개의 회색 가로띠가 있다. 암컷의 것은 불규칙하다. 뒷날개에는 흑갈색의 중앙띠가 있고 밑은 담황색이며 바깥쪽은 약간 어두운 색이다. 뒷다리 종아리마디는 홍색이고 밑부의 고리는 불분명하다. 한국 일본 타이완 및 열대지방에 분포한다.
(꽃등애)분류 : 파리목[雙翅目] 꽃등에과
분포지역 : 전세계
서식장소 : 꽃
크기 : 몸길이 14~15mm
몸길이 14~15mm이며 몸은 흑갈색이다. 얼굴과 앞이마돌기는 황백색 가루로 덮였으며 돌기의 끝은 흑갈색이다. 복부는 황적색이며 각 마디에 검은 띠가 있는데 제4마디 이하는 흑색이다.
다리 더듬이는 흑갈색이며, 뒷다리 넓적다리마디의 기부와 무릎은 황적색이다. 유충은 꼬리구더기라고도 하는데 오물을 먹으며 그 안에서 산다. 길이가 몸길이만하거나 더 긴 꼬리 모양의 돌기로 호흡을 한다.
성충은 꽃에 날아들지만 유충이 서식하는 오물에도 모여들기 때문에 전염병을 매개하는 경우가 있다. 성충으로 월동한다. 전세계에 분포한다.
8.곤충공원의 관리방안.
○ 관찰자에 대한 편의 시설을 설치하지 않는다.
이는 공원 내에 오래 머무르는 곳이 없게 하여 곤충의 활동을 방해하지 않게 하기 위함
이다.
○ 입구를 하나로 통일시켜 인간의 움직임에 민감한 생물을 보호한다.
○ 공원의 관찰 시간을 1시간 내외로 제한한다.
○ 인원도 20~30명 정도로 제한한다.
○ 학생들의 단체관람은 인솔교사에 의해 이루어지게 한다.
○ 일반인들의 관람은 특정일(예를 들어 토요일 오후)에 자원봉사자들에 의해 교육이
이루어지게 한다.
○ 탐방객 안내소등에서 슬라이드 상영 등을 통해 기본정보와 주의할점을 제공한다.
○ 수서 곤충의 다양성을 증진시킨다.
홍수 등으로 인해 수서 곤충이 유입될 수도 있으나 그러하지 못한 지역은 인근지역에서
인위적으로 유입하여 정착화 시켜야 할 것이다.
○ 습생곤충의 안정화 유도
여러 종류의 식물을 심고 도입함으로서 식물질을 섭식 하는 곤충의 다양화를 높이고 흡즙성 해충을 포식하는 거미등을 통해 먹이사슬을 체계화 꾀할 수 있다.
○ 건생지 활용
밀원 식물들을 계절별로 군생시킴으로써 꽃을 좋아하는 곤충의 다양성을 증진시킨다.
○ 오감안내법 개발
덩치가 큰 종류의 곤충은 경관과 어울리지만 대부분의 곤충은 1cm 미만의 작은 생물들
이다. 그러므로 단순히 서서보는 관찰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엎드리거나 쪼그려 앉는
등의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정보를
저장 분석함으로서 주요 종을 유지시키고 관리하게 한다.
이를 바탕으로 적기적소에 안내판을 설치하여 올바른 탐방을 유도할 수 있을 것
이다.
9.도시곤충공원의 조성방안.
생태공원의 조성은 도시외부의 건강한 자연지역과 도시내부의 점적인 생물 서식공간들과의 연결체계 구축이 선행되어야 하며, 전체 체계 속에서 개별 생태공원의 역할이 분담되어야 한다. 도시 내 점적 요소인 생태공원의 형태는 크게 3가지로 분류된다.
1) 자연보존형 생태공원
도시 내 생물서식환경의 보호를 주목적으로 하며, 서식환경을 생태적 기법에 의해 복원한 후, 자연생태 연구실험지 및 인근녹지에 대한 생물전파지 역할을 한다.
2) 일반이용 + 보존형 생태공원
일반공원의 일부지역을 생태복원지역으로 조성, 인원통제를 통해 서식환경을 보호하며, 생물학적 요소인 새, 곤충들이 일반공원지역까지 활동하게 함으로써 공원 내 생물학적 다양성 증진을 꾀한다.
3) 이용위주의 생태관찰원
이용위주의 공원으로 생태적 요소를 이용한 인공환경시설 위주의 주제공원 형태로 조성되며, 인위적으로 조성된 생태적 복원환경을 지속하기 위하여 유지보수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투여된다.
분류 : 잠자리목 잠자리과
분포지역 : 한국, 일본, 중국 등지
서식장소 : 평지의 물가
크기 : 배 길이 약 4.6~5 cm, 날개길이 4~4.3 cm
배 길이는 약 4.6~5 cm, 날개길이 4~4.3 cm이다. 몸빛깔은 검은데 수컷은 광채가 있는 녹색이다. 날개와 날개맥은 검으며 뒷날개의 뒷면은 황색을 띤다.
앉을 때는 날개를 곧게 세운다. 5월~10월경에 볼 수 있다. 암컷은 물풀의 조직 속에 산란한다. 유충은 홀쭉하며 담갈색이다. 평지의 물가에서 볼 수 있다.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사마귀)메뚜기목[直翅目] 사마귀과의 곤충.
분류 : 메뚜기목[直翅目] 사마귀과
분포지역 : 한국 일본 타이완 등지
크기 : 몸길이 48~65 mm
몸길이 48~65 mm이다. 몸빛깔은 회갈색 또는 암갈색인데 보통 흑갈색의 불규칙한 점무늬가 산재한다. 머리는 크고 앞가슴은 가늘고 길다. 옆가두리의 치열은 명백하나 수컷의 것은 후반부가 분명하지 않다.
옆모부[側角部]의 작은 이는 뚜렷하므로 얼른 보아 모나게 보인다. 배와 가슴은 길이가 거의 같고 꼬리 끝에 미모가 있다. 더듬이는 몸길이보다 짧고 암컷의 것은 가는털 모양이고 매우 짧다.
앞날개는 가늘고 길며 말단은 둥글고 칙칙한 황색 또는 황갈색이며 흑갈색 무늬가 있다.
뒷날개는 어두운 갈색인데 황색의 세로맥이 있고 앞가두리쪽과 말단은 연한 색이며 무늬가 거의 없다. 다리는 가늘고 길며 앞다리 허벅마디 안쪽의 밑부와 종아리마디 안쪽 중앙에 각각 1개의 큰 칠흑색 무늬가 있다. 한국 일본 타이완 등지에 분포한다.
(콩중이)몸길이는 40~57 mm이다. 몸은 짙은 녹색 또는 흑갈색이다. 정수리돌기는 나비가 넓으며 둥그렇고 뒤쪽으로 연장되며 1개의 세로융기선이 있다. 밑부 구멍은 삼각형이고 얼굴융기는 뚜렷하게 앞쪽으로 구부러졌는데, 앞가두리는 평행하고 세로홈은 없다.
앞가슴은 길고 어깨는 높으며, 앞가두리의 중앙은 앞쪽으로 돌출하고 뒷가두리는 뒤쪽으로 예리한
모로 연장되었다. 중앙의 세로융기선은 뚜렷하게 등쪽으로 융기하였고 구부러졌으며, 중앙에서 가로홈이 교차되나 절단되지 않은 때가 많다.
1쌍의 흑갈색 세로띠가 있고 이것의 바깥쪽은 나비가 넓게 흑갈색이며, 앞쪽 안 옆에 같은 색의 사선이 있다. 이 선은 겹눈에 달하고 머리에는 흑색 선두리가 생겼다. 중앙의 융기선은 때로는 적갈색 또는 흑갈색이다.
앞날개의 볼기부는 짙은 녹색이고 그 밖의 것은 흑갈색인데, 2개의 회색 가로띠가 있다. 암컷의 것은 불규칙하다. 뒷날개에는 흑갈색의 중앙띠가 있고 밑은 담황색이며 바깥쪽은 약간 어두운 색이다. 뒷다리 종아리마디는 홍색이고 밑부의 고리는 불분명하다. 한국 일본 타이완 및 열대지방에 분포한다.
(꽃등애)분류 : 파리목[雙翅目] 꽃등에과
분포지역 : 전세계
서식장소 : 꽃
크기 : 몸길이 14~15mm
몸길이 14~15mm이며 몸은 흑갈색이다. 얼굴과 앞이마돌기는 황백색 가루로 덮였으며 돌기의 끝은 흑갈색이다. 복부는 황적색이며 각 마디에 검은 띠가 있는데 제4마디 이하는 흑색이다.
다리 더듬이는 흑갈색이며, 뒷다리 넓적다리마디의 기부와 무릎은 황적색이다. 유충은 꼬리구더기라고도 하는데 오물을 먹으며 그 안에서 산다. 길이가 몸길이만하거나 더 긴 꼬리 모양의 돌기로 호흡을 한다.
성충은 꽃에 날아들지만 유충이 서식하는 오물에도 모여들기 때문에 전염병을 매개하는 경우가 있다. 성충으로 월동한다. 전세계에 분포한다.
8.곤충공원의 관리방안.
○ 관찰자에 대한 편의 시설을 설치하지 않는다.
이는 공원 내에 오래 머무르는 곳이 없게 하여 곤충의 활동을 방해하지 않게 하기 위함
이다.
○ 입구를 하나로 통일시켜 인간의 움직임에 민감한 생물을 보호한다.
○ 공원의 관찰 시간을 1시간 내외로 제한한다.
○ 인원도 20~30명 정도로 제한한다.
○ 학생들의 단체관람은 인솔교사에 의해 이루어지게 한다.
○ 일반인들의 관람은 특정일(예를 들어 토요일 오후)에 자원봉사자들에 의해 교육이
이루어지게 한다.
○ 탐방객 안내소등에서 슬라이드 상영 등을 통해 기본정보와 주의할점을 제공한다.
○ 수서 곤충의 다양성을 증진시킨다.
홍수 등으로 인해 수서 곤충이 유입될 수도 있으나 그러하지 못한 지역은 인근지역에서
인위적으로 유입하여 정착화 시켜야 할 것이다.
○ 습생곤충의 안정화 유도
여러 종류의 식물을 심고 도입함으로서 식물질을 섭식 하는 곤충의 다양화를 높이고 흡즙성 해충을 포식하는 거미등을 통해 먹이사슬을 체계화 꾀할 수 있다.
○ 건생지 활용
밀원 식물들을 계절별로 군생시킴으로써 꽃을 좋아하는 곤충의 다양성을 증진시킨다.
○ 오감안내법 개발
덩치가 큰 종류의 곤충은 경관과 어울리지만 대부분의 곤충은 1cm 미만의 작은 생물들
이다. 그러므로 단순히 서서보는 관찰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엎드리거나 쪼그려 앉는
등의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정보를
저장 분석함으로서 주요 종을 유지시키고 관리하게 한다.
이를 바탕으로 적기적소에 안내판을 설치하여 올바른 탐방을 유도할 수 있을 것
이다.
9.도시곤충공원의 조성방안.
생태공원의 조성은 도시외부의 건강한 자연지역과 도시내부의 점적인 생물 서식공간들과의 연결체계 구축이 선행되어야 하며, 전체 체계 속에서 개별 생태공원의 역할이 분담되어야 한다. 도시 내 점적 요소인 생태공원의 형태는 크게 3가지로 분류된다.
1) 자연보존형 생태공원
도시 내 생물서식환경의 보호를 주목적으로 하며, 서식환경을 생태적 기법에 의해 복원한 후, 자연생태 연구실험지 및 인근녹지에 대한 생물전파지 역할을 한다.
2) 일반이용 + 보존형 생태공원
일반공원의 일부지역을 생태복원지역으로 조성, 인원통제를 통해 서식환경을 보호하며, 생물학적 요소인 새, 곤충들이 일반공원지역까지 활동하게 함으로써 공원 내 생물학적 다양성 증진을 꾀한다.
3) 이용위주의 생태관찰원
이용위주의 공원으로 생태적 요소를 이용한 인공환경시설 위주의 주제공원 형태로 조성되며, 인위적으로 조성된 생태적 복원환경을 지속하기 위하여 유지보수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투여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