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석은 것이 인간일는지도 모른다.
노자의 도덕경을 읽어가며 가장 와 닿았던 부분이 있었다. 33장의 자신을 아는 것이 진정한 밝음이라는 내용이 있다. 참된 지혜와 진정한 용기 그리고 영원한 생명은 개인의 수양과 주체적 자아의 확립을 통해 가능하며. 남을 알고 남에게 이기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중요한 관건은 자신을 알고 자신을 이기는 데 달려 있다고 노자는 말하였다. .
참된 지혜란 무엇이고 참된 용기란 무엇일까? 그리고 진정으로 영원한 생명은 어디에 있는가? 노자는 이 장에서 개인의 수양과 주체적 자아의 확립을 통해 이 문제에 대한 답을 하고자 한다.
다른 사람을 안다는 것은 지혜롭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자기 자신을 안다는 것은 단순한 지혜가 아니라 진정한 밝음이다. 남을 이기는 것은 단순히 힘이 있느냐 없느냐의 문제에 불과하다. 그러나 자신을 기는 사람은 스스로 반성하고 극복할 수 있기에 참으로 강한 사람이다.
스스로 넉넉함을 알고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참으로 부유한 사람이다. 아무리 풍족하게 지녔더라도 만족할 줄 모르면, 그는 비록 겉으로 부자인 듯 보여도 사실은 가난한 사람에 불과하다.
무위자연의 도에 뜻을 두고 이를 실천하고자 힘써 노력하는 사람, 그는 참으로 큰 뜻을 지닌 사람이다. 그는 결국 자기가 뜻한 바를 이룰 것이다. 그런 사람이야말로 참으로 의지력이 굳세고 강한 사람이라고 할 것이다.
모든 사물, 모든 사람에게는 각기 그 자신에 알맞은 자리가 있는 법이다. 항상 자기가 있어야 할 곳을 떠나지 않아서, 자기의 근본과 기본을 지니는 사람은 자신을 오래도록 지킬 수 있다. 우리의 이 육신은 언젠가 죽고 없어진다. 하지만 도를 발견하고 깨달은 삶, 그는 비록 죽더라도 죽음을 통해 무위자연의 대도에 합일하여 자신이 결코 없어지지 않음을 알게 될 것이다. 이 장은 개인의 수양과 자아의 확립을 말한다. '스스로를 알고', '스스로를 이기며', '스스로 만족하고', '힘써 행동하는 ' 사람은 요컨대 자신을 반성하고 자기를 굳게 지키고 자기를 극복하며 아울러 뜻을 세워서 힘껏 노력한다. 이런 사람만이 그의 정신적 생명과 사상의 생명을 한걸음 더 전개할 수 있다. 결국 남을 알고 남을 이기는 것도 중요하지만 자신을 알고, 자신을 이기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의미이다.
참다운 진리를 아는 인간의 밝음이란 결코 밖에서 얻어지는 경험적이고 대상적인 지식이 아니다. 그것은 우리 마음에 본래부터 갖추어져 있는 것이다. 다만 욕망과 충동에 가리워지고, 문명과 제도에 의해 억압되고 왜곡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진정한 진리를 알기 위해서는 우리의 마음을 내면으로 집중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노자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문밖으로 나가지 않더라도 이 세상의 이치를 앉아서 알 수 있다. 세상의 모든 일은 결국 도에서 생겨나기 때문이다. 창으로 밖을 엿보지 않더라도 하늘의 도, 자연의 법칙을 알 수 있는 법이다. 오히려 밖을 향해 멀리 나가면 나갈수록 진정한 앎은 더욱더 적어지게 된다. 진리란 밖에 있지 않고 우리의 내면에 있기 때문이다.
노자의 도덕경을 읽어가며 가장 와 닿았던 부분이 있었다. 33장의 자신을 아는 것이 진정한 밝음이라는 내용이 있다. 참된 지혜와 진정한 용기 그리고 영원한 생명은 개인의 수양과 주체적 자아의 확립을 통해 가능하며. 남을 알고 남에게 이기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중요한 관건은 자신을 알고 자신을 이기는 데 달려 있다고 노자는 말하였다. .
참된 지혜란 무엇이고 참된 용기란 무엇일까? 그리고 진정으로 영원한 생명은 어디에 있는가? 노자는 이 장에서 개인의 수양과 주체적 자아의 확립을 통해 이 문제에 대한 답을 하고자 한다.
다른 사람을 안다는 것은 지혜롭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자기 자신을 안다는 것은 단순한 지혜가 아니라 진정한 밝음이다. 남을 이기는 것은 단순히 힘이 있느냐 없느냐의 문제에 불과하다. 그러나 자신을 기는 사람은 스스로 반성하고 극복할 수 있기에 참으로 강한 사람이다.
스스로 넉넉함을 알고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참으로 부유한 사람이다. 아무리 풍족하게 지녔더라도 만족할 줄 모르면, 그는 비록 겉으로 부자인 듯 보여도 사실은 가난한 사람에 불과하다.
무위자연의 도에 뜻을 두고 이를 실천하고자 힘써 노력하는 사람, 그는 참으로 큰 뜻을 지닌 사람이다. 그는 결국 자기가 뜻한 바를 이룰 것이다. 그런 사람이야말로 참으로 의지력이 굳세고 강한 사람이라고 할 것이다.
모든 사물, 모든 사람에게는 각기 그 자신에 알맞은 자리가 있는 법이다. 항상 자기가 있어야 할 곳을 떠나지 않아서, 자기의 근본과 기본을 지니는 사람은 자신을 오래도록 지킬 수 있다. 우리의 이 육신은 언젠가 죽고 없어진다. 하지만 도를 발견하고 깨달은 삶, 그는 비록 죽더라도 죽음을 통해 무위자연의 대도에 합일하여 자신이 결코 없어지지 않음을 알게 될 것이다. 이 장은 개인의 수양과 자아의 확립을 말한다. '스스로를 알고', '스스로를 이기며', '스스로 만족하고', '힘써 행동하는 ' 사람은 요컨대 자신을 반성하고 자기를 굳게 지키고 자기를 극복하며 아울러 뜻을 세워서 힘껏 노력한다. 이런 사람만이 그의 정신적 생명과 사상의 생명을 한걸음 더 전개할 수 있다. 결국 남을 알고 남을 이기는 것도 중요하지만 자신을 알고, 자신을 이기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의미이다.
참다운 진리를 아는 인간의 밝음이란 결코 밖에서 얻어지는 경험적이고 대상적인 지식이 아니다. 그것은 우리 마음에 본래부터 갖추어져 있는 것이다. 다만 욕망과 충동에 가리워지고, 문명과 제도에 의해 억압되고 왜곡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진정한 진리를 알기 위해서는 우리의 마음을 내면으로 집중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노자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문밖으로 나가지 않더라도 이 세상의 이치를 앉아서 알 수 있다. 세상의 모든 일은 결국 도에서 생겨나기 때문이다. 창으로 밖을 엿보지 않더라도 하늘의 도, 자연의 법칙을 알 수 있는 법이다. 오히려 밖을 향해 멀리 나가면 나갈수록 진정한 앎은 더욱더 적어지게 된다. 진리란 밖에 있지 않고 우리의 내면에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