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미문학] 미궁으로부터의 탈출: A Portrait of Artist as a Young Man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Ⅲ.결론

본문내용

gs of soft white down. Her slateblue skirts were kilted boldly about her waist and dovetailde behind her. Her bosom was as a bird's soft and slight, slight and soft as the breast of some darkplumaged dove. But her long fair hair was girlish: and girlish, and touched with the wonder mortal bearty, her face. (p.239-240)
소녀의 모습은 정신적 계시의 순간을 나타내는 에피파니(epiphany)로서 Stephen의 미래의 상징적 존재요, 환희의 발로이며, 예술세계로 향하여 비상하려는 정신적 부활의 상징이다. 그래서 그는 천사의 "To live, to err, to fall, to triumph, to create life out of life!"(p.240)라는 계시에 따라 불굴의 정신으로 예술을 창조하겠다는 결심을 하게 된다. 이제 그는 대학 도서관 계단에 서서 나는 새를 바라보며 현실로부터 이탈하여 얻게 될 자유의 본질을 생각하게 된다. 그러나 Stephen은 미지의 것에 대한 두려움 상징과 전조에 대한 두려움이 그의 마음속에 움직이며 자신의 탈출에 대해 의심을 하게 된다. 그러나 Stephen은 "I do not fear to be alone or to be spurned for another or to leave whatever I have to leave. And I am not afraid to make a mistake, even a great mistake, a lifelong mistake and perhaps as long as eternity too. (p.334)라고 말함으로써 탈출의 결과에서 초래될 고독이나 실수에 개의치 않겠다는 강한 의지를 표현하고 있다. 그래서 그는 "경험의 현실에 백만번이고 부딪치기 위해, 영혼의 대장간 속에서 민족의 아직 창조되지 않은 양심을 벼리기 위해" (p.343)파리로 탈출하게 된다.
Ⅲ.결론
A Portrait는 그 제목이 암시하고 있듯이 주인공 Stephen Dedalus가 예술가로서의 운명을 자각하고 자신을 둘러싼 환경으로부터 탈출하게 되는 "성장소설"(Bilungsroman)이자 "예술가 소설"(Kunstlerroman)이다. 그러나 이 작품이 "성장 소설"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Joyce의 성장과정과 유사점이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Stephen이 바로 Joyce이고 그리고 Joyce가 단순히 자신의 생활에서 일어난 사건을 그대로 기록했다고 볼 수는 없다. Joyce는 A Portrait에서 Ireland라는 마비의 도시 속의 정신적인 반항아인 Stephen이라는 한 젊은이의 의식의 성장과정을 단순히 자신의 경험 속의 사실에 바탕을 두어 기록하기보다는 나름대로의 독특한 기법과 문체를 개발하여 "성장소설"(Bilungsroman)로서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 미학적 형식론(aesthetic formalism)의 측면에서 살펴볼 때 A Portrait는 Stephen의 예술가로서의 운명의 자각과 추구에 있어 일정한 음률적 패턴(rhythmical pattern)위에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결과로 언어와 문체의 표현이 이러한 음률적 패턴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면서 다양하게 나타나 있다. 아동기의 순진하고 소박한 언어가 점차 성장해감에 따라 보다 세련되고 화려한 문체로 바뀌고 있다. 특히, Stephen의 소외와 고립이 극대화된 순간에 나타나는 문체는 사실주의 내지 자연주의적 특성을 지니고 있지만 이러한 소외와 좌절을 극복하고 심리적 위안과 예술적 자각을 나타내는 순간의 문체는 인상주의 문체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이 Joyce는 Stephen의 성장과정에서 나타나는 갈등구조를 음률적 패턴위에서 기술함으로써 내용보다는 형식을 중시하는 모더니즘 작가들의 공통된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Joyce는 이 작품에서 감수성이 예민한 Stephen이라는 주인공을 통하여 모더니즘 소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실로부터의 이탈이라는 주제를 아주 효과적으로 시도하고 있다. 유아기의 Stephen은 주로 아버지와 어머니 그리고 그들의 정신적 생활기조를 이루고 있는 종교적 그늘 속에서 지배를 받지만 점차 그러한 환경이 예술가로서의 성장에 방해가 되고 있음을 인식하고 그들과의 갈등을 겪게 된다. 그러나 그는 그 동안 단순히 친구들로부터 조롱감이 되어왔던 자신의 이름 속에서 자신을 그리스의 명장 Daedalus와 같은 존재, 그리고 예술적 거장으로서의 창조의 신과 같은 존재로 여기고 환경의 모든 구속으로부터 탈출을 하게된다. Joyce는 이러한 탈출의 주제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해서 Ovid의 Metamorphoses에 나오는 Daedalus신화를 "구조적 등뼈"(structural backbone)로 삼고 있다. 에피그라프(epigraph)에 나오는 "그리하여 그(Daedalus)는 미지의 기술에 몰두했다."(Et ignotas animum dimittit in artes)로 시작되어 "오 늙으신 아버지시여, 늙으신 공장이시여, 지금 그리고 영원토록 변함없이 저를 도와주옵소서" (Old father, old artificerm stand me now and ever in good stead. p.343)로 끝나는 이 작품속에서 Joyce는 Daedalus적인 측면("the fabulous artificer.".p.237)과 Icarus적 측면("a hawklike man flying sunward above the sea." "-O, cripes, I'm drowned!" p.237)을 동시에 나타냄으로써 탈출의 결과에 대하여 다소 위험성은 있지만 탈출에 성공을 거두게 함으로써 이 작품의 제목(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이 암시하는 아직 미성숙한 예술가의 행위에 일종의 희망과 비젼(vision)을 제시하고 있다.
  • 가격1,4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4.12.03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69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