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학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문제제기

Ⅱ.이론적 배경
⑴아동학대의 개관
1) 아동학대의 정의
2) 아동학대의 유형
3) 아동학대의 원인

Ⅲ.아동학대실태 및 현황
⑴아동학대사례
⑵아동학대 치료 및 예방프로그램, 사후관리 프로그램

Ⅳ.제도 및 서비스 한계점

Ⅴ.결론

본문내용

지 아니한 자의 처벌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미국의 경우에는 신고하지 아니한 자도 아동학대의 가해자와 똑같이 범죄로 취급하여 처벌한다. 하지만 개정 아동복지법에서는 신고의무만 언급하고 있을뿐 별도의 처벌 규정은 없는 실정이다.
우리가 생각하는 한계점
우리조가 생각하는 제도나 서비스의 한계점은 우선 인식의 변화가 더 필요하다고 본다. 대한 아동학대 예방협회에서 시행되는 인식변환 프로그램이 서울지역만이 아닌 전국적인 확산이 필요하다. 그리고 전문사회복지사의 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현재 1391은 24시간 운영체제로 규정되어있지만 현실은 사회복지사의 인력부족으로 인해 그렇지 못한 실정이다. 그리고 학대 아동들을 위한 일시보호시설이 확충되어야한다. 법적으로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설립이 조항으로 되어있지만 법의 시행한지가 얼마되지 않아서 인지 현재 아동보호전문기관이
서울에는 서울시 아동학대 예방 센타 단 한 곳뿐이다. 또한 가정폭력방지법에서 아동학대와 아내 학내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렇게 아동복지법과 가정폭력방지법에서 중첩되는 부분은 아예 '아동학대 방지법'을 별도로 제정하여서 두 법사이에서 개념의 충돌을 방지해야 할 것이다. 또한 특별한 사후관리 프로그램이 없으므로 아동이 다시 가정으로 돌아가 학대를 받는 일이 많다고 한다. 사후관리 프로그램의 정비도 중요하며 전문적인 사후관리 사회복지사가 필요하다고 본다.
Ⅴ. 결론
아동학대의 예방은 개정 아동복지법의 이해와 더불어 부모들이나 아동을 돌보는 이들의 인식 전환과 아동학대를 허용치 않는 공중의 인식이 병행되어야 한다. 개정 아동복지법에서 아동학대에 대한 법령을 국민에게 적극적인 홍보를 하여야 한다. 그리고 아동학대가해자에 대한 처벌도 아동과 가정을 함께 보호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그리고 기관에서는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변화를 위해 거리 캠패인과 같이 사람들과 많이 접하고 그들의 생각에 닿을수 있는 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여야한다. 또한 앞으로는 더 많은 아동보호 전문기관의 설립과 단체들의 활성화가 이루어져야한다. 또한 아동학대 관련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사회복지사가 육성되어야 한다.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사회복지사들은 학대아동에 대한 조정자와 연락자, 매개자, 치료자 및 기타 서비스 제공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 또한 사회복지사들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가족의 스트레스를 감소시켜주기 위한 필요한 자원과 지지, 지원을 제공해야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2.06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73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