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正義倫理와 보살핌倫理
2) 보살핌윤리의 심리학적 기원
3) 道德的 定向과 性差
4) 정의윤리와 보살핌윤리의 상관성
2) 보살핌윤리의 심리학적 기원
3) 道德的 定向과 性差
4) 정의윤리와 보살핌윤리의 상관성
본문내용
같은 정황들을 함께 고려한다.
프리드만에 따르면 보살핌이 강조되는 가정이나 친밀한 인간관계 안에서 일어나는 不正義한 사건들을 시정하기 위해서는 正義가 요청되고, 正義가 요청되는 경우에도 보살핌이 함께 요청된다고 주장하였다. 헬드는 보살핌이 강조되는 가정에서도 남녀차별, 부부간의 불평등한 관계 등을 시정하기 위해서 보살핌과 함께 정의가 함께 요청되고, 정의가 강조되는 국가 안에서의 빈민, 약자 등을 위한 복지정책을 실시할 때에도 정의와 함께 보살핌이 함께 요청된다는 주장을 통해서 정의와 보살핌의 공존과 양립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플래나겐(Owen Flanagan)과 잭슨(Kathryn Jackson)은 두 정향이 양립하다는 길리간의 설명방식과 주장을 함께 비판하고 있다. 이들은 길리간의 설명방법이 가지고 있는 의의와 한계를 지적함으로써 길리간이 취한 두 윤리간의 관계에 대한 입장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잘 지적해 주고 있다.
또한 클레멘트(G. Clement)와 재거는 두 윤리가 양립 불가능하다는 길리간의 주장과 상반되는 입장을 보여주고 있다. 이들은 정의와 보살핌이 상호 배타적이거나 독립적인 윤리가 아니라, 상호의존적이면서 양립 가능한 윤리라고 주장하였다. 클레멘트에 따르면 토끼와 오리의 정향사이에는 연계 즉, 토끼 그림 속에 숨겨진 오리 그림이 있을 필요가 없지만 정의와 보살핌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상호의존적이라는 것이다.
재거는 오리의 형태가 토끼의 형태로도 보이고, 토끼의 형태가 오리의 형태로도 보일 수 있다는 것은 우연적인 사실에 불과한 반면에 특수한 상황들은 사회적 구조들로부터 그 의미를 얻고, 사회적 구조들은 오직 특별한 상황 안에서의 구체화를 통해서만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은 우연이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길리간은 최근 들어서 자신의 주장이 갖는 문제점을 보완해서 두 윤리간의 관계를 새로운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길리간은 정의와 보살핌의 관계를 음악적 은유를 통해서 설명하고 있다. 대위선율(counterpoint), 하모니(harmony),조화로운 전체(harmonious wholes),이중 둔주곡(double fugue) 등의 용어들은 길리간에게 근대적 전통에서의 도덕적 영역에서 근본적으로 벗어난 새로운 도덕적 영역을 기술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해 주었다. 그녀는 남성의 발달 이론에서 많이 사용되어 왔었던 단계(s tages 혹은 steps)라는 언어 대신에 음악 용어인 대위법이나 주제(theme)라는 말을 대신 사용해서 두 윤리간의 관계를 대위선율에 비유해서 설명하였다.
이러한 음악적 비유를 사용함으로써 길리간은 보살핌과 정의의 관계를 초기의 형식화에서 내포된 함축을 피하는 방식으로 정의하고자 했다. 즉, 정의와 보살핌은 이중 둔주곡과 같이 함께 연주되는 것으로서 서로 독립적이면서도 공존과 조화를 필요로 하는 관계를 갖는다는 것이다.
그녀의 입장을 종합해 보면, 그녀는 두 관점이 서로 대립되고 적대적인 것이 아니라 서로 독립적이고 조화를 필요로 하는 상보적이고 공존을 필요로 하는 관계를 갖는다고 보고 있는 것 같다.
프리드만에 따르면 보살핌이 강조되는 가정이나 친밀한 인간관계 안에서 일어나는 不正義한 사건들을 시정하기 위해서는 正義가 요청되고, 正義가 요청되는 경우에도 보살핌이 함께 요청된다고 주장하였다. 헬드는 보살핌이 강조되는 가정에서도 남녀차별, 부부간의 불평등한 관계 등을 시정하기 위해서 보살핌과 함께 정의가 함께 요청되고, 정의가 강조되는 국가 안에서의 빈민, 약자 등을 위한 복지정책을 실시할 때에도 정의와 함께 보살핌이 함께 요청된다는 주장을 통해서 정의와 보살핌의 공존과 양립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플래나겐(Owen Flanagan)과 잭슨(Kathryn Jackson)은 두 정향이 양립하다는 길리간의 설명방식과 주장을 함께 비판하고 있다. 이들은 길리간의 설명방법이 가지고 있는 의의와 한계를 지적함으로써 길리간이 취한 두 윤리간의 관계에 대한 입장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잘 지적해 주고 있다.
또한 클레멘트(G. Clement)와 재거는 두 윤리가 양립 불가능하다는 길리간의 주장과 상반되는 입장을 보여주고 있다. 이들은 정의와 보살핌이 상호 배타적이거나 독립적인 윤리가 아니라, 상호의존적이면서 양립 가능한 윤리라고 주장하였다. 클레멘트에 따르면 토끼와 오리의 정향사이에는 연계 즉, 토끼 그림 속에 숨겨진 오리 그림이 있을 필요가 없지만 정의와 보살핌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상호의존적이라는 것이다.
재거는 오리의 형태가 토끼의 형태로도 보이고, 토끼의 형태가 오리의 형태로도 보일 수 있다는 것은 우연적인 사실에 불과한 반면에 특수한 상황들은 사회적 구조들로부터 그 의미를 얻고, 사회적 구조들은 오직 특별한 상황 안에서의 구체화를 통해서만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은 우연이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길리간은 최근 들어서 자신의 주장이 갖는 문제점을 보완해서 두 윤리간의 관계를 새로운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길리간은 정의와 보살핌의 관계를 음악적 은유를 통해서 설명하고 있다. 대위선율(counterpoint), 하모니(harmony),조화로운 전체(harmonious wholes),이중 둔주곡(double fugue) 등의 용어들은 길리간에게 근대적 전통에서의 도덕적 영역에서 근본적으로 벗어난 새로운 도덕적 영역을 기술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해 주었다. 그녀는 남성의 발달 이론에서 많이 사용되어 왔었던 단계(s tages 혹은 steps)라는 언어 대신에 음악 용어인 대위법이나 주제(theme)라는 말을 대신 사용해서 두 윤리간의 관계를 대위선율에 비유해서 설명하였다.
이러한 음악적 비유를 사용함으로써 길리간은 보살핌과 정의의 관계를 초기의 형식화에서 내포된 함축을 피하는 방식으로 정의하고자 했다. 즉, 정의와 보살핌은 이중 둔주곡과 같이 함께 연주되는 것으로서 서로 독립적이면서도 공존과 조화를 필요로 하는 관계를 갖는다는 것이다.
그녀의 입장을 종합해 보면, 그녀는 두 관점이 서로 대립되고 적대적인 것이 아니라 서로 독립적이고 조화를 필요로 하는 상보적이고 공존을 필요로 하는 관계를 갖는다고 보고 있는 것 같다.
키워드
추천자료
현대사회와 윤리경영 (윤리경영의 사례 중심으로 알아본 현대사회에서의 윤리경영)
[환경보건윤리]생태중심주의 윤리 및 사회생태주의 윤리의 특성과 한계
[광고윤리][소비자만족]광고윤리의 개념, 소비자안전과 위해광고의 심의, 소비자 행동의 변화...
보육교사의 윤리의식 (보육교사의 윤리의식의 개념 및 특성, 보육교사 윤리의식의 중요성)
[윤리]윤리(ethics)라는 개념을 기업활동과 관련하여 공정, 정의, 양심, 선행, 에티켓, 도덕,...
사회복지 윤리적 딜레마 - 윤리논쟁 제시,공리주의vs의무론적 윤리이론.ppt
[기업윤리, 윤리경영] 공정무역과 윤리적 소비에 대한 보고서
[기업윤리, 윤리경영] 공정무역과 윤리적 소비
사회복지사의 윤리강령과 윤리적 딜레마를 서술 : 윤리강령
사회복지사의 직업윤리란 무엇인가. 그리고 그 직업윤리로 인해서 벌어질 수 있는 가치상충, ...
사회복지사는 윤리적인 사명감을 가지고 일을 책임져야 한다.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발생하...
[교직윤리3B] 교직윤리에 대해 논하시오 (교직윤리의 개념, 필요성, 제안점 등)@@
[경영윤리] 윤리적 기업에 대한 논의 -탐스와 나이키의 사례를 중심으로- [탐스 소개 탐스 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