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장. 농촌사회의 구조
제 2장. 중국시장의 변화
제 3장. 인민공사와 시장사회
제 2장. 중국시장의 변화
제 3장. 인민공사와 시장사회
본문내용
써 초래된 불이익에 대해 비난받으면서도 인민공사에 의한 자연적 사회체제의 소멸정책으로 회귀·전환시켰다. 그리고 그들은 이러한 것이 얼마나 뼈아픈 고통인지를 인지하게 되었고 거대하고 비실제적인 규모로 성장한 집단농장에 대하여 구성원의 수요에 맞게 규모를 적절히 축소시켜야만 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어쨌든 1958년에 이르러 중국 농촌지역의 대다수 집단농장은 자연촌락과 일치되게 구성되었으며, 그 결과 '향촌주의의 부활'로 귀결되었다.
공산당 정책이나 지방간부의 정책실행의 창조물, 즉 농촌인민공사는 대단한 성공작이라고 할 수 가 없다. 인민공사가 직면했던 많은 심각한 난제들이 강요에 의해 조직된 괴물 같은 거대한 형체에서 비롯된 것이며, 특히 새롭게 형성된 조직단위를 농촌교역에 의한 자연적 사회경제체제와 일치시키는 데 실패함으로써 야기되었다는 것이다. 인민공사의 기본적인 특색은 중앙집권적인 노동분배체제였는데, 집중화된 노동분배로 인하여 생산대가 구성원에게 그가 태어나서 살고 있는 촌락의 인근지역뿐만 아니라 능률적인 규모를 가진 공동체의 경계마저도 벗어나서 일을 분배하였다. 두어곳의 인민공사가 비록 성공적인 조직체였을지라도 두 가지 지방분권주의의 힘, 즉 촌락과 기층시장 사회의 힘에 의해 그 운영이 방해받고 있었음을 뜻한다. 1960~1961년 겨울에 이르러 공산당 입안자나 간부들은 모두 자연적 사회체제의 지속성이 얼마나 중요한가에 관심을 새롭게 갖게 되었고, 전통적인 유대를 그들의 조직말단에 이용하는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다.
시장체제와 인민공사를 일치시키려는 노력에 있어서 현재의 불완전성은 원칙의 문제도 아니며, 또한 계획적인 정책의 결과도 아닌 듯하다. 최근의 정설은 집체화의 단위를 자연적 체제와 확실히 결부시키기고 있다. 1963년 인민공사를 두루 방문했던 영국의 한 경제학자는 "생산대와 생산대대 및 인민공사체제가 고대에 뿌리를 둔 농촌생활에서 이식되었음"을 주장한다. 이와 같이 공산당은 시장에서와 마찬가지로 집체화에서도 기존의 전통적 구조를 수용하고, 그들의 완만한 힘에 의거하여 사회주의 사회의 건설을 향해 진력할 것을 강요하였다. 그 결과, 만약 중국의 전통적 촌락이 생산대대 안에서 비교적 원래의 모습대로 근대적 사회로 이입된다면, 기층시장 사회는 보다 더 복잡한 성격을 계속 띠게 될 것이다. 왜냐하면 저자가 저서에서 주장한 바와 같이 전통적 시장사회는 농촌의 구조적 변화를 위해 공산당이 선택한 도구를 구체화한 것이기는 하지만, 그 구조적 변화가 필연적으로 그리고 철저히 시장사회를 새로운 모습으로 바꾸어 나갈 것이기 때문이다.
현대의 중국의 시장은 지금 체제이행의 과도기적 성격 때문에 중국의 내수시장은 밖으로는 열려 있지만, 안으로는 폐쇄된 시장이라고 볼 수 있다. 중국시장은 12억 이상의 인구와 거대한 국토에도 불구하고 대량생산·대량판매의 이점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는 지역적으로 불균형적인 개방개혁정책, 낙후된 수송·통신시설, 지방분권주의 등에서 비롯됐다고 본다. 중국전통시장을 읽으면서 느낀바에 의하면 예전의 대약진운동과 같은 완전하고 급진적인 계획, 농업경제가 실질적으로 근대화되었을 때에 한해서, 농민이 진정한 사회주의적 '의식'을 획득하였을 때에 한해서, 그리고 그들이 사회주의적 보편성을 위해서 전통적인 지역주의를 떨쳐버릴 수 있을 때에 한해서만 이 모든 것을 전개해 나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예전의 대약진 운동과 마찬가지로 지금의 개방·개혁 정책들 역시 이것을 교훈삼아 바탕으로 성공을 거둔다면 중국은 거대한 시장과 엄청난 노동력, 잠재적 기술수준을 무기로 주요 공산품의 세계적 생산기로, 21세기 주인공의 나라로 자리매김할 것 같다.
공산당 정책이나 지방간부의 정책실행의 창조물, 즉 농촌인민공사는 대단한 성공작이라고 할 수 가 없다. 인민공사가 직면했던 많은 심각한 난제들이 강요에 의해 조직된 괴물 같은 거대한 형체에서 비롯된 것이며, 특히 새롭게 형성된 조직단위를 농촌교역에 의한 자연적 사회경제체제와 일치시키는 데 실패함으로써 야기되었다는 것이다. 인민공사의 기본적인 특색은 중앙집권적인 노동분배체제였는데, 집중화된 노동분배로 인하여 생산대가 구성원에게 그가 태어나서 살고 있는 촌락의 인근지역뿐만 아니라 능률적인 규모를 가진 공동체의 경계마저도 벗어나서 일을 분배하였다. 두어곳의 인민공사가 비록 성공적인 조직체였을지라도 두 가지 지방분권주의의 힘, 즉 촌락과 기층시장 사회의 힘에 의해 그 운영이 방해받고 있었음을 뜻한다. 1960~1961년 겨울에 이르러 공산당 입안자나 간부들은 모두 자연적 사회체제의 지속성이 얼마나 중요한가에 관심을 새롭게 갖게 되었고, 전통적인 유대를 그들의 조직말단에 이용하는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다.
시장체제와 인민공사를 일치시키려는 노력에 있어서 현재의 불완전성은 원칙의 문제도 아니며, 또한 계획적인 정책의 결과도 아닌 듯하다. 최근의 정설은 집체화의 단위를 자연적 체제와 확실히 결부시키기고 있다. 1963년 인민공사를 두루 방문했던 영국의 한 경제학자는 "생산대와 생산대대 및 인민공사체제가 고대에 뿌리를 둔 농촌생활에서 이식되었음"을 주장한다. 이와 같이 공산당은 시장에서와 마찬가지로 집체화에서도 기존의 전통적 구조를 수용하고, 그들의 완만한 힘에 의거하여 사회주의 사회의 건설을 향해 진력할 것을 강요하였다. 그 결과, 만약 중국의 전통적 촌락이 생산대대 안에서 비교적 원래의 모습대로 근대적 사회로 이입된다면, 기층시장 사회는 보다 더 복잡한 성격을 계속 띠게 될 것이다. 왜냐하면 저자가 저서에서 주장한 바와 같이 전통적 시장사회는 농촌의 구조적 변화를 위해 공산당이 선택한 도구를 구체화한 것이기는 하지만, 그 구조적 변화가 필연적으로 그리고 철저히 시장사회를 새로운 모습으로 바꾸어 나갈 것이기 때문이다.
현대의 중국의 시장은 지금 체제이행의 과도기적 성격 때문에 중국의 내수시장은 밖으로는 열려 있지만, 안으로는 폐쇄된 시장이라고 볼 수 있다. 중국시장은 12억 이상의 인구와 거대한 국토에도 불구하고 대량생산·대량판매의 이점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는 지역적으로 불균형적인 개방개혁정책, 낙후된 수송·통신시설, 지방분권주의 등에서 비롯됐다고 본다. 중국전통시장을 읽으면서 느낀바에 의하면 예전의 대약진운동과 같은 완전하고 급진적인 계획, 농업경제가 실질적으로 근대화되었을 때에 한해서, 농민이 진정한 사회주의적 '의식'을 획득하였을 때에 한해서, 그리고 그들이 사회주의적 보편성을 위해서 전통적인 지역주의를 떨쳐버릴 수 있을 때에 한해서만 이 모든 것을 전개해 나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예전의 대약진 운동과 마찬가지로 지금의 개방·개혁 정책들 역시 이것을 교훈삼아 바탕으로 성공을 거둔다면 중국은 거대한 시장과 엄청난 노동력, 잠재적 기술수준을 무기로 주요 공산품의 세계적 생산기로, 21세기 주인공의 나라로 자리매김할 것 같다.
추천자료
[동양사상][중국 전통사상][인도 전통사상][일본 전통사상][한국 전통사상][사상]동양사상과 ...
[중국요리][중국음식][중국][요리][음식]중국요리(중국음식)의 특징 고찰(중국요리(중국음식)...
[의복][전통의복][한국 전통의복][중국 전통의복][일본 전통의복][의복문화][패션][의류]의복...
[중국][토루][치파오][경극][전통술][차문화][중국요리][식인문화]중국의 전통가옥 토루와 전...
[중국][중국의 문화][중국문화][음주문화][차문화][경극][중국전통][중국전통문화]중국의 의...
[중국 주거문화][한국 전통주거][북한 주거현황][로마 주거형태][홍콩 공공주거][프랑스 주거...
[그네뛰기]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그네뛰기의 유래, 명칭,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그네뛰...
[전통의상] 네덜란드의 전통의상, 중국의 전통의상, 한국의 전통의상, 세계의 전통 혼례복.pptx
중국문화의 시스템론적 해석 - 중국 전통과학은 왜 근대과학으로 발전하지 못하였는가
중국문화의 시스템론적 해석 중 ‘중국 전통과학은 왜 근대과학으로 발전하지 못하였는가’
중국 문화의 시스템론적 해석 中- 중국 전통과학은 왜 근대과학으로 발전하지 못하였는가
[독후감] 20세기 중국사(제국의 몰락에서 강대국의 탄생까지)를 읽고
중국문화의 이해 - 중국의 전통 놀이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