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목의 행정철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절 허목의 생애와 시대적 상황

제2절 허목의 정의론과 합리론

본문내용

따라서 목적적 행동은 수단과 목적의 관점에서 의식적인 사고를 전제로 한 어떤 행동으로부터 연유한 것으로 기대되는 목적달성에 집중된다. 가치 합리적 행동은 어떤 행동 고유의 정당성이나 본질적 가치에 관한 의식적 신념을 전제로 어떤 행동의 것이라 사려되는 가치의 구현에 중립되는 것을 말한다.(Brubaker,1984:63)
이런 관점에서 목적 합리성은 형식적 합리성 및 실용적 합리성과 구별하기가 용이치 않고 가치 합리성은 실질적 합리성과 구별하기가 어렵다. 가치 합리적 행동은 특수한 행동양식의 본질적 가치에 대한 행위자의 주관적 신념과 그 신념에 의하여 행동하려는 의식적 노력으로 정의된다. 결국 목적 합리적 행동과 가치 합리적 행동은 오직 행위자의 주관적 관점에서만 합리적이다. 베버가 주장하는 ‘객관적으로 바른 합리적’은 과학지식에 따라 올바른 수단을 사용하는 행위와 순수한 주관적 합리성과는 분명히 구별되어야 한다(Weber,1981:154).
허목은 춘추학적 예론을 핵심으로 한 왕통중시의 합리론자였다. 따라서 그는 춘추학적 예론을 합리적 판단의 준거로 삼고 있다. 허목의 합리주의적 사고의 일면은 북벌론에서도 엿볼 수 있다. 북벌에 대한 만전한 준비와 대응책이 없는 상태에서는 아무리 조정 중신의 중론이고 대의라 할지라도 북벌은 신중해야 한다는 합리적 입장을 취했다. 이와 같은 허목의 논리는 합리성을 지니고 있으며 당시의 폐단과 사회개혁의 당위성과 이념적 사조에 의해 배태케 될 갈등을 미연에 방지코자 하는 합리론적 입장의 현실적 접근방법이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허목은 <춘추>의 내용의 핵심은 대일통사상이며 <춘추>는 예의의 대종이라고 접근하는 것이 그의 합리론의 논거였다.
또한 당시 논란의 대상으로 송시열과 격론을 벌렸던 기해예송으로 불리는 예송(禮訟)에서 제기된 문제의 쟁점은 송시열의 주장과 사뭇 다르다. <춘추>의 대일통사상을 견지하는 허목의 입장은 왕통을 중시하는 그 나름의 합리주의적 사고에 기인한다. 어차피 군주국가체제 하에서는 군주는 절대권력자이며 실질적인 권위의 그 자체이기 때문에 왕가의 으뜸이므로 왕이 맏아들인가 둘째 아들인가의 분별은 현실적으로 무의미한다는 견해이다. 춘추의 대일통사상을 확립하여 왕통을 견고히 해서 국정운영을 하면 나라의 안정과 법질서가 도모할 수 있다는 것이 허목의 기본적 사고의 발상이다. 이같이 허목의 사상은 합리적 의사결정을 기초로 한 행정철학 요소가 돋보이는 대목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2.11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82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