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역사적 배경
2. 동양평화론
3. 동북아 공동안보체제 구상
4. 동북아 경제협력 구상
5. 동양평화론의 의의
6. 지역통합이론
7. 동아시아 지역통합의 현실
8. 현실주의적 설명
9. 기능주의적 설명
10. 동아시아 지역통합의 동향
11. 동아시아 지역통합의 전망
12. FTA 상대국 분류와 전략
13. 우리나라의 대응전략
2. 동양평화론
3. 동북아 공동안보체제 구상
4. 동북아 경제협력 구상
5. 동양평화론의 의의
6. 지역통합이론
7. 동아시아 지역통합의 현실
8. 현실주의적 설명
9. 기능주의적 설명
10. 동아시아 지역통합의 동향
11. 동아시아 지역통합의 전망
12. FTA 상대국 분류와 전략
13. 우리나라의 대응전략
본문내용
럽과 북미 지역에 비해 수급 구조에 의해 평균 배럴당 1달러 이상 높은 단가로 에너지를 수입하고 있음.) -남북 에너지 협력 ;남북 에너지 협력으로 안정화된 동아시아는 현실주의적 지역주의의 전제인 동북아 공동 안보가 보장되므로 지역주의의 발전에 기여. -시베리아 횡단 원유 파이프라인, 석유 공동 비축 및 긴급 융통 시스템.
(3) 금융산업 선진화 ;전 세계 GDP대비 비중은 2000년 21%에서 2020년 30%로 증가할 전망. 이러한 막대한 금융수요를 활용함으로써 경제적 이익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 제조업의 경쟁력이 약화되는 것을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함과 금융업 자체의 성장 그리고 금융업의 성장으로 연계 성장 할 수 있는 비즈니스 서비스업 등의 성장을 위하여. 우리나라의 비중은 3.6%(2000년)으로 일본 7.3%, 미국 9.7%, 프랑스 12.7%에 비하여 크게 낮다.
* 참고서적
[동북아 시대의 한국 경제 발전 전략] 이일영. 한신대학교 출판부.
[동아시아 지역통합과 한국의 선택] 최영종. 아연출판부.
[동아시아와 유럽] 조홍식. 세종연구소.
[21세기 동아시아 협력] 미래인력연구센터. 넥서스.
[한겨레 21- 안중근의 동북아 평화론]
(3) 금융산업 선진화 ;전 세계 GDP대비 비중은 2000년 21%에서 2020년 30%로 증가할 전망. 이러한 막대한 금융수요를 활용함으로써 경제적 이익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 제조업의 경쟁력이 약화되는 것을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함과 금융업 자체의 성장 그리고 금융업의 성장으로 연계 성장 할 수 있는 비즈니스 서비스업 등의 성장을 위하여. 우리나라의 비중은 3.6%(2000년)으로 일본 7.3%, 미국 9.7%, 프랑스 12.7%에 비하여 크게 낮다.
* 참고서적
[동북아 시대의 한국 경제 발전 전략] 이일영. 한신대학교 출판부.
[동아시아 지역통합과 한국의 선택] 최영종. 아연출판부.
[동아시아와 유럽] 조홍식. 세종연구소.
[21세기 동아시아 협력] 미래인력연구센터. 넥서스.
[한겨레 21- 안중근의 동북아 평화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