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소외 개념의 변천과 마르크스의 소외 개념
Ⅲ. 마르크스의 인간관
Ⅳ. 마르크스의 소외론
Ⅴ. 마르크스 소외론의 비판과 의의
Ⅵ. 맺음말
Ⅱ. 소외 개념의 변천과 마르크스의 소외 개념
Ⅲ. 마르크스의 인간관
Ⅳ. 마르크스의 소외론
Ⅴ. 마르크스 소외론의 비판과 의의
Ⅵ. 맺음말
본문내용
성을 띠고 있던 시기였기 때문에 그의 이러한 용기는 더욱 빛나는 것으로 평가된다.
셋째는 이 소외론이 오늘날에 우리에게 주는 의미이다. 오늘날의 선진 자본주의사회에서도 인간소외는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마르크스 시대의 소외와는 다르다. 마르크스의 소외론은 서구 초기 자본주의사회에서의 노동자에 대한 비인도적 상황에서 전개된 이론이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생산ㆍ분배ㆍ소유에 있어서 노동자의 위치는 현저히 향상되었고 비인간적 노동조건은 상당히 개선되었다. 현대 산업사회에서의 인간소외는 가난에서 오는 소외가 아니라 오히려 풍요로 인해 야기되는 정신적 소외가 더욱 심각하다. 획일화되고 대중화된 현대사회에서 대두되는 인간상실의 위기감은 사물(생산물)로부터의 소외, 유적 존재로부터의 소외라기보다 인간 실존의 위기이다.
공산주의국가가 몰락하고 마르크스주의 이론이 정치적 문맥에서 위험성이 제거되어 가고 있는 이 시점에서, 그의 소외론에 대한 과학적 분석과 비판을 통해 참고할 요소는 지혜롭게 참고하고 버려야 할 요소는 과감히 버린다면 오늘날의 소외 문제에 대한 그 시사점을 우리에게 제시해 줄 것이다.
Ⅵ. 맺음말
이상으로 우리는 소외 개념의 변천과 마르크스의 소외 개념을 살펴보았고, 마르크스의 인간관과, 그것에 바탕을 둔 자본주의 경제 질서 아래에서 발생하는 인간소외라는 그의 문제제기를 분석적으로 확인하여 보았다. 그리고 그것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과 의의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위에서 알아본 마르크스의 인간 소외에 관한 이론은 그의 초기 저작 『경제ㆍ철학 手稿』
(1844)에 집중적으로 다루어졌다. 이것은 마르크스 사회과학의 이론에 있어서 서론, 특히 그 가운데서도 문제제기와 그 문제에 대한 처방적 가정 설정에 해당한다. 그러나 그의 소외사상이 담겨 있는 이 저작은 그의 생존 당시에는 출간이 되지 못하고 그의 사후 39년 뒤에 처음으로 출간되었다. 이때에는 스탈린 치하 소련에서 소외 정통 마르크시즘으로 알려지고 있던 마르크스ㆍ레닌주의(Marxism-Leninism) 이론 체계가 이미 정립된 후이다. 마르크스ㆍ레닌주의의 이론 체계는 이 인간소외 이론이 결여되어 있었고 마르크스 이론에 진정한 이해가 부족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정치적 맥락속에서 위험성이 사라져가고 있는 지금 마르크스이 인간 소외론에 대한 비판적 이해는 오늘날의 소외 문제에 대해 많은 해결책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崔相株, 「Marx의 人間疎外論과 私有財産制廢止說批判」, 『論文集:창원전문대학』1, 昌原專門大學, 1982
安亨寬, 「마르크스의 疎外論과 그 批判」, 『國民倫理硏究』17, 國民倫理敎育硏究會, 1984
이성영, 「Marx의 인간소외론 및 그 비판」, 『文理大論集:曉星女子大學校 文理大學 學徒護國團』5, 曉星女子大學校 文理大學 學徒護國團, 1985
이홍균, 「현대사회에서 맑스 소외론의 의미」, 『경제와 사회』29, 이론과 실천, 1996
이태건, 「마르크스 인간소외 이론의 재음미」, 『人文硏究』29, 仁荷大學校 人文學硏究所, 1999
셋째는 이 소외론이 오늘날에 우리에게 주는 의미이다. 오늘날의 선진 자본주의사회에서도 인간소외는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마르크스 시대의 소외와는 다르다. 마르크스의 소외론은 서구 초기 자본주의사회에서의 노동자에 대한 비인도적 상황에서 전개된 이론이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생산ㆍ분배ㆍ소유에 있어서 노동자의 위치는 현저히 향상되었고 비인간적 노동조건은 상당히 개선되었다. 현대 산업사회에서의 인간소외는 가난에서 오는 소외가 아니라 오히려 풍요로 인해 야기되는 정신적 소외가 더욱 심각하다. 획일화되고 대중화된 현대사회에서 대두되는 인간상실의 위기감은 사물(생산물)로부터의 소외, 유적 존재로부터의 소외라기보다 인간 실존의 위기이다.
공산주의국가가 몰락하고 마르크스주의 이론이 정치적 문맥에서 위험성이 제거되어 가고 있는 이 시점에서, 그의 소외론에 대한 과학적 분석과 비판을 통해 참고할 요소는 지혜롭게 참고하고 버려야 할 요소는 과감히 버린다면 오늘날의 소외 문제에 대한 그 시사점을 우리에게 제시해 줄 것이다.
Ⅵ. 맺음말
이상으로 우리는 소외 개념의 변천과 마르크스의 소외 개념을 살펴보았고, 마르크스의 인간관과, 그것에 바탕을 둔 자본주의 경제 질서 아래에서 발생하는 인간소외라는 그의 문제제기를 분석적으로 확인하여 보았다. 그리고 그것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과 의의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위에서 알아본 마르크스의 인간 소외에 관한 이론은 그의 초기 저작 『경제ㆍ철학 手稿』
(1844)에 집중적으로 다루어졌다. 이것은 마르크스 사회과학의 이론에 있어서 서론, 특히 그 가운데서도 문제제기와 그 문제에 대한 처방적 가정 설정에 해당한다. 그러나 그의 소외사상이 담겨 있는 이 저작은 그의 생존 당시에는 출간이 되지 못하고 그의 사후 39년 뒤에 처음으로 출간되었다. 이때에는 스탈린 치하 소련에서 소외 정통 마르크시즘으로 알려지고 있던 마르크스ㆍ레닌주의(Marxism-Leninism) 이론 체계가 이미 정립된 후이다. 마르크스ㆍ레닌주의의 이론 체계는 이 인간소외 이론이 결여되어 있었고 마르크스 이론에 진정한 이해가 부족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정치적 맥락속에서 위험성이 사라져가고 있는 지금 마르크스이 인간 소외론에 대한 비판적 이해는 오늘날의 소외 문제에 대해 많은 해결책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崔相株, 「Marx의 人間疎外論과 私有財産制廢止說批判」, 『論文集:창원전문대학』1, 昌原專門大學, 1982
安亨寬, 「마르크스의 疎外論과 그 批判」, 『國民倫理硏究』17, 國民倫理敎育硏究會, 1984
이성영, 「Marx의 인간소외론 및 그 비판」, 『文理大論集:曉星女子大學校 文理大學 學徒護國團』5, 曉星女子大學校 文理大學 學徒護國團, 1985
이홍균, 「현대사회에서 맑스 소외론의 의미」, 『경제와 사회』29, 이론과 실천, 1996
이태건, 「마르크스 인간소외 이론의 재음미」, 『人文硏究』29, 仁荷大學校 人文學硏究所, 1999
추천자료
나의 인간관과 철학관
교육철학- 인간관의 변천
신화적 인간관과 교육.PPT자료
불교의 인간관
로저스의 인간관
분석심리이론과 개인심리이론,분석심리이론,개인심리이론,심리이론,분석심리와인간과,개인심...
란트만의_철학적_인간관
상담의 주요 이론 중 정신분석학, 개인심리학, 인간중심상담의 인간관, 상담의 목표 및 상담...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정신역동이론의 이해(아들러와 융) - 아들러의 개인 심리학적 성격이...
로저스(Carl Ranson Rogers)의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인간관, 상담의 철학적 가정, 상담목표 ...
르네상스 와 인문주의 교육,종교개혁과 교육,르네상스 운동,고대 그리스 문화 부흥,르네상스...
자원복지의 인간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