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무에 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승무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승무의 유래

3. 승무의 전승

4. 승무의 특징

본문내용

정순(沈正淳)에서 심화영(沈嬅英)으로 이어져온 승무가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7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한성준의 문하생이기도 했던 정경파(鄭京波)의 승무가 살풀이춤과 함께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어 있다. 승무의 아름다움은 정면을 등지고 양팔을 서서히 무겁게 올릴 때 생기는 유연한 능선 및 긴
장삼
을 얼기설기하여 공간으로 뿌리치는 춤사위와 하늘을 향하여 길게 솟구치는
장삼
자락 등이 볼 만하다. 그리고 비스듬히 내딛는 보법(步法)이며 미끄러지는 듯 내딛다가 날 듯하는 세련미는 거추장스런 긴
장삼
을 더 할 수 없이 가볍게 만들어준다. 또한
자진모리
와 당악(堂樂) 장단에 맞추어 시작하는 북의 연타는 주술적(呪術的) 힘을 발하여 관객을 몰아지경(沒我之境)으로 이끈다. 이 북소리가 멎으면 다시 긴 장삼이 허공에 뿌려지고 연풍대(筵風臺)가 있은 후 어깨춤에 사뿐한 걸음이 곁들여지고 합장하면서 춤은 끝난다.
승무에 사용되는 음악은 춤반주 음악으로 대표되는 염불장단, 타령장단, 굿거리장단, 당악장단으로 이루어지며, 악기는 피리 2, 젓대 1, 해금 1, 장고 1, 북 1 등의 삼현육각으로 이루어진다. 승무를 반주하는 악기는
삼현육각
(三絃六角), 즉 피리 2, 대금 1, 해금 1, 장구 1, 북 1의 편성이며, 악곡은 염불 타령 자진모리 굿거리 당악 등이다. 승무(僧舞, 중요무형문화재 제27호)는 흔히 중춤이라고 하지만, 불교의식에서 승려가 추는 춤과는 다른 춤이다. 불교의식에서 승려가 추는 춤으로는 법고(法鼓)춤, 바라춤, 나비춤 등이 있는데, 이를 작법(作法) 또는 법무(法舞)라 일컫는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5.11
  • 저작시기2010.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87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