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의 미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배터리의 미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 론

II. 본 론
1. 차세대 배터리의 필요성
1. 리튬이온 배터리의 원리 및 상용화 한계
2. 차세대 배터리의 종류와 원리 및 특징
1) 리튬-황 전지
2) 리튬-공기 전지
3) 전고체 배터리
3. 환경 측면에서 대체 배터리의 영향 및 평가
4. 2차 전지 시장 전망 및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산업의 변화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운 신산업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이처럼 이차전지 산업은 생산뿐만 아니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들이 생겨나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 주요 활용분야
[이차전지 종류별 활용 분야]
대부분 차세대 이차전지의 시장형성 시기는 2030년으로 전망된다. 차세대 이차전지의 용도로는 휴대폰, 노트북, IC카드 등 현재 리튬이온전지가 점유한 휴대용 전자기기 시장과 차세대 자동차를 중심으로 하는 전기이동수단, 그리고 중대형의 주택 축전지용, 스마트 그리드 또는 전력시장등 다양한 방면으로 기존 이차전지 시장을 대체할 것이다. 무엇보다 개발이 완료되는 2020~2025년 전기자동차와 ESS등으로 새로운 시장 수요가 발생할 것이다.
전고체 이차전지의 시작이었던 박막형 전고체 이차전지의 경우 이미 시장이 형성된 상태이다. 1982년 일본 Hitachi에서 시작되었고 이후 NTT 등 일본 회사와 Ever ready Battery Co.와 Bellcore Co. 등의 미국회사에서도 1980년대에 개발되었다. 실질적 전고체 이차전지가 주목받게 된 것은 미국 ORNL에서 LiPON을 전해질로 사용한 박막 이차전지가 개발되면서부터이며 박막형 전지는 IC 카드, IC Tag, 무선 센서 웨이퍼, 능동형RFID 태그, 온보드파워, 스마트 카드의 전원, 에너지 하베스팅 전원등에 활용 될 것이다.
Ⅲ. 결 론
에너지 저장을 위한 차세대 배터리 개발은 지속 가능하고 효율적인 에너지 미래를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이다. 배터리 기술의 현재 상태는 전고체 배터리 개발 및 리튬-황 및 리튬-공기와 같은 신소재 사용과 같은 유망한 발전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발전은 에너지를 저장하고 사용하는 방식을 혁신하여 전기 자동차, 그리드 수준 에너지 저장 및 전력 시장등 광범위한 채택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그러나 안전 문제, 비용 및 확장성과 같은 문제는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 미래의 연구 개발 노력은 차세대 배터리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동시에 비용과 환경 영향을 줄이는 데 집중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기술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개선하고 보다 지속 가능하고 효율적인 새로운 제조 및 재활용 프로세스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겠다. 이번 탐구를 통해 배터리 기술 혁신이 에너지 문제 해결과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또한 버려지는 에너지가 없도록 에너지저장시스템(ESS)과 ICT를 기반으로 한 전력 공급의 최적화 방안인 스마트 그리드 기술에 대해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되었다.
Ⅳ. 참고문헌
[1] POSCO NEWSROOM, “[궁금한 THE 이야기] ① 2차전지의 필수품 ‘리튬\', 왜 중요할까?\", 2022.08.24.,https://newsroom.posco.com/kr/2%EC%B0%A8%EC%A0%84%EC%A7%80%EC%9D%98-%ED%95%84%EC%88%98%ED%92%88-%EB%A6%AC%ED%8A%AC-%EC%99%9C-%EC%A4%91%EC%9A%94%ED%95%A0%EA%B9%8C/
[2] 조승한, “차세대 2차전지 이론 용량 92%까지 따라잡았다”, 동아사이언스, 2019.1.30.,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26585
[3] 조승한, “리튬이온배터리 대체할 나트륨-반고체 배터리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2021.12.06.,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50851
[4] 김보민, “친환경 전기차의 딜레마...\"배터리 생산·폐기 과정서 환경오염 유발\"”, NewsQuest, 2021.03.04.,https://www.newsque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822233)
[5]POSTECH, “신소재 강병우 교수팀, “꿈의 전지”산화물 전고체전지, ‘리시콘(LiSICON)’구조로 해법 찾는다”, 2022.11.23.,
https://www.postech.ac.kr/%EC%8B%A0%EC%86%8C%EC%9E%AC-%EA%B0%95%EB%B3%91%EC%9A%B0-%EA%B5%90%EC%88%98%ED%8C%80-%EA%BF%88%EC%9D%98-%EC%A0%84%EC%A7%80-%EC%82%B0%ED%99%94%EB%AC%BC-%EC%A0%84%EA%B3%A0%EC%B2%B4/
[6] 최정덕, 하일곤, 개발 경쟁 가속되는 차세대 2차전지, LG경영연구원, 2017-01-16.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5.05.14
  • 저작시기202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915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