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및 국외 비료현황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내 및 국외 비료현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화 학 비 료
Ⅰ. 국내 시장동향(1998-2000)
1. 생산능력(메이커별)
2. 생 산
3. 수출 및 수입
4. 수요현황
5. 수요전망
6. 가격동향
7. 농업용 비료 시장 규모
Ⅱ. 세계 시장동향
1. 세계 비료 사용량
2. 세계 질소질 비료 현황
2-1. 질소질 비료 수요 전망
2-2. 요소 교역의 현황 및 전망
2-3. 요소 현황
3. 세계 인산질 비료 현황
4. 세계 가리질 비료 현황
5. 동북아시아 비료시장 현황
1) 일본의 비료 현황
2) 중국의 비료현황
3) 동남아시아 시장

본문내용

소 생산량은 1998년의 442,000톤으로부터 1999년에는 634,000톤으로 늘어났다.
- 필리핀의 비료 현황
필리핀은 많은 종류의 비료를 소비하는데 그 중에서도 요소와 황산암모늄 등 순수 질소질 비료가 주종을 이룬다. 한편 16-20-0 및 DAP가 인산의 지배적인 품목이다.
가리는 주로 염화가리를 사용한다. 비료의 완전한 등급은 14-14-14가 지배하고 있다.
· 소 비
국내 판매에서 반영된바와 같이 비료 판매량은 엘리뇨 현상과 라리나 기후 현상으로 인하여 1997년의 831,000톤으로부터 1998년에는 628,000톤으로 하락하였다가, 1999년에는 회복되기 시작하였다.
· 생 산
국내 생산은 인광석, 무수암모니아, 황산, 기타 완제품의 비료제품에 주로 의존하기 때문에 이 나라의 비료 생산은 1997년의 518,000톤으로부터 1999년에는 446,000톤으로 하락하였는데 이는 년간 14%의 하락율이다.
· 수입량
1999년에 비료 수입량은 546,000톤이었는데 이는 1997년도의 수입량과 동일한 수준이었다. 비료 수입은 수요부족으로 인하여 1998년에 330,000톤으로 삭감되었다.
· 수출량
그러나 비료 수출량은 1997년의 199,000톤에서 1999년에는 80,000톤으로 계속 하락하였는데 이는 년간 60%의 하락을 뜻하는 것이다.
필리핀의 비료 수급 현황(1997-1999년)
(단위 : 천성분톤)
구 분
1997
1998
1999
%
생 산
질소질
213
204
186
-12.6
인산질
217
193
181
-16.8
가리질
88
92
79
-10.3

518
489
446
-14.0
수 입
질소질
370
294
382
3.4
인산질
39
15
51
31.5
가리질
137
22
112
-17.8

545
330
546
0.1
수 출
질소질
74
72
33
-55.4
인산질
95
76
35
-63.2
가리질
29
31
12
-58.5

199
178
80
-59.6
판 매
질소질
570
408
481
-15.7
인산질
148
121
143
-3.7
가리질
112
98
121
7.5

831
628
744
-10.4
다음과 같은 이유로 필리핀의 비료 수요는 계속 증가될 것이다.
1. 농민들의 비료 평균 사용량은 아직도 권장비율에 훨씬 못 미친다.
2. 경지면적의 증가
3. 고 수확 식량작물 재배면적의 확장
4. 산업작물과 원예작물의 발전
- 태국의 비료 현황
태국은 소비에 필요한 비료를 수입하고 있는데, 복합비료는 비료 소비 중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태국의 비료 소비량(1997-1998년)
(단위 : 천성분톤)
구 분
1997
1998
질 소 질
784
905
인 산 질
423
455
가 리 질
274
277

1,481
1,637
- 베트남의 비료 현황
베트남의 비료 소비량(1997-1998년)
(단위 : 천성분톤)
구 분
1997
1998
질 소 질
1,039
1,300
인 산 질
337
378
가 리 질
185
270

1,561
1,948
베트남의 농업에 필요한 추정 비료 소비량(2000-2010년)
(단위 : 천성분톤)
구 분
2000
2010
질 소 질
1,271
1,627
인 산 질
728
892
가 리 질
534
669
베트남의 비료 수입량(1997-1999년)
(단위 : 천성분톤)
구 분
1997
1998
1999
요 소
1,448
1,950
1,650
황산암모늄
128
343
310
복합비료
319
461
0
D A P
268
346
400
염화가리
296
336
360

2,458
3,354
2,720
베트남은 농업에 바탕을 둔 경제를 가지고 있으며 인구의 77%가 농업활동으로부터 소득을 올리고 있다. 총 경작면적은 약 12Mha인데 그 중에서 8.5Mha는 식량작물을 재배하고 있다. 지난 10년 동안 농업 생산은 크게 늘어나서 이 나라는 식량부족국가에서 쌀, 커피, 고추의 중요한 수출국으로 전환되었다.
2000년에 40년래 최악의 것으로 묘사된 홍수가 이 나라의 큰 쌀 생산지역인 메콩델타 지역의 수개성 쌀 재배지 0.3Mha 이상에 영향을 미쳤다. 이 홍수는 쌀의 생산량과 질에 모두 영향을 미쳤다.
2000년 쌀 생산량은 지난해 수준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된다. 가을에 이 나라는 계속 폭우와 홍수에 직면하였는데 이때문에 비료배송이 지장을 받았고 시비가 늦어졌다. 비료 판매는 가을에 부진한 것으로 보도되었으며 재고가 쌓이고 항구의 적체를 가져왔다. 2000년 기간중 비료 수입량은 상당한 증가를 보였는데 대부분이 DAP와 요소이었다.
1998년 이후 정부는 수입 요소에 3%의 관세를 부과하였다. 1999년에 복합비료 수입은 금지되었다. 그러나 2000년 4월이후 복합비료 수입이 허용되었지만 5%의 수입관세를 조건으로 한 것이다.
베트남에서 년간 총 비료수요는 약 2.4Mt인데 질소질 1.3Mt, 인산질 0.6Mt, 가리질 0.4Mt이다. 많은 종류의 비료가 사용되고 있지만(요소, 복합비료, 황산암모늄, DAP, 과석, 염화가리) 요소와 복합비료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베트남의 비료 소비 현황
(단위 : 천성분톤)
구 분
1997
1998
1999
질소질
황산암모늄
요 소
DAP중 질소질
복합비료중 질소질
인산질
과석 및 용성인비
DAP중 인산질
복합비료중 인산질
가리질
염화가리
복합비료중 가리질
938
27
726
66
119
422
134
169
119
208
178
30
1,218
72
926
66
154
465
143
168
154
238
201
37
1,320
84
893
98
245
642
146
251
245
371
360
11
총 계
1,567
1,921
2,333
가까운 장래에 베트남에서 비료 소비는 경지면적의 증가(1990년에 9Mha에서 1998년에 11.6Mha) 집약영농 활동 및 작물의 다변화로 인하여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최대 쌀 생산국중의 하나로서 정부는 계속 농업부문 발전에 힘쓸 것이다.
아세안 국가들의 과거 성장과 농업잠재성을 고려해볼때 우리는 비료 수요가 앞으로 5년 동안 계속 증가 할 것으로 예상한다. 모든 종류의 비료 수요는 년간 2.2%의 비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4.12.18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92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