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의 최근 육성품종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쌀의 최근 육성품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 약간 있고 밥맛은 양질 자포니카품종보다는 떨어지나 다산벼와 비슷한 수준이다.
중부 및 남부평야지 9개소에서 ‘97~’99년 3개년간 실시한 지역적응 시험결과 10a당 평균 쌀 수량성이 741kg으로 다산벼보다 6% 증수되었다.
아름벼는 통일형 초다수성 품종으로 질소비료 과다시 도복 발생이 우려되므로 10a당 질소성분량 18kg 수준으로 적정 균형 시비해야 하며 탈립이 잘 되므로 적기 수확해야하며 냉수 용출답이나 이모작 재배는 피해야 한다.
아름벼(밀양160호)
▣ 적응지역
▶ 대전이남 평야지 1모작
▣ 주요특성
▶ 중생, 초다수성
▶ 도열병 및 흰잎마름병(K1) 저항성
▶ 줄무늬잎마름병 저항성
▶ 용도 : 가공용
▣ 교배조합
▶ YR3299-34-2-2 / 수원318호
▣ 생육특성
품종명
본답생육일수
(일)
수전일수
(일)
벼키
(cm)
이삭길이
(cm)
이삭수
(개)
입수
(개)
수량성
(지적보비)
아름벼
다산벼
122
118
9
6
84
72
22
23
13
12
142
130
741kg/10a
702
※ 출수기 : 8월14일
▣ 재배상 유의점
▶ 질소질비료의 과다시 병해충 및 도복발생이 우려되므로 적정균형시비
▶ 도열병에는 강한 편이나, 기타 병해충에는 약하므로 적기 기본방제
▶ 탈립이 잘 되므로 우박피해 상습지 재배를 피하고 적기수확
▶ 냉수용출답이나 2모작 및 만식재배는 피하는 것이 좋음
▣ 품종특성
▶ 잎은 농녹색이며, 길이와 너비가 중정도이고 직립형이며, 줄기굵기는 다산벼와 비슷하고 강도 및 분얼개도는 보통임
▶ 이삭의 착립밀도는 다산벼와 비슷하며 까락이 거의 없고, 탈립이 약간 잘 되며 부선과 영색은 황백색으로 숙색이 비교적 양호함
▶ 저온발아성은 다소 낮으나 초기 생육은 양호한 편임
▶ 다산벼에 비하여 등숙비율이 낮으나 정현비율은 비슷하며 현미천립중은 다산벼보다 가벼운 편임
▶ 제현율, 현백율, 도정율 및 백미완전립율은 다산벼보다 약간 높으며, 입형은 다산벼보다 둥근 편이고 심복백이 적으며, 밥맛은 다산벼보다 좋은 편임
▣ 생리장해 및 병해충 저항성
▶ 다산벼보다 불수출수가 많이 되는 편이고, 위조현상에 비교적 강하며, 엽노화가 느린 편임
▶ 내냉성 검정 결과 유묘냉해와 출수지연정도는 다산벼와 비슷하고, 임실율은 약간 낮아 냉해에 약한 편이며 수발아에 강한 편임
▶ 잎도열병에 강한 저항성이며, 흰잎마름병(K1)과 줄무늬잎마름병 및 오갈병에 저항성임
▶ 벼멸구에 대해 약하고, 애멸구에 대해서는 강한 저항성을 보였으며, 벼물바구미에는 다산벼와 비슷한 반응을 보였음
중생 가공용 향미 설향찰벼
설향찰벼는 작물시험장 수도육종 연구진이 개발한 가공용 품종으로 중생 향미 찰벼이며 중부평야지 1모작지에 적응 품종이다.
중부평야지의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출수기는 8월 6일로 화성벼보다 3일정도 빠른 중생종이며 간장은 89cm로 화성벼보다 큰 편이다. 포기당 이삭수는 화선찰벼보다 적으나 이삭당 벼알수가 많고 등숙비율이 높으며 현미천립중은 20.4g정도로 화선찰벼와 비슷하다.
노화묘 늦심기에서 불시출수는 잘 나타나지 않으며 위조에 강하고 성숙기 엽노화가 느린 편이며, 내냉성은 중정도로 화성벼보다 약하고 내수발아성은 중정도이나 내도복성은 중정도로 화성벼와 비슷하다.
잎도열병은 중정도의 저항성 반응을 보였으며 흰잎마름병 (K1균군)에 강하나 바이러스 병에는 약하며 벼멸구에도 약하다.
현미 입형은 화선찰벼보다 약간 짧은 중소립으로 쌀의 품위가 양호하고 구수한 향을 가진 향미 찰벼로 도정율은 화선찰벼와 비슷하나 백미완전립율이 높다.
중부평야지 5개소에서 ‘97~’99년 3개년간 실시한 지역적응 시험결과 10a당 평균 쌀 수량성이 523kg으로 화선찰벼와 비슷한 수량성을 보였다.
설향찰벼는 도복에 강한 편이 아니므로 적정 균형시비해야 하며 성숙 후기 은 강우시에는 수발아의 우려가 있으므로 적기 수확해야 한다
설향찰벼(수원442호)
▣ 적응지역
▶ 중부 평야지
▣ 주요특성
▶ 중생, 양질의 향미찰벼
▶ 도열병 중도저항성
▶ 흰잎마름병(K1) 저항성
▶ 숙색양호, 도정특성 양호
▶ 용도 : 가공용(식미증진용)
▣ 교배조합
▶ 미야가오리 / 2*수원357호
▣ 생육특성
품종명
본답생육일수
(일)
수전일수
(일)
벼키
(cm)
이삭길이
(cm)
이삭수
(개)
입수
(개)
수량성
(지적보비)
설향찰벼
화선찰벼
121
123
6
7
89
80
20
20
17
20
94
79
523kg/10a
517
※ 출수기 : 8월8일
▣ 재배상 유의점
▶ 도복에 강한 편이 아니므로 적정균형시비를 하여야 함
▶ 냉수용출답 재배시에는 출수지연 등의 냉해를 입을 우려가 있음
▶ 성숙후기 잦은 강우시에는 수발아의 우려가 있으므로 적기수확하여야 함
▣ 품종특성
▶ 잎은 녹색이며, 길이와 너비가 중정도이고 직립성이며 줄기는 화선찰벼와 비슷한 굵기로 강도와 분얼개도는 보통임
▶ 이삭의 착립밀도는 보통이고 추출이 양호하며 탈립이 잘 안되고 벼알은 까락이 약간 있으며 영색은 황색임
▶ 저온발아성은 양호하며 유묘냉해와 초기신장성은 화성벼와 같이 양호하고 적고현상은 없음
▶ 등숙비율과 정현비율은 화선찰벼보다 높은 편이고, 정조입형은 화선찰벼와 비슷한 중소립으로 쌀 품위가 우수하며, 구수한 향을 가지고 있음.
▶ 제현율 및 도정율은 화선찰벼와 비슷하나 백미완전립율은 화선찰벼보다 월등히 좋은 편임
▣ 생리장해 및 병해충 저항성
▶ 불수출수가 되지 않으며, 위조현상은 없고, 하엽노화가 늦은 편임
▶ 내냉성 검정결과 유묘적고는 화성벼보다 강하나 출수지연일수가 길고 임실율이 낮은 등 냉해에 약한 편임
▶ 잎도열병은 중도의 저항성이며, 흰잎마름병(K1)에 강하나 바이러스병에는 약함
▶ 멸구류에는 저항성이 없음
▣ 참고 자료
고흥군 농업 기술센터. http://goheung.jares.go.kr
ARS Magazine : 2001년 01월호
농촌진흥청. http://www.rda.go.kr/
농촌진흥청. 2001.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 결과.
농촌진흥청. 2000. 신품종개발 공동연구보고서.
농촌진흥청. 2001. 신품종개발 공동연구보고서.

키워드

,   육성,   품종,   최근,   추청,   농업,   식물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4.12.19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94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