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P 패널기술, 재료기술, 회로기술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패널기술 - PDP 효율저하 요인, 효율 개선 방안

2. 재료기술 - PDP 구조 및 제조공정, Cell 구조에 대한 재료 및 기능

3. 회로기술 - Contour Noise 발생 원인, 저감 방법

본문내용

g - Sustain 전극에 Pulse 전압을 인가하여 각 Cell의 발광상태가 안정화 될 때 까지 Gas 방전을 시킨다.
이러한 Sealing & Evacuation System은 다음과 그림과 같다.
7. Module Assembling Process
이 공정은 Gas가 주입된 Panel과 PDP 회로물의 연결로 최종 화상을 구동하기 위한 공정이다. 즉 여기서는 Module 조립을 위한 공정이 진행된다. 이 때 정확한 구동 전압의 설정이 필요하고, 환경에 따른 오방전의 발생이 없어야 하며 FPC를 이용한 Panel과 회로의 정확한 연결이 필요하다. 다음 그림은 Module Assembling Process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ACF는 Au를 Coating한 Ni의 Ball을 이용하여 만든 전도성 수지 Film으로 FPC와 Glass를 연결하는 재료로 사용된다. 또한 FPC는 Polymide를 이용하여 내부에 Pattern을 형성한 Film으로 이를 이용하여 회로와 Panel을 연결한다.
이상으로 PDP 구조 및 제조공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아래 그림은 위에서 설명한 전체 공정을 요약하여 하나의 Flow로 나타낸 그림이다.
3. 회로기술 :
- Contour Noise 발생 원인을 설명하고, Contour Noise를 저감하는 방법에 대하 여 기술하시오.
PDP 특히 AC 구동방식의 PDP는 화소의 방전 특성상 빛의 세기를 조절하기가 어려워 각 화소들이 일정한 빛을 내도록 만들고, 영상 데이터에 따라서 빛을 내는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화면의 휘도를 나타내는 Sub-Field 방식을 사용한다. 즉 하나의 Field를 Binary Weight에 비례하는 발광시간을 갖는 다수의 Sub-Field들의 합으로 나타내고, 영상 데이터 값에 따라서 각 Sub-Field 동안 발광을 유지하고나 발광을 멈춤으로써 휘도를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사람의 눈은 원래의 영상과는 다른 부분적인 노출이 많거나 부족함을 인지할 수가 있다. 즉 눈의 잔상효과 때문에 움직이는 화면이나 정지화면에서 사람 눈이 움직일 때 현재 표시되는 Sub-Field와 이전 Sub-Field가 겹쳐 보여 휘도가 왜곡되어 보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False Contour Noise라 한다. 이러한 현상은 다음과 같은 그림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특히 동영상의 경우 사람의 눈 뿐만 아니라 Image도 움직이므로, Still Picture 보다 관측자가 느끼는 False Contour Noise 현상이 크게 일어나게 된다. 다름 그림은 Picture가 3 Pixels/Frame의 속도로 움직일 때 관측자 망막에 누적되는 휘도의 양을 Still Picture일 때와 비교해 놓은 것이다.
이러한 현상으로 다음과 같은 False Contour Noise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False Contour Noise는 인접 계조간 Sub-Field의 스위칭 수가 많은 곳, 특히 최고 Sub-Field가 변경되는 곳에서 자주 발생하게 된다. 아래 표는 Flase Contour Noise의 주요 발생 위치를 표시한 것이다.
이러한 False Contour Noise는 HDTV급의 화질을 충족시키기 위한 요구에 대한 큰 제약으로 작용하므로, 화질 향상을 위해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렇다면 이러한 False Contour Noise를 저감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에 대해 살펴보자.
1. 고전적인 방법
일반적인 Sub-Field의 순서는 다음 그림과 같다. 이러한 Sub-Field의 순서를 재배치 함으로써 False Contour Noise를 줄이고자 하는 연구들이 초기에 수행되었다.
다음 그림은 이러한 Sub-Field 재배치 방법들을 나타낸 것이다.
첫 번째 방법은 128회 방전하는 Sub-Field를 64회 방전하는 Sub-Filed 앞에 배치함으로써 -127~+127 사이에서 발생하는 Contour Noise를 63~65 사이의 Contour Noise로 발생시키는 방법이다. 두 번째 방법은 상위비트의 분할 순서를 재배치 함으로써 -1~+1 사이의 Contour Noise가 발생하도록 하는 방법이고, 세 번째 방법도 역시 두 번째 방법과 유사하지만 상위 비트의 분할이 좀 더 세분화 되었다. 네 번째 방법은 방전시간을 줄이고 휴지기간을 둠으로써 -1~+1 사이의 Contour Noise가 발생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들을 실제 적용해 보았을 때 나타나는 효과는 미약하다.
2. False Contour Noise 저감방법 - Sub-Field Mapping Toggle
Sub-Field Mapping Toggle이란 이전 Frame에서 사용한 Sub-Field Mapping Table과 현재 Frame에서 사용할 Sub-Field Mapping Table을 공간상, 시간상으로 Toggle하여 Contour Noise를 줄이는 방법을 말한다.
3. False Contour Noise 저감방법 - Sub-Field 증가와 Weight 재조정
이 방법은 Sub-Field 증가와 Weight 재조정을 통한 인접 계조간의 SF 스위칭수를 저감하는 방법이다. 아래 그림은 이러한 방법을 예로 들어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False Contour Noise에 의한 시각적 영향을 크게 줄일 수가 있다.
4. False Contour Noise 저감방법 - Equalizing Pulse 삽입
Equalizing Pulse 삽입 즉, False Contour Noise 발생 위치의 휘도 감소를 막아주는 신호 입력을 삽입함으로써 False Contour Noise 이후에 그 현상이 눈에 보이지 않도록 보상해 줄 수 있다. 아래 그림은 이러한 방법의 원리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고 동그라미로 표시된 영역이 바로 Equalizing Pulse를 의미한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한 예의 그림이 다음 페이지의 아래에 있는 그림이다. 이전 페이지에서 발생한 False Contour Noise 보다 훨씬 Noise의 영향이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키워드

PDP,   플라즈마,   패널,   재료,   회로
  • 가격5,000
  • 페이지수35페이지
  • 등록일2004.12.24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99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