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지역축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스페인
▷ 팜플로냐 산페르민 축제(Los Sanfermines)
▷ 토마토축제

독일 축제
▷ 뮌헨의 맥주축제
▷ 라인카니발
▷쾰른의 다섯 번째 계절

네덜란드
▷ 튤립 페스티발

루마니아
▷ 칙쇼묘의 오순절 축제

벨기에
▷ 뱅슈카니발

스위스
▷ 섹세로이텐 축제
▷ 바젤카니발

영국
▷ 노팅힐 카니발
▷ 에딘버러 국제 페스티발

오스트리아
▷ 짤츠부르크 음악 축제

이탈리아
▷ 베네치아 카니발

체코
▷ 프라하 오월 음악 축제(Prague Music Festival in May)

성공요인

우리나라가 나아가야 할 방향

본문내용

닉 오케스트라의 창단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하여 준비된 대규모의 음악제가 프라하 오월 음악축제의 시작이다.
축제의 첫날은 체코의 민족 음악 작곡가 베드르지흐 스메타나의 서거일인 5월12일을 기념하며 그의 교향곡 시리즈 '나의조국'을 공연함으로써 시작되며 베토벤의 제9교향곡 '합창'으로 마지막을 장식한다.
교향곡 연주의 주 공연장소는 오베츠니둠의 스메타나 홀이며 실내악단 연주회 장소는 예술의 전당의 드보르작 홀이다. 그 외의 여러 가지 연주회가 수많은 홀과 기념관 교회 궁전 등지에서 공연된다.
성공요인
1. 자원의 특성의 이용을 극대화하여 이미지 제고는 물론 관광도시로써 자리 매김을 하게되었다.
2. 확고한 테마성을 유지하였고 통일적인 이미지를 구축함으로써 관광자가 축제에 몰입하게 만들어주었으며 사람들의 향수를 자극하여 성공적인 이벤트 축제가 될 수 있었다.
3. 체계적인 축제 홍보와 관광상품화를 통해 다양한 볼거리와 체험을 할 수 있게 하였다.
4. 지역 주민의 요구와 지역 특성에 맞는 축제를 개발하여 주민의 적극적이 참여는 물론 정부의 강력한 후원으로 성공할 수 있는 배경을 만들었다.
우리나라가 나아가야 할 방향
우리나라는 이벤트 자료 부재는 물론 담당부서의 역할이 미약하다. 또 이벤트가 성공하려면 주제 설정이 확실하여야 하며 주제도 지역주민의 의견을 무시한 시행보다는 열망을 반영하고 가장 향토적인 축제의 구성이 필요하다. 즉 잘된 선진 축제의 모태의 모방보다는 ‘축제다운 축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지자체간에 무분별한 축제의 개발보다는 국가 전체적 입장에서의 조율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12.28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06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