톰 스토퍼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톰 스토퍼드의 생애

Ⅱ. 톰 스토퍼드의 작품세계

Ⅲ. 톰 스토퍼드 극들의 특징

본문내용

요하신 분은 참고문헌을 참조하세요~ 그리고 도서관에 가면 자료 있어요*)
3. 톰 스토퍼드의 극들의 특징
1) “스토퍼드의 작품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끊임없는 자의식”
비평가로서의 그의 경험은 드라마의 원리뿐만 아니라 무대 위에서 어떤 작품 이 잘 되는가를 알게 해 주었고 이러한 내성적인 특성은 연극적 자원을 발굴하 는데 명백하게 드러나 있다. 또 이 자의식은 인간과 배우. 인생과 무대 사이의 유사성을 들어 인생은 연극이라는 메타포를 초래하고, (Rosencrantz and Guildensten Are Dead, The Real Inspector Hound) 사회에 있어서 예술가, 예 술가의 책임과 위치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Artist Descending a Staircase, Travesties, Night and Day). 또 그의 자의식은 하나의 자기 비판으로서 예술 의 정당성이나 의미를 문제삼게 하고 있다. 그래서 예술 그 자체는 흥행이나 구경거리로서 뿐만 아니라 우리가 세상에 대해서 판단을 내리는 도덕적인 기 반, 예민한 도덕의식을 제공하기 때문에 실로 중요한 것이라고 스토퍼드는 지 적한다.
2) “스토퍼드의 주요작품의 현저한 일반적 특색은 고급희극과 관념극이 놀라울 정도로 결합 되어 있는 것 ”
각 작품마다 희극적인 것과 심각하고 지적인 두 가지 기본적인 기본 적인 구성요소가 강도와 균형을 달리해서 결합되어 있다는 것이다. ‘로젠크란 츠와 길덴스턴은 죽었다’에서는 희극적인 것과 심각한 것을 혼합한 셰익스피 어에 가깝다. 이와 같은 심각한 진술과 기지에 찬 표현과 소란스러운 희극의 결합형태는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스토퍼드는 진지함과 경박성의 결합을 넘 어서 자신의 독자적인 철학적 소극을 창출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다. 변화가 없는 소극은 지루해지고 반면에 철학적 교화는 지적으로 편협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 둘의 균형을 이루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3) “미스테리”
미스테리는 극적인 서스펜스를 통해 관객의 흥미를 지속 유지하는데 아주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스토퍼드의 거의 모든 작품에서 눈에 띄는 요소이 다. 실제로 몇몇 작품은 탐정 추리극으로 되어 있다. 햄릿 자신도 왕을 시해한 범죄에 대한 확증을 잡으려는 자칭 수사관 역을 하며 로젠크란츠와 길덴스턴 은 햄릿의 활동을 결사적으로 저지하려는 정보원이 된 것이다.
4)“부조리극의 전통과는 분명히 갈라놓고 있음”
스토리나 플롯을 부인하고 인식이 가능한 인물이나 명확히 드러난 사회 적 역사적 환경을 인정치 않고 전통예술이 가치 기준을 거절하고 때때로 언어도 알아들을 수 없는 재잘거림으로 품위가 저하된 그런 것들을 상징하는 부조리극 과는 분리해서 생각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부조리면에 분명히 끌 리고 있다. 스토퍼드 작품에 있어서 부조리의 의미는 현대의 생활과 사회에 대 한 내재적인 비전과 철학으로서 존재한다. 그의 중심인물들은 과거 세대의 확실 성과 기본적인 가치의 붕괴로 인해서 세상이 의미가 없어져 버린 환멸에 찬 시 대의 대변자들이다. 종교적인 믿음에 대한 회의, 급진적 사회혁명에 대한 열망의 와해, 그리고 선진 과학사회이 자살적인 경향, 이런 것들이 확고한 열망이 없는 세계와 위협적이며 무의미한 우주를 인간에게 직면시키고 있다. 20세기 인 간의 도덕적, 사회적 딜레마를 인정하면서도 스토퍼드는 약간의 초기 부조리 작 가들과 같이 설교투의 심각한 말로 나타내지 않고 우주를 희비극적인 것으로 인 정하는데 있어서 그의 정신적 스승인 사무엘 베켓을 따르고 있다.
5)“주제가 뚜렷하고 무수한 문제들이 던져져있음”
스토퍼드의 극에는 언제나 주제가 뚜렷하고 무수한 문제들이 던져지고 있다. 그 러나 작가 자신의 철학이나 가치관이 일관성 있게 또 주도적으로 제시되지는 않 고 있다. 극이 끝날 때쯤에도 처음 시작할 때의 그 혼란이 사라지지 않고 또한 문제의 해결도 없는 상태일 수가 많다. 다만 혼란의 원인과 그 진행과정에 대한 이해가 생겨날 따름이다. 그래서 흔히 이것을 계획된 혼란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작가 자신도 자신의 극작품에 나타나는 애매함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효과적 으로 전개하기 위한 자기 나름의 한 방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 참고문헌 *
영미드라마강론(계명대학교 출판부, 2003) - 김 종 선
영미극작가론(문화 세계사 1987) 김우탁 외 공저
contemporary British Dramatists
www.yahoo.co.kr
www.naver.com
www.daum.net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4.12.28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06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