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전통술의 기원
2. 고구려시대의 술
3. 백제시대의 술
4. 신라와 통일신라시대의 술
5. 고려시대의 술
6. 조선시대의 술
7. 일제시대하의 술 (1910-45)
8. 광복 후
2. 고구려시대의 술
3. 백제시대의 술
4. 신라와 통일신라시대의 술
5. 고려시대의 술
6. 조선시대의 술
7. 일제시대하의 술 (1910-45)
8. 광복 후
본문내용
못한 일본식 제도의 잔재에 의해 우리 전통술은 오히려 일제하보다도 더욱 더 피폐해졌습니다.탁주가 양적 팽창을 보았고, 희석식 소주가 아직 큰 시장을 유지하고 있는 등 외형적인 모습은 왜곡된 채로나마 발전하였다 하더라도 우리의 진정한 전통술은 거의 명맥이 끊어져 버렸습니다. 다행히 1980년대 이후부터 불합리한 규제와 제약이 조금씩 해소되어 잊혀진 전통술 50여종이 재현되었으나, 대부분 영세하고 전문 양조기술의 부재와 영업력 부재로 우리의 찬란했던 전통가양주 문화가 복원되기에는 아직도 요원한 실정입니다. 뒤늦게 1995년부터 술을 개인이 빚어 마시는 것이 허용되어 90년간의 가양주 문화단절을 극복하는 기회를 맞게 되었습니다.
전통술을 빚는 방법
통밀을 부수어 물과 함께 반죽하여 덩어리지게 합니다.
덩어리지게 한 반죽을 약 6개월간 발효시키면 속속들이 곰방이가 만들어 집니다.
이렇게 만든 누룩과 쌀, 보리 등 곡물원료를 한데 버무려 물과 함께 옹기독에 넣어 발효시키면 짧게는 3일 길게는 100일정도 후에 찌꺼기가 가라앉고 술독표면에 맑고 노른 물이 떠 오릅니다. 이것을 떠내면 알콜도수 16도 전후의 약주가 됩니다. 남은 찌꺼기에 물을 타서 체에 걸러내면 탁주(막걸리)가 되고 소주고리에 증류해 내면 소주가 됩니다. 유명한 약주로는 백하주, 호산춘, 소곡주 등이 있고, 막걸리로는 숟가락으로 떠먹어야 할 정도로 진한 이화주, 산성막걸리가 유명했고, 소주로는 평양소주, 이강주, 안동소주 등이 유명했습니다.
이밖에도 노송의 썩은 허리에 술을 빚어 넣은 와송주, 대나무속에서 익힌 죽통주같은 술도 있었습니다.
전통술을 빚는 방법
통밀을 부수어 물과 함께 반죽하여 덩어리지게 합니다.
덩어리지게 한 반죽을 약 6개월간 발효시키면 속속들이 곰방이가 만들어 집니다.
이렇게 만든 누룩과 쌀, 보리 등 곡물원료를 한데 버무려 물과 함께 옹기독에 넣어 발효시키면 짧게는 3일 길게는 100일정도 후에 찌꺼기가 가라앉고 술독표면에 맑고 노른 물이 떠 오릅니다. 이것을 떠내면 알콜도수 16도 전후의 약주가 됩니다. 남은 찌꺼기에 물을 타서 체에 걸러내면 탁주(막걸리)가 되고 소주고리에 증류해 내면 소주가 됩니다. 유명한 약주로는 백하주, 호산춘, 소곡주 등이 있고, 막걸리로는 숟가락으로 떠먹어야 할 정도로 진한 이화주, 산성막걸리가 유명했고, 소주로는 평양소주, 이강주, 안동소주 등이 유명했습니다.
이밖에도 노송의 썩은 허리에 술을 빚어 넣은 와송주, 대나무속에서 익힌 죽통주같은 술도 있었습니다.
추천자료
전통문화를 따라- 바느질에 쓰이는 민속자료 골무 - 설명문
전통문화와 민속자료
[한국의문화] 한국 전통문화 ‘떡’에 대한 고찰 및 세계화 방안 연구
[결혼문화]한국의 전통혼례 및 아시아 각국의 결혼문화
[장례식][상복][장례방법][장묘][화장][장례문화 문제점][전통장례식과 현대장례식 비교][장...
[전통사회와생활문화]교재에서 언급된 전통생활문화의 주제와 관련 있는 곳을 찾아 직접 답사...
[전통사회와생활문화]교재에서 언급된 전통생활문화의 주제와 관련 있는 곳을 찾아 직접 답사...
[일본전통문화] 전통문화 라쿠고(落語)의 현대적 의미
전통주류문화 분석
[전통사회와생활문화 공통] 전통생활문화의 주제와 관련 있는 곳을 찾아 직접 답사하고, 답...
전통문화의 성 [조선시대 춘화 형성배경]
[한국전통문화] 상장풍속에 담겨 있는 상징문화 - 색깔의 상징성(흰색과 검정색), 숫자3의 상...
지역사회 전통문화의 필요성, 지역사회 전통문화를 이용하는 목적
한국전통문화의 이해 - 전통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