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화 발달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전화 발달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근대이전]
◎솟대
◎용고
◎신호연
◎봉수대
◎파발제도
◎우역

[근대이후]

[전화기 발달]

[공중전화의 발달]

본문내용

설치된 것은 1900년대였다. 당시의 공중전화는 자석식 방식으로 교환원을 불러 동전이 떨어지는 소리를 들려준 후 원하는 상대방과 통화를 하는 방식이었다.
옥외 무인 공중전화기는 1962년 7월 1일 산업박람회장에 설치된 것이 처음이다. 박람회장에 설치되었던 공중전화 10대가 서울시내 번화가에 설치되면서 공중전화는 본격적으로 가설되기 사작하였는데, 당시 전화요금은 1통화당 5원이었다. 1969년 최초의 국산 공중전화인 체신1호 공중전화기가 선보였는데, 이 전화기는 1977년 요금이 10원으로 인상되기 전까지 전화가 없는 일반시민의 유용한 통신수단으로 사랑을 받았다.
당시 시내통화만 가능했던 공중전화는 1978년 12월 일제 다무라형 시내외 겸용 공중전화기 455대가 조립, 생산되면서 비로소 시외전화까지 가능하게 되었다. 그 후 1983년 우리에게 친숙한 시외용 DDD 공중전화기가 국내 기술로 개발되어 보급되기 시작했으며, 1986년 아시안게임을 계기로 카드식 공중전화기도 등장하게 되었다. 현재는 신용카드로 국제전화까지 가능한 주화-카드 겸용 공중전화기도 보급되고 있으며, 다양한 모양과 화려한 색상의 관리형 공중전화기도 등장해 행인들의 시선을 끌고 있다.

추천자료

  • 가격1,1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4.12.30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09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